View : 80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재경-
dc.contributor.author나성은-
dc.creator나성은-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22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22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42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605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426-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begins from such inquiries as how women experience elderly care as their expected role in Korean patriarchal family and by what sorts of features women s experiences are made up in their life. Through the experience of women who have lived with their parent(s)-in-law unwillingly because they married the eldest or only son,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position of women who are daughters-in-law in patriarchal family, the definition of elderly care that women think, the matter of conflicts they experience, the process of negotiation they choose, and the possibility of re-organized elderly care. While the circumstances surrounding the family system have changed rapidly in the whole transformation of Korean society, it is difficult for women in middle age to expect caregiving by their children in comparison with their experience they have cared for/about family members. Women may face conflicted situations as a daughter-in-law having priority to duties for their parent(s)-in-law and caring for/about them. But there is a limitation in the process women can choose because it is impossible for them to deny the patriarchal family system thoroughly. Undergoing the conflicts caused by intensity and unilaterality of caring, women quarrel with their parent(s)-in-law directly, become indifferent to them, or behave intimately like their real daughter. During the process they cope with, women rethink the problem of intimacy identifying themselves as a daughter-in-law as well as a daughter. Regarding themselves as the old, women have an affection to elders who they care and think about the future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ren, especially daughter-in-law. Women think that they can t be given caregiving by their children equal to the extent they have provided to their parent(s)-in-law and that they may reduce the conflicts through affection and intimacy between care-giver and care-receiver in the family where the function of caring continues to be exist even if its form and contents are changed. And women hope to adapt themselves to the social change and want to make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ren independent. Although middle-aged women can t deny the patriarchal family system, they try to make the meaning of caring change. They point out the problem of patriarchism in the family, and contribute to build up a new type of caring overcoming their negative experience. Women, who have cared for/about the old, try to understand the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generations and have concerns about well-being and condition of their health. It is possible to guess middle-aged women s contribution to change the function of the patriarchal family. Undoubtedly separation remains between women s hopeful imagination and actual condition. In fact, the existence of husband and son may be influential to women because they have little resource as a housewife. Consequently, to reduce the conflicts in the family, it is necessary to not only support the old but also share with the problem on elderly care.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are work which has been changed by women who have cared for/about elders in Korean patriarchal family and to point out the problem of the social norm that caring is a daughter-in-law s role in the family. Emphasizing duties laying between parent(s)-in-law and daughter-in-law, their relationship is apt to cause conflicts each other. Furthermore, daughter-in-law s emotional status is likely to be expressed directly and negatively. Anyway, it is seen that the contents and form of elderly care have been changed due to women s efforts to dismantle patriarchism in the family where caring is made up. ; 본 연구는 여성들이 결혼을 통해 접하게 되는 부계(夫系) 가족 내에서 자신에게 기대되어지는 역할로서의 노인 보살핌을 어떻게 경험해 왔으며, 그러한 경험이 여성들의 삶 속에서 어떤 방식으로 의미화되는지에 대한 관심에서 비롯되었다. 