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5 Download: 0

한국적 이미지의 에디토리얼 패션 스타일링 연구

Title
한국적 이미지의 에디토리얼 패션 스타일링 연구
Other Titles
Study on the Editorial Fashion Styling of Korean Image
Authors
정승연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인성
Abstract
The modern society is creating a new trend with harmony of diverse cultures and races. With developed nations as the center, globalization through modernization of traditional cultures is receiving attention. Recently, the Korean wave has caused many foreign nations to pay attention to various fields including Korean culture, arts, fashion and beauty. Accordingly, various means at the national level are being sought to make use of familiar Korean images that appeared in different media through the Korean wave. However, Korean images so far were mainly discussed in terms of aesthetics, and there is lack of efforts to visually shape Korean images. On the contrary, Oriental images focused around Japan and China have greater global influence and better globalized fashion styles compared to Kore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uggest a globalized proposal of Korean fashion styling which reflects original and uniqu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Korea that can be accepted by the global market. In this study, the concept and types of fashion styling and stylists were examined, as well as the definition of Korean image and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images shown on fashion magazines. Also, after collecting photographs having Korean images that were included in the editorial fashion styling of Vogue Korea, their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interviews with professional fashion stylists were summarized to propose an editorial fashion styling with Korean image for overseas consumers who long for and wish to imitate Korean fashion styling.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obtained.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ncept and types of fashion styling and stylists, fashion styling used styling elements such as item, color, material, pattern, hair & makeup, and accessory in order to complete overall fashion image. In addition, fashion stylists are directors who recombine styling elements to express them with harmony and character. Stylists are classified into editorial, commercial or advertisement, personal, fashion show, and broadcast or entertainment stylist according to the styling characteristics. Second, Korean images are divided into national image and cultural image. National image was found to be a complex and comprehensive subjective image formed based on diverse information on politics, history, diplomacy, culture and economy of a nation. Also, cultural image was found to be a cultural symbol that represents symbolism of Korea, use of cultural and artistic contents, and contribution to globalization. Third, since the concept and theme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entral elements to be visually emphasized, types of Korean images shown in fashion magazines were styled with focus on elements that can display the most effective image. Central elements of editorial fashion styling with Korean image based on clothes were found as clothes group composed of item, color, pattern and accessory, beauty group composed of hair and makeup, and background group which includes props and location. Fourth, as