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26 Download: 0

자기 은폐(self-concealment)와 정서 표현 성향, 지각된 사회적 지지 그리고 도움 추구 태도간의 관계

Title
자기 은폐(self-concealment)와 정서 표현 성향, 지각된 사회적 지지 그리고 도움 추구 태도간의 관계
Authors
장진이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혜성
Abstract
자기 은폐 (self-concealment) 라는 말은 개인이 지각하기에 부정적이거나스트레스가 되는 자신과 관련된 정보를 다른 사람들로부터 숨기려는 경향으로, 신체 혹은 심리적 건강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와 도움 추구 (help-seeking) 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하여 연구되어 왔다. 이 연구는 자기 은폐가 단순히 상담을 신청하게 하는 도움 추구 행동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상담을 시작하고 난 이후의 상담 과정에서 내담자의 자기 개방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개인차 변수가 될 수 있음에 주목, 관련 변수들과의 관계를 통한 명확한 개념 이해를 목표로 하였다. 따라서 도움 추구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정서 표현 성향, 지각된 사회적 지지 그리고 도움 추구 태도를 변수로 설정, 자기 은폐와의 관련성을 탐색하였다. 연구 대상은 남자 대학생 148명과 여자 대학생 142명, 총 290명이었으며, 자기 은폐 척도, 정서 표현 질문지, 대인관계 지지 평가 척도, 도움 추구 태도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 조사하였다. 우선 자기 은폐와 정서 표현 성향간의 관련성을 살피고, 자기 은폐와 정서 표현 성향에서 상하위 25%에 해당되는 두 집단이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도움 추구 태도에서 다른지를 알아보았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기 은폐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정서 표현 성향과 도움 추구 태도에서는 성차가 발견되었다. 여성이 남성보다 정서 표현을 더 잘하고 도움 추구에 대해 긍정적이었다. (2) 자기 은폐와 정서 표현 성향간의 관련성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3) 자기 은폐가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에 비하여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낮을 것이라는 가설은 지지되었다. (4) 자기 은폐가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에 비하여 도움 추구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보일 것이라는 가설은 지지되었다. (5) 정서 표현 성향이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에 비하여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높을 것이라는 가설은 지지되었다. (6) 정서 표현 성향이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에 비하여 도움 추구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일 것이라는 가설은 지지되지 않았다. (7) 회귀 분석 결과, 자기 은폐가 정서 표현 성향보다 지각된 사회적 지지를 더 잘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Self - concealment is a predisposition to actively conceal from others personal information that one perceive as distressing or negative. Self -concealment, as a individual difference variable, remains stable across both time and situation. It is related to, but conceptually and empirically distinct from, self- disclosure. Particularly it was correlated with self-report measures of anxiety, depression and physical symptoms and reported to influence help-seeking behavior. Noticing that self-concealment may influence client s self-disclosure in counseling process as well as help-seeking behavior,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of various related variables. Assumed as major variables to influence help-seeking behavior, emotional expressiveness,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help-seeking attitudes were selected as variables. Tow hundred ninety undergraduates (148 men, 142 women)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Each participant received a package consisting of The Self-Concealment Scale (SCS), The Emotional Expressiveness Questionnaire (EEQ), The Interpersonal Support Evaluation List (ISEL), The Attitudes Toward Seeking Professional Psychological Help Scale (ATSPPHS). The respondents were divided into higher and lower 25% groups by their level in self-concealment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In the first place, the relationship of self-concealment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was examined. Also, these groups by their level in self-concealment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were compared in their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help-seeking attitud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Age and Gender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concealment. But female participants expressed emotion better than male participants and showed more favorable attitudes toward help-seeking. (2)The result didn t support the hypothesis that the high self-concealment group may exhibit lower level in emotional expressiveness than the low self-concealment group. (3)The result supported the hypothesis that the high self-concealment group can exhibit lower level in perceived social support than the low self-concealment group. (4)The hypothesis that the high self-concealment group can show less favorable attitudes toward help-seeking than the low self-concealment group was supported. (5)The hypothesis that the high emotional expressiveness group may show higher level in perceived social support than the low emotional expressiveness group was supported. (6)The result didn t support the hypothesis that the high emotional expressiveness group can show more favorable attitudes toward help-seeking than the low emotional expressiveness group. (7)The result from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s that self-concealment can predict perceived social support better than emotional expressiveness ca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