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1 Download: 0

'가인전목단'의 역사적 변천에 대한 연구

Title
'가인전목단'의 역사적 변천에 대한 연구
Authors
윤정민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무용학과
Degree
Master
Advisors
김명숙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historical change of 'Ka-in-jeon-mok-dan' through historical materials in 『Ui-gwe(儀軌)』 『Ui-gwe(儀軌)』 is the book about diverse feasts at Court, including detailed contents about all the preparation processes of feasts, their progresses, dances and musics, and even rewards on people participating in and serving the feasts. Preceding studies and literatures on 『Ui-gwe』 show that those worthy of historical materials are 'Ban-cha-do(班次圖)', 'Chin-chan-do(進饌圖)', 'Chung-jae-do(呈才圖)' expressed in a painting and 'Chung-jae-ak-jang(呈才樂章)', 'Ui-ju(儀註)', 'Kong-ryoung', 'Cha-bi(差備)', 'Sang-jeon' expressed in a writing. First, 'Chung-jae-do(呈才圖)' is a picture painted in a pictorial style, with 'Chung-jae-myoung' recorded exactly on its upper-right side, which makes each 'Chung-jae-myoung distinguished and shows in detail the number of persons in each 'Chung-jae', dancing children and kisaengs, and dancing motions and formations. Second, 'Chung-jae-ak-jang(呈才樂章)' is the words of songs in detail, including brief records of developmental motive, number, and construction of 'Chung-jae'. Third, 'Ui-ju(儀註)', historical material to understand the use of 'Chung-jae', is a record of ceremony process including accurate records on performed 'Chung-jae' and accompaniments. Fourth, 'Kong-ryoung' is a detailed record of dresses and ornaments used for 'Chung-jae'. This study, based on these preceding studies, was conducted centering around historical materials of 'Chung-jae-do', 'Chung-jae-ak-jang', 'Ui-ju', and 'Kong-ryoung' about 'Ka-in-jeon-mok-dan' with 『Chin-jak-ui-gwe』 edited in 1828,『Chin-chan-ui-gwe』in1828,『Chin-chan-ui-gwe』in1848, 『Chin-chan-ui-gwe』 in 1901, 『Chin-yeon-ui-gwe』 in 1901, photoprinted and published as 『Korea Music Material Series』 by the National Classical Music Institute. Process of the dance is recorded in 'Chung-jae-ak-jang' of 『Ui-gwe』, which is so brief; this study referred to 『Chung-jae-mu-do-hol-ki』 owned by 'Chang-seo-gak' and 『Chung-jae-mu-do-hol-ki』 by the National Classical Music Institute, which are a kind of books with no form including construction and process of various kinds of 'Chung-jae' performed at the Court feasts at the end of the Chosun Dynasty. 『Yeon-gam-yu-ham(淵鑑類函)』, among historical materials of literatures, shows that 'Ka-in-jeon-mok-dan', the fourth of 10 'Song-ak-mu', was created according to its contents and name in the time of king Sun-jo, Chosun Dynasty. The construction of the dance is that 4 dancing children in two persons go forward and backward and turn with a blossom of flower in a bottle in each's hand, which corresponds to the contents of 'Chung-jae-do' and is typical of formations and motions. Moreover, the number of dancers was increased or decreased to 4, 12, and 18; process of ceremony, songs of accompaniments, and dress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each 'Ui-gwe(儀軌)' At the main page of 'Chung-jae-ak-jang' was written '凡進宴 自都監 列書各樣呈才 立奏受點而 今番進饌則 因下敎 磨鍊擧行', which means that when a feast is performed, each 'Chung-jae' comes