장남 및 외아들과 결혼함으로써 선택의 여지없이 시부모와 함께 살게된 여성들의 보살핌 경험을 통해, 그들이 가족 내에서 스스로를 어떻게 위치시키며 노인 보살핌을 정의하고 있는지, 이러한 과정에서의 갈등 및 협상은 어떠하며 이를 통해 새롭게 구성되는 보살핌의 가능성은 무엇인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우리 사회 전반에 걸친 변화의 흐름 속에서 가족을 둘러싼 환경 역시 급속하게 변화되어 오면서, 현재 중년기에 속하는 여성들은 삶의 오랜 기간을 가족에 대한 보살핌을 제공하면서 살아왔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자신의 노후 문제에 관해서는 자녀들에게 의존하기 어려운 상황에 놓여있다고 할 수 있다. 결혼을 통해 관계맺게 된 시부모에 대해 맏며느리 혹은 외며느리로서 시부모에 대한 의무를 우선시하고 그들과 함께 살면서 보살핌을 제공해 온 여성들은, 부계 중심적으로 운용되는 가족 내에서 며느리의 위치에서 비롯하는 갈등을 경험하게 된다. 그러나 부계를 중심으로 한 효 이데올로기의 영향 하에 있는 여성들이 선택하게 되는 협상 방식에는 한계가 존재하게 되는데, 부계 중심적 가족에 대한 근본적인 거부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며느리 에게 요구되는 보살핌의 강도와 일방성으로 인한 갈등 상황에서, 여성들은 시부모에게 직접적으로 대응하거나 대개는 그들과의 심정적 거리두기를 통해 문제 상황을 무마하려고 한다. 혹은 스스로를 남편과 마찬가지로 시부모의 자식으로 의미화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딸로서의 정체성과 며느리로서의 정체성이 경합하게 되면서 친밀함의 문제에 대해 재고하게 된다. 여성들은 자신을 미래의 노인으로 바라보면서 그들에 대한 연민을 느끼게 되며, 향후 자신이 노인이 되었을 때 자녀와의 관계, 특히 며느리와의 관계를 어떻게 구성해 갈 것인가 고민하게 된다. 자녀 세대에게서 자신이 시부모에게 제공했던 것과 같은 형태의 마음씀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생각하는 여성들은 가족 내에서 보살핌 의 기능이 그 형태와 내용상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지속되고 있는 현실에서 상호 간의 애정과 친밀함을 통해 보살핌의 대상과 주체 간의 갈등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또한 의존적인 노인상에서 벗어나 사회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노인의 모습을 갖추게 되기를 희망하는 동시에 그러한 준비가 더 이상 선택이 아님을 깨닫고 자녀와의 관계를 독립적으로 형성하고자 한다. 여성들은 자신이 속한 가족의 틀 자체를 거부하지는 못하더라도, 나름의 협상 과정을 거치면서 보살핌의 의미를 변화시키고자 한다. 중년기의 여성들은 노인 보살핌에 전제된 부계 중심성에 문제제기하고, 그들의 부정적 경험을 자녀에 대한 태도 변화를 통해 보살핌의 새로운 모습을 만들어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노인 보살핌을 경험한 중년기의 여성들은 세대 간의 생활 방식에서의 문화 차이를 이해하려고 하고, 독립적인 삶을 위한 준비로서 경제력과 건강 문제에 관심을 갖는다. 이와 같은 가족 내 노인 보살핌에 관한 여성들의 태도 변화와 자기 성찰 과정을 통해 현재의 가족 구조 및 기능의 변화가 시대의 흐름에 편승한 젊은 세대들에 의해서 가능했던 것만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여성들의 독립적인 노후에의 상상과 현실적 조건 사이에는 괴리가 존재한다. 주부로 살아온 여성들의 삶에는 여전히 아들과 남편의 존재가 적지않은 영향력을 끼치고 있으며, 노인으로서의 삶에 대한 바람이 공허하게 될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취약한 노인의 삶에 대한 제도적 지원이 보완되어야 하는 동시에, 노인 보살핌에 관한 가족 구성원 간의 문제 의식 공유를 통해 갈등 상황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며느리 로서 부계 가족 내에서 노인 보살핌을 담당해 온 여성들의 경험을 통해 그들이 변화시키고 있는 보살핌의 양상을 파악하고, 그것이 여성의 일로 규정되는 문제 이전에 사회적 규범으로서 부계 가족에 대한 며느리의 일로 적용되는 것에 대해 문제제기 하였다. 시부모-며느리 간에 의무 가 강조될 때 그 관계는 보살핌을 담당하는 여성에게 갈등을 유발하게 되며, 이는 노인에 대한 부정적 감정으로 표출되기 쉽다. 그러나 노인 보살핌이 이루어지는 가족 내에서의 부계 중심성을 완화하려는 여성들의 인식 변화와 노력을 통해, 세대를 거치면서 보살핌의 내용과 형태 역시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iii I. 서론 = 1 A. 문제 제기 및 연구 문제 = 1 B. 연구 방법 = 6 1. 연구 대상 = 6 2. 연구 방법 및 연구 과정 = 11 C. 기존 논의 검토 = 12 1. 가족 내 노인 보살핌의 정의 = 12 2. 여성이 인지하는 보살핌 경험 = 16 II. 부계(夫系) 가족 내 노인 보살핌의 구성 과정 = 21 A. 부계(夫系) 가족과 여성의 결혼 = 21 1. 결혼 : 선택 아닌 선택 = 21 2. 시집 중심의 결혼 생활 = 24 B. 노인 보살핌을 둘러 싼 사회·경제적 배경 = 29 1. 효(孝) 이데올로기의 작동 = 29 2. 경제적 조건 = 33 III. 노인 보살핌의 현실과 여성 경험 = 37 A. 노인 보살핌의 부계(夫系) 중심성 = 37 1. 보살핌의 일방성 : 여성의 역할 = 38 2. 며느리와 딸 = 45 2.1. 시부모-며느리의 관계 = 45 2.2. 딸 로서의 정체성 = 50 B. 보살핌 경험과 내재된 갈등 = 55 1. 의무, 친밀함만으로 감당하기 어려운 노동 = 55 2. 보살핌의 마지막 단계로서의 병수발 = 62 3. 부담으로 인식되는 보살핌 경험 = 65 3.1. 낮은 보상감 = 65 3.2. 가중되는 스트레스 = 68 C. 갈등의 조절과 협상 = 73 1. 직접 대응하기 = 73 2. 현실에의 적응 = 77 2.1. 며느리로서 남아있기 = 77 2.2. 노인과의 거리두기 = 80 3. 친밀함에 기반한 관계맺기 = 85 IV. 가족 내 노인 보살핌의 변화 = 91 A. 체계적 노인 보살핌에 대한 바람 = 91 B. 미래의 노인으로 자신을 바라보기 = 94 1. 누가 나를 보살펴 줄 것인가 = 95 1.1. 노인이 되는 길목에 서있는 중년기 = 95 1.2. 자녀와의 거리감 = 99 2. 독립적인 노년 준비하기 = 106 2.1. 현실에 바탕한 노년에의 준비 = 106 2.2. 자기 보살핌을 위한 조건들 = 111 V. 결론 = 117 참고문헌 = 122 ABSTRACT = 13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7351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부계(夫系) 가족 내 노인 '보살핌'과 여성 경험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여성학과-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