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길홍-
dc.contributor.author김영재-
dc.creator김영재-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20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20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01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603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012-
dc.description.abstractModern physics began to configure itself after the development of two major theories; the theory of Relativity and Quantum Physics in the 20 century. These two science masterpieces made a sweeping change of understanding the world and more created new way of thought to the world. Even, these new waves were strong enough to call total transformation of social norms. Meanwhile, occidental nature view of conquering them initiated by Decart and Newton, two major natural scientists in the 17 century, had founded the modern nature view which was based upon mechanical interpretation of nature. Obviously, the modern nature view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realize moder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with reliving the world from poverty. However, in the dark side, it caused serious ecological destruction far more than sustain level and even threatened symbiotic existence of human and nature. Even the serious ecological destruction brought environmental problems to the most front of world crisis. The world have begun to pay high level of attention to the nature friendly environment. The paradigm of modern physics has shifted its base from the logical and objective occidental view to the rigorous and subjective oriental one. Cafra indicated that new paradigm would represent the systematic, rigorous, spiritual, environmental, famine, shadow style culture. More focus have fall on the oriental philosophy spurred by the transformation of world philosophy into relative norms. Environmentally friendly nature view that put much stress on coordination with nature stand on the same line of the oriental. This research show how new paradigm of environmentally friendly nature view affected environmental design. Then, this research also suggest case design for the future spatial design of leisure culture throughout our traditional spatial analysis. The composition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In the first chapter, the thesis describe its backgrounds, scopes, and methodology In the second chapter, it introduces theoretical background of environmentally friendly design via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 It suggests the necessity of space for leisure by proving the future as cultural era of emphasizing on leisure by borrowing the predicting idea of future scientists. - By the recognition of the oriental philosophy, it recommends the traditional Korean philosophy, "Zen," as the norms of environmentally friendly design theory - It solves the principle of environmentally friendly nature appeared in Zen by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Zen and Dado culture and the concept of Zen. In the third chapter, as the preliminary step, it drives the principle of designing the space in Zen which reflects the principle of traditional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spatial design. In the fourth chapter, it establishes the goal of design before the initiation of main design with determining the target place, what is called, the step of design programming. In the fifth step, as the main design process, it suggests case design as driving design by applying diverse design principles and theories. Finally, it concludes as reviewing and evaluating the suggested case design. In the