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16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변영순-
dc.contributor.author송용은-
dc.creator송용은-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19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19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58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602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589-
dc.description.abstractThe number of patients dependent on home ventilator in Korea have increased from one in 1992 to sixty-six in July of 2002 and this number is expected to increase in the future. The family members take care of the patients overall health as well as the monitoring of the respiration and provide the necessary nursing care. This study, by studying the requirements of the patient on home ventilator and the family member who provide the nursing, was intend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in this subject so it may contribute to better and more accurate nursing and education prior to discharge. The study was performed between September 16 and October 31, 2002. The study population comprised of adult patients on home ventilator in Seoul or Kyung-Gi province or their family members who were willing to participate in this survey. The survey was performed with a questionnaire developed to assess the nursing needs of the patient and the care-giver of the home ventilator by a interviewer who visited the family in person. If the patient or the family refused or could not be visited, the survey was performed through the telephone. Plenty of explanations were given, and when the patient was unable to fill out the questionnaire themselves, their response were recorded by the interview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he mean age of caregiver was 46, Most of them were female(89.2%) and degree of high-school graduation(51.4%). The relationship of them with patients was spouse(43,2%), children(40.5%), parents(8.1%), and others(8.1%), in order. The patients were assisted by home ventilator due to a variety of disease such as neuromuscular disorder(75.7%), CNS disorder(16.2%), and respiratory disorder(8.1%). The duration of usage of home ventilator by patients was mostly less than 1 year(67.5%), and some patients have been using home ventilator more than 1 year(32.5%). The applying methods of home ventilator were T-cannula(75.7%) and mask(24.3%). The numbers of visiting by home-visiting nurser were less than 4(40.5%), 4 or more than(32.4%) in a month, respectively. However, no visit was done in some patientsl(27%). 2. Overall the scores of the need of nursing care on the patient with home ventilator was 4.21±.48 in overall. In analysis of the each section, the need of nursing care was highest in the emergency situation(4.46±.67), and the scores of others are as follows: usage of oxygen(4.39±.63), home ventilator(4.35±.42), airway management with prevention of aspiration (4.33±.67), T-cannula care(4.29±.78), knowledge of the disease(4.25±.51), position change(4.18±.62), patient s excercise(4.11±1.19), nasogastric (gastric) tube(4.10±.66), prevention of infection(3.79±1.12), communication with patients(3.25±1.65). In this study, the highest score of the need of nursing care was in immediate management for airway obstruction(4.97±.34). When the power was failed, the score of need of nursing care was 4.84±.55, and when the ventilator was out of order, the score was 4.68±.78. These two situations were not belong to the territory of nursing care. In addition, there were high level of needs of nursing care for knowledge of disease such as patient s medical problem(4.68±.47) and the importance of airway management(4.68±.60). 3. The requirement for nursing care by care-giver was low in those with degree of junior or middle school graduations. The score of needs of nursing care were low in aspects of knowledge of disease(F=3.683, p=0.036) and patient s communication(F=7.745, p=.003). The needs of nursing care for knowledge of the disease were high in spouse, children, others, and parents, in order(F=5.572, p=.003). In patients with respiratory disease, the needs of nursing care were low in the emergency situation (F=11.197, p=.000), prevention of infection(F=4.045, p=.27), airway management with prevention of aspiration(F=5.541, p=.009), T-cannula care(F=5.674, p=.009), nasogastric(gastric) tube(F=4.432, p=.026), and usage of oxygen(F=12.441, p=.001). According to the dependency of home ventilator, there were low needs of nursing care in prevention of infection (t=-3.625, p=.001), patient s excercise(t=-3.612, p=.030), and position change(t=-2.383, p=0.024).