in from 'To-gam-yeol-seo' and performs, compared with each other; in carrying in the timely table, they practice and perform earnestly, directed by their superiors. Therefore, these were different in grades according to statuses of the sponsors and the received of the feast; the size of the feast determined the size of Chung-jae , that is, the number of musicians and kisaengs. Though the size of the feast determined the number of musicians, songs of accompaniments differed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process of ceremony, and dresses changed as time goes by, explanations on Chung-jae , motion of Chung-jae-do and its formation recorded in Chung-jae-ak-jang of from 『Chin-jak-ui-gwe』 edited in 1828 to 『Chin-yeon-ui-gwe』in 1901 are almost same. Besides, construction and process of dance in 『Chung-jae-mu-do-hol-gi』 are correspond to those in Chung-jae-ak-jang and Chung-jae-do .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ough Ka-in-jeon-mok-dan , during its tradition, varied in the number of dancers, songs of accompaniments and the words of songs(e.g. omission, etc), in its contents and form, it was transmitte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with its prototype almost preserved, in its construction and process. ;본 연구는『의궤』(儀軌)와『정재무도홀기』(呈才舞蹈笏記)에 나타난 정재 사료를 통해「가인전목단」(佳人剪牧丹)의 시대에 따른 역사적 변천 과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 의궤』는 국립국악원(國立國樂院)에서『한국음악자료총서』로 영인되어 출판되어진 순조 무자(戊子, 1828)『진작의궤』(進爵儀軌), 순조 기축(己丑, 1828)『진찬의궤』(進饌儀軌), 헌종 14년 무신(戊申, 1848)『진찬의궤』(進饌儀軌),, 고종 5년 신축(辛丑, 1901)『진찬의궤』(進饌儀軌), 고종 5년 신축(辛丑, 1901)『진연의궤』(進宴儀軌),에 한해서「가인전목단」에 대한 정재도(呈才圖)·정재악장(呈才樂章)·의주(儀註)·공령(工伶) 사료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또한『의궤』에 기록되어진 내용은 춤의 절차에 대하여 정재악장에 기록되어 있으나 그 내용이 간략하여, 조선 말기 궁중연회에서 추어진 각종 정재의 구성과 절차를 기록해 놓은 일종의 무보(舞譜) 형식의 책인 국립국악원 소장의 『정재무도홀기』와 장서각 소장의『정재무도홀기』를 참고로 하였다. 「가인전목단」에 대한 기록은『연감유함』(淵鑑類函)에 보면 송악무 10대가 있는데 그 중 네 번째로서, 조선조 순조(純祖)때 그 내용과 명칭을 빌려 창제된 춤이다. 춤의 구성은 목단화 꽃병을 반(盤)에 놓고 4명의 무동이 2편으로 나뉘어 각자 꽃병의 꽃 한 송이를 들고 나아갔다 물러났다 하며 돌면서 추는 춤으로 정재악장에 기록된 내용과 정재도에 표현된 내용이 일치함을 볼 때, 대표적인 대형과 춤사위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무원의 수는 4명, 8명, 12명, 18명으로 그 인원을 가감(加減)하기도 하였고, 의식절차, 반주악곡명, 복식에 대한 기록은 전하는 의궤(儀軌)마다 차이점이 있다. 이는 정재악장 주서에 '凡進宴 自都監 列書各樣呈才 立奏受點而 今番進饌則 因下敎 磨鍊擧行'라 한 것에서 나타난다. 즉 연회를 진행함에 있어 도감 열서로부터 각 정재가 들어와 연주하는데 하나하나를 대조를 받고, 금번 음식을 들여올 때 윗사람의 지시에 의해 열심히 연습하고 거행한다는 뜻이다. 이런 차이는 각 행사를 주최하는 주최측의 지위와 그 행사를 대접받는 대상의 지위에 따라 차등이 있었으며, 행사의 규모에 따라 정재의 규모 즉 악공과 여기의 수의 차이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행사의 규모에 따라 무원의 수, 의식절차마다 다른 반주악곡명과 의상도 시대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나고 있으나, 순조 무자년『진작의궤』로부터 고종 신축년『진연의궤』에 이르기까지 정재악장에 기록된 정재의 설명과 정재도의 춤사위와 대형이 표현된 내용과 거의 일치하고 있었다. 또한『정재무도홀기』에 나타난 춤의 구성과 절차를 정재악장과 정재도의 내용과 비교했을 때 세 가지 모두 일치하고 있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가인전목단」은 순조조부터 고종조까지 전승하는 동안 내용 및 형식면에 있어서 무원수의 변화, 반주악곡명의 변화, 창사를 생략하여 부르는 등의 변화는 있었으나, 춤의 구성과 절차에 있어 커다란 변형 없이 거의 그 원형을 보존하면서 역사적으로 전승되어져 왔다. 본 연구는「가인전목단」이 순조조에 창제된 이후 현재까지 전승되어지고 있는 정재로 전하는 문헌마다 그 형식을 각기 달리하고 있어 문헌고증이 보다 면밀하게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는데, 단편적으로만 활용되었던『의궤』사료를 통해 정재의 복원 및 계승의 측면에서 비교 연구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뿐 만 아니라 역사적 변천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