sixth chapter, as conclusion, it describes the implication and validity of the research. This research intend to establish the macro-scope of environmental design throughout the systematic approach and methodology from defining problem to solving it with reflecting Zen. Also, it would suggest case design for spatial design for the leisure culture by considering our geographical characters and cultural values which are simultaneously environmentally sustainable. This research expect the case design to meet social and periodical requirements. for the Spatial Design of Leisure Activities under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Zen Principle ; 현대 물리학이라 함은 20세기에 들어와서 나타나는 상대성 이론과 양자 물리학을 말하는 것으로서 현대물학의 발전은 세계를 보는 관점을 변화시켜 새로운 세계관을 형성하였고, 사회 전반적인 인식체계를 바꾸었다. 데카르트, 뉴턴 등 17세기 자연과학자와 사상가들에 의해 확립된 서구의 자연 정복을 통한 자연 지배관은 세계에 대한 기계론적 해석을 바탕으로 한 근대 자연관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자연지배관 위에서 진행된 근대화·산업화 과정은 일견 인류를 빈곤으로부터 해방시켰다는 식의 표피적 성과는 거두었지만 한편으로는 인간과 자연의 생존을 위협하고 인류의 환경을 피폐화 하면서 전지구적 생태위기를 초래했다. 인류의 생태와 환경의 심각성이 전면에 대두되고, 인류뿐 아니라 모든 생명체의 존립마저도 위태롭게 할 정도에 이르면서 자연친화적 환경에 대해 관심을 돌리고 있다. 사변적이며 객관주의적인 서양적 사고에서 직관적이며 주관주의적인 동양 사상으로 현대물리학의 패러다임 전환하고 있다. 새로운 패러다임은 시스템적이고 종합적이며, 직관적이고 정신적이며, 환경에 민감한 여성적이고 음적인 특성을 지닌 문화가 될 것이라고 카프라는 지적하였다. 세계 문명 및 사상이 주체적, 상대적 가치세계로 전환되면서 동양사상에의 관심이 고조되고 있고 요즘 대두되고 있는 자연친화적인 환경은 자연에 보다 더 조화되고 통합되려는 친자연적 개념의 동양사상과 일치한다. 이에 본 연구자는 21세기의 새로운 패러다임인 자연친화적 세계관이 환경디자인에 어떠한 변화를 주었는지 연구하고, 새롭게 이룩된 환경시스템 관점에 의한 우리 전통 공간의 분석을 통하여 현재와 미래사회에 적합한 여가문화공간디자인 모형사례를 제시하는데 연구의 의의를 둔다. 연구의 진행과정은 다음과 같다. 1장 서론에서는 연구의 배경 및 목적과 연구범위 및 연구방법에 대해서 서술한다. 2장은 문헌고찰과 사례조사를 통하여 친자연적 디자인을 위한 이론적 배경을 성립 한다. -미래학자들의 미래 예측에 관한 문헌 고찰을 통하여 미래 사회는 문화의 시 대이며 여가의 시대임을 밝히고, 여가공간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동양사상에 대한 재인식을 통하여 한국의 전통사상인 선(禪)사상을 규범이론 으로서의 친자연적 디자인이론으로 선정한다. -선사상의 개념, 선사상과 차(茶)문화의 관계성에 대한 문헌고찰과 사례조사를 통하 여 선사상에 나타나는 자연친화성의 원리를 밝힌다. 3장은 디자인을 하기 위한 예비 단계로써 우리 전통공간의 친자연적이고, 친환경적인 공간구성원리를 반영한 다양한 차원에서 본 선사상의 공간구성원리를 도출한다. 4장은 디자인을 위한 사전계획 과정으로서 디자인 목표를 세우고, 대상지를 설정하여 분석하고, 디자인 프로그래밍을 하는 단계이다. 5장은 디자인 과정으로서 디자인 이론들과 디자인 원리들을 이용하여 디자인을 도출하고 적용하는 과정으로 모형사례를 제시한다. 제시된 모형사례에 대한 평가와 검토를 통해 디자인에 대한 결론을 짓는다. 6장은 결론으로 본연구를 연구의의와 타당성을 밝힌다. 본 연구는 인간과 환경의 관계성을 자연친화적인 전통사상인 선(禪)사상에 의해 문제 인식에서부터 문제 해결 방안의 제시에 이르기까지 체계적인 접근과 방법을 통해 환경디자인의 전체적인 시각을 정립하고자 한다. 또한, 자연을 최대한 보존하면서 자연에 보다 더 조화되고 통합되며 우리나라 지형의 특성과 문화적 가치를 고려한 여가문화공간디자인 모형사례를 제시한다. 본 연구자는 제시된 여가문화공간이 시대적 ·사회적 요망에 충족하기를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 1 1.1. 연구 배경 및 목적 = 1 1.2. 연구 범위 및 방법 = 2 2. 친자연적 디자인을 위한 이론적 배경 = 3 2.1. 미래사회의 새로운 세계관 및 생활양식 = 3 2.1.1. 문화의 전망 = 3 2.1.2. 미래사회와 여가 = 6 2.2. 동양사상에 대한 재인식 = 10 2.3. 선(禪)사상에 나타나는 자연친화성 = 12 2.3.1. 선사상의 개념 및 자연관 = 12 2.3.2. 선사상과 차(茶)문화의 관계에 대한 고찰 = 13 2.3.3. 전통공간에 대한 고찰 = 17 3. 다양한 차원에서 본 선사상의 공간구성원리 = 28 3.1. 장소와 지형에 대한 차원 = 28 3.2. 수목에 대한 차원 = 30 3.3. 시각경관에 대한 차원 = 36 3.4. 경관조성물에 대한 차원 = 39 3.5. 자연친화성을 고려한 건물계획 = 42 4. 디자인을 위한 사전계획 = 46 4.1. 디자인 전제 = 46 4.1.1. 디자인 목표 = 46 4.1.2. 디자인 전개방향 = 48 4.2. 대상지 선정과 분석 = 49 4.2.1. 대상지의 환경적 분석 = 49 4.2.2. 대상지의 자연적 구성요소 분석 = 52 4.2.3. 대상지의 사회적 구성요소 분석 = 53 4.3. 디자인 프로그래밍 = 56 4.3.1. 사용자 행태특성에 따른 공간구성 계획 = 56 4.3.2. 차문화공간의 서비스 및 운영프로그램 = 57 5. 디자인 과정 = 59 5.1. 디자인 도출 및 적용 단계 = 59 5.1.1. 공간구성계획 = 59 5.1.2. 개념스케치 = 61 5.1.3. 배치계획 = 63 5.1.4. 평면계획 = 70 5.1.5. 입면계획 = 72 5.2. 최종안의 제시 = 73 5.2.1. 배치도 = 73 5.2.2. 평면도 = 75 5.2.3. 입면도 = 79 5.2.4. 모형사진 = 81 5.3. 디자인 평가 = 91 6. 결론 = 93 참고문헌 = 95 Abstract = 9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42405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선(禪)사상의 공간구성원리에 의한 여가문화공간디자인 모형사례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장식미술학과-
dc.date.awarded200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