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urvey, we conclude that education must be done prior to discharge on the subjects that scored high in the nursing needs questionnaire to prevent many of the problems that can arise when nursing a home ventilator patient. Also, individual variation in the nursing needs was observed based on the patient and the care-givers educational status, disease entity, degree of dependence on the ventilator, and we think an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 taking this variability into consideration is required prior to dischage in order for a satisfactory nursing to be performed at home. ; 국내에서 가정용 인공호흡기의 사용 환자가 1992년부터 점차로 늘어나고 있으며, 가정용 인공호흡기를 사용하는 환자들은 가정간호사나 가족의 도움에 의존하게 됨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간호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가정용 인공호흡기를 사용하는 환자들의 간호요구를 살펴보므로 퇴원 시 간호교육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 가정간호사들에게도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가정용 인공호흡기를 사용하는 환자와 돌보는 사람의 간호요구도를 측정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기간은 2002년 9월 16일부터 2002년 10월 31일까지 이루어졌고, 연구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에 거주하며 2002년 7월 현재 가정에서 인공호흡기를 사용하는 성인환자와 돌보는 사람 중에서 이 연구에 참여하기로 동의를 한 사람으로 하였다. 연구절차는 가정에서 인공호흡기를 사용하는 환자 또는 간호제공자의 간호요구를 조사하기 위해 개발된 설문지를 가지고 대상자들을 방문하여 1:1 면담을 하였고, 방문을 원하지 않거나 여건이 안되는 경우에는 전화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설문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충분한 설명과 함께 이루어졌으며, 설문지 작성이 불가능한 대상자는 직접 연구자가 물음에 대한 대답을 기록하여 작성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PC+ 10.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가정용 인공호흡기 사용 관련 특성 분포는 빈도와 백분율로 분석하였고, 대상자의 간호요구도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으며, 대상자 일반적 특성 및 가정용 인공호흡기 사용 관련 간호요구도의 차이는 t-test, ANOVA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들의 평균연령은 46세였으며, 성별로는 여자가 89.2%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학력은 고졸이 51.4%로 가장 많았고, 환자와의 관계는 배우자(43.2%), 자녀(40.5%), 부모(8.1%), 기타(8.1%)의 순이었다. 가정용 인공호흡기를 사용하는 환자의 질병그룹은 신경근육 장애가 75.7%으로 가장 많았고, 중추신경계 장애(16.2%), 호흡기 장애(8.1%) 순이었다. 사용기간은 1년 미만이 67.5%, 1년 이상 32.5%였다. 인공호흡기 사용 방법으로는 캐뉼라 이용이 75.7%이고 마스크 이용이 24.3%로 나타났다. 가정간호사 방문정도는 월 4회 미만이 40.5%, 월 4회 이상이 32.4%, 방문을 받지 않는 경우가 27%로 나타났다. 2. 간호요구도는 평균 4.21±.48점으로 높은 간호요구도를 보였다. 영역별 간호요구도의 평균점수는 응급상황 시의 간호가 4.46±.67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산소사용법 간호가 4.39±.63점, 인공호흡기 간호는 4.35±.42점, 기도유지 및 흡인 간호는 4.33±.67점, T-cannula 간호는 4.29±.78점, 질병에 관한 지식은 4.25±.51점, 체위변경 간호는 4.18 ±.62점, 운동 간호는 4.11±1.19점, 비위관(위관) 간호는 4.10±.66점, 감염예방 간호는 3.79±1.12점, 의사소통 간호는 3.25±1.65점의 순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간호요구도에서는 대상자가 중졸이하의 학력에서 질병에 관한 지식 영역(F=3.683, p=.036), 의사소통 간호 영역(F=7.745, p=.003)에서 유의하게 간호요구도가 낮았다. 환자와의 관계에서는 질병에 관한 지식의 간호 영역(F=5.572, p=.003)에서 간호요구도는 배우자, 자녀, 기타, 부모의 순으로 나타났다. 환자의 질병그룹에 따라 호흡기 환자들이 응급상황 시의 간호 영역(F=11.197, p=.000), 감염예방 간호 영역(F=4.045, p=0.27), 기도유지 및 흡인간호 영역(F=5.541, p=.009), 캐뉼라 간호 영역(F=5.674, p=.009), 위관 간호(F=4.432, p=.026), 산소사용법 간호 영역(F=12.441, p=.001)에서 간호요구도가 낮았다. 인공호흡기 의존 정도에 따라 부분적으로 의존하는 그룹이 감염예방 간호 영역(t=-3.625, p=.001)과 운동 간호 영역(t=-3.612, p=.030), 체위변경 간호 영역(t=-2.383, p=.024)에서 간호요구도가 낮았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본 연구를 토대로 가정용 인공호흡기를 사용할 대상자들에게는 응급상황 시의 간호, 산소사용법 간호, 인공호흡기 간호, 기도유지 및 흡인 간호에 대한 퇴원 전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며, 가정간호사들에게도 이러한 간호요구도가 높은 내용을 알려주어 추후관리에도 참조할 수 있도록 하며, 질병에 관한 지식이나 의사소통 간호의 교육 시에는 간호제공자의 학력을 고려하여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고, 환자의 질병그룹에 따른 구별화 된 퇴원교육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3 C. 용어의 정의 = 3 II. 문헌고찰 = 4 A.가정용 인공호흡기 = 4 B.가정용 인공호흡기 사용 환자의 간호 = 6 III. 연구방법 = 11 A. 연구설계 = 11 B. 연구대상 = 11 C. 연구도구 = 11 D. 자료수집 기간 및 방법 = 12 E. 자료분석 = 13 F. 연구의 제한점 = 13 G. 연구 대상자의 윤리적 측면 = 13 IV. 연구결과 및 논의 = 14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14 B. 가정용 인공호흡기 사용관련 특성 = 15 C. 대상자의 간호요구도 = 17 D.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간호요구도의 차이 검증 = 21 V. 결론 및 제언 = 28 A. 결론 = 28 B. 제언 = 31 참고문헌 = 32 부록 = 37 영문초록 = 4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4482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가정용 인공호흡기(Home Ventilator)사용 환자의 간호 요구도-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