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9 Download: 0

겸재(謙齋)의 금강전도 상징성을 이용한 섬유표현

Title
겸재(謙齋)의 금강전도 상징성을 이용한 섬유표현
Authors
김정숙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대학원 공예학부섬유예술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연순
Abstract
한국 현대미술의 정체성에 있어 중요한 문제 중의 하나는 형식과 내용의 상호관계이다. 이들 관계는 상호 보완적이고 균제적 이어야 한다. 기법이나 방법, 재료 등의 형식이 연구자가 표출하려는 정신적 내용을 앞서 있을 수는 없지만 어느 정도의 단계에 이르기까지는 형식으로부터 내용이 반영될 수 있는 최소한의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겸재(謙齋) 정선의 그림에서는 붓끝의 기운이 느껴지며 재료가 가지는 고유의 속성을 변형시키지 않고 그대로 잘 살리고 있는데 이같이 재료라는 물성에 대해서도 생명력을 부여한다는 점에서 내용에 비해 형식에 정신성을 결부시키는 전통의 사상을 엿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내용을 잘 표현할 수 있는 생명력을 지닌 표현재료를 함께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겸재(謙齋)의 금강전도(金剛全圖)를 차용하여 자아인지를 통한 기운생동을 연구의 내용으로 하고 독자적으로 연구한 Hand-made paper를 표현재료로 사용하여 내용과 형식을 상호보완 한 결과를 얻어내고자 한다. 겸재(謙齋)의 금강전도(金剛全圖)를 주제로 한 작품을 제작하고자 이론적 근거로 진경산수화풍(眞景山水畵風)의 출현배경과 금강산의 상징성을 분석함으로서 전통적 정신의 계승에 대해 재해석의 기회를 가져본다. 표현 방법에 있어서 생동하는 기운을 시각화할 수 있도록 표현재료에 대하여 다각적인 연구를 통하여 가시적으로 표현되어지는 단계에 정신적 내용을 투영시켜 보고자 한다. 겸재(謙齋)의 진경산수화풍(眞景山水畵風)을 연구하여 작품을 제작하는 과정 속에서 우리가 추구하는 현대적 가치를 컴퓨터 프린팅을 이용한 이미지를 통해 표현하고자 한다. 이는 이미지의 존재방식이 시공간으로부터 자유로워짐으로써 전통 속에 있는 겸재(謙齋)의 금강전도(金剛全圖)가 지금의 일상적 생활과 결부되어져 우리 문화 중심의 사고를 표현하는 작품을 제작한다. 작품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표현재료와 기법에 대한 인식과 진경산수화풍(眞景山水畵風)의 의미를 파악하려는 시각을 심오한 정신성과 예술적 기운이 느껴지는 것으로 이해하여 8점의 작품을 제작하였다. 내용과 형식의 효과적인 관계를 위해 작품제작시 화면공간에 여백의 형상화를 위한 표현방법을 살펴봄으로써 전통 속에서 현재를 재해석한 연구자의 의지를 전달하고자 하였다. 작품은 대부분 본 연구에서 도입한 표현재료로 하고 있으며 이는 물성을 추구하던 시대에서 정신과 전체를 중요시하는 시대로의 변화를 적절히 표현 할 수 있었다. 화면을 구성하는데 있어 과감한 여백에서 오는 여유를 느껴보려 하였으며 세상사의 갈등, 고달픈 삶, 사사로운 욕심 등을 비워져있는 여백을 통해 수용할 수 있는 마음을 가지고자 하였다. 전체적으로 호염을 이용한 맑은 담조의 색감으로 염색하였는데 이로 인해 인위적(人爲的)이지 않고 무작위(無作爲)적인 표현재료 그대로의 조형미를 수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문헌조사와 작품제작의 결과로 전통적 소재인 겸재(謙齋)의 금강전도(金剛全圖)가 진경산수화(眞景山水畵)의 정신성을 내포하는 현대 섬유예술로 표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겸재(謙齋)의 금강전도(金剛全圖)가 진경산수화(眞景山水畵) 이외에 현대미술의 독자성을 갖춘 관념적 소재로 가능성이 있다고 것을 알았고 앞으로의 연구에서 재해석되어진 전통의 정신성을 표현하기 위해 독창성이 있는 전통적 소재라는 고정관념에 그치지 않고 다양한 시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음을 알았다. ; As one of the methods to identify the contemporary art of Korea,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form and context. Consequently, the two aspects require to be both symmetrical and supplementary. Skills and techniques in addition to material cannot exist prior to the artist s mental expression. However, they can reflect the minimal phenomenon. For instance, in a selection of paintings by Keumjae, the artist s spirit can be felt in the brush strokes. Therefore, we are able to state, by reflecting on traditional concepts, that a true understanding of the discipline of any particular material can give life to the work while evidently proving that form is equally important as context. This study examines such beliefs. It endeavors to present expressions by listening cautiously to the nature of materials. The ancient painting, which is also a natural property, titled Kumkang Mountain Landscape , has been used as the main subject for this study.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form and context has been expressed on a self developed handmade paper. Also as a personal expression of inner life, the painting the landscape of this particular painting has been analyzed symbolically as a personal reflection. On the handmade paper, the study has strived to reflect the inner self both physically and mentally. Expressions were made by using the computer to print on the paper. This method was selected as a means to correlate the self with modern values. The artist s conscience, appreciation of space and spirit have been carefully expressed in eight pieces of work for this study. Also the means to effectively present the mutuality of form and context has been done by experimenting with space. The use of handmade paper symbolizes spirit and identity in a materialized society as ours today. Space played an important role simultaneously in expressing and avoiding dissension, struggle, trivial aspirations and desires. Clear and bright colors were dyed to the rough handmade paper using Chinese salt. The textures on the paper added a 3 dimensional quality to the work. For the background study, Keumjae s Kumkang Mountain Landscape has been examined to acquire an understanding on form and space. The subject was used as an expression in fibre art. The study has shown that the painting of Kumkang Mountain Landscape is not only a depiction of a beautiful natural site but it has also been used as a means to understand the life behind the material. Hence also expressing the identity of the artist. More study can be conducted by reflecting on our traditional material and it is crucial in developing our own perception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