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7 Download: 0

극적(theatrical)공간을 통한 무용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Title
극적(theatrical)공간을 통한 무용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Authors
김향진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
Abstract
무용은 춤추어지는 순간, 지각되는 하나의 현상이다. 이러한 현상 내에서 포착되어지는 것은 다양한 요소들의 ‘관계(relation)’이며 관계의 상호성은 소통을 기반으로 한다. 이러한 인간적 소통의 모든 차원이 실험되는 공감으로서 극(theater)은 삶을 재현하는 공간인 동시에 최초의 창조자¹), 상연의 실행자, 관객이 소통하는 공간이다. 무용예술 역시 상연(presentation)과정을 통해 극적 공간(최초의 창조자, 상연의 실행자, 관객의 의미소통 공간)을 구축하며, 역사적으로 무용과 극은 분리될 수 없는 관계를 맺고 있다. ‘극적 발레(ballet d’action)’로부터 ‘극 무용(tanz theater)’에 이르기까지 무용은 끊임없는 극적 공간을 구축해왔다. 이러한 공간은 소통의 과정을 구조적으로 포함하고 있으며 상연의 순간, 무용수들의 신체는 동일한 시-공간에서 소통의 관계를 가진다. 이것을 통해 창조적 표현공간이 발생하며 다른 신체와의 관계 속에서 무용수의 움직임은 변형되고, 이 지점에서 구축된 공간은 의미(意味)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무용수 상호관계 연구의 필요성이 제시된다. 무용수의 상호관계가 창조적 의미를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구조적 관계를 이끌고 작품을 유기적으로 통합하는 무용수들 사이의 내적 소통이 요구된다. 상연예술의 구조 내에서 무용수의 관계를 연구하기 위해 본 연구는 극적 공간의 구조를 바탕으로 한다. 극은 원형을 재현하는 상연예술로 상연의 과정에서 2중구 조를 발생시킨다. 그것은 원형에 의해 통합되는 심층적 구조와 상연에 의해 통합되는 표층구조로 나뉜다. 이러한 2중구 조 내에서 행위자의 상호관계를 다룬 스타니슬라브스키(Constantine stanislavski)는 행위자들의 내적소통 과정을 ‘교감이론’을 통해 제시하고 있다. 스타니슬라브스키의 교감이론은 극적 공간에서 소통의 과정을 탐구하며, 그것을 무대 위에서 행위자를 통해 실현시킨다. 행위자들의 내적 소통은 주체가 타자를 허구의 공간으로 끌어들여 스스로를 변형시키는 과정 속에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교감이론은 극적 공간구조를 바탕으로 내적 교감과 이적교감으로 나뉘며, 행위자들 사이의 교감을 바탕으로 세계를 재현하고, 나아가 관객과의 접촉지점을 이끌어낸다. 관계를 바탕으로 극적 공간을 구축한 ‘교감이론’을 도입하는 것은 무용예술에 있어 소통의 공간을 확장 시키는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본 논문은 극적 공간의 2중 구조를 바탕으로 한 스타니슬라브스키의 교감이론을 도입하여 무용수 상호관계를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무용수의 상호관계는 상연의 2중 구조인 표층적 구조(상연행위에 서 무용수를 통해 드러나는 공간, 시간, 에너지)와 심층적 구조(최초의 원형-주제, 이미)내에서 복합적인 관계의 망을 형성한다. 이러한 관계는 무대 위에서 2중적 현존(presence)인, 실재(reality-구체적, 물질적 존재로 무대 위의 존재)와 가상적 실체(virtual substance-허구로 발생시키는 인물, 이미지)라는 변증법적 순화구조로 재현된다. 무용수의 상호관계는 최초의 원형을 통해 한 작품 속에서 유기적으로 통합되는 내적 논리를 요구 받게 된다. 상연의 순간에 극적 공간으로의 몰입을 통해 타자로서의 무용수를 가상적 공간으로 끌어들이는 이 지점이 ‘무용수 상호관계’가 구축되는 공간이며, 내적소통의 과정 속에서 주체와 타자가 서로 변형되는 공간이다. 따라서 무용수들의 상호관계로 구축된 공간은 삶의 재현이며 대상-세계에 대한 참여이다. 춤추는 무용수들의 관계 속에서 하나의 작품은 유기적인 통일을 이루고 상연의 순간에 세계는 재현된다. 삶의 재현적 공간으로서 극은 인간적 소통의 모든 차원이 실험되는 장이다. 따라서 춤추는 무용수는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하나의 극적 공간을 구축한다. 주: 1) 안무자, 연출가, 극자가, 등 최초의 착상을 창조하는 사람. ; Dance is a Phenomenon that is perceived in an instant of presenting. What we catch in this phenomenon is the relations between various elements and the reciprocity of those relations is based on understanding. The as a space in which every dimension of human understanding is under experiment is a space in which the initial creator, performance staff and spectator understand each other as well as a descriptive space for representing life. Dance art also constructs a theatrical space through presentation, and historically dance and theater have been deeply, inseparably related to each other. From "ballet d action" to "Tanz theatrer", dance has continuously constructed theatrical space. This space contains the structural process of understanding, and at the moment of presenting dancers bodies have a relation of understanding in time and space. Through this, a creative space for expression is born, dancers movements are transformed in the relationship with other bodies, and at this point the space which was born gets a meaning. Here lies the significance of the reciprocal relations between dancers. To generate a creative meaning of the reciprocal relations between dancers, inner understanding for structural relation is required, so Stanislavsky s sympathy theory discussing the process of inner understanding between behaviors needs to be employed. Stanislavsky s sympathy theory explores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in the theatrical space and realizes it through behaviors on stage. Inner understanding takes other behaviors as an external and physical object into a fictional space makes them transform themselves, and forms a part of work with organic un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loy the process of inner understanding contained in Stanislavsky s sympathy theory to clarify the reciprocal relations between dancers based on the structure of theatrical space. The result of studying the reciprocal relations between dancers mainly around Stanislavsky s sympathy theory is as follows: First, the reciprocal relations between dancers and dialectic in double meaning of existence, i.e., and actual and a fictional being. Second, the reciprocal relations between dancers form a complicated network of relation in the double structure of presentation, i.e., the surface and the depth. Third, the reciprocal relations between dancers are demanded an Inner logic that is organically united with present ork through the first archetype. Fourth, the reciprocal relations between dancers draw dancers as another person to a fictional space to transform through immersion in the theatrical space. The space constructed with the reciprocal relations between dancers is a representation of life and a penetration into an object or the world. In the relations between performing dancers, a work accomplishes an organic unity, and the world revives at the moment of presenting. The theatre as a space. For representing life is a place in which every dimension of human understanding is experimented. Therefore, the dancer constructs one theatrical space in the relationship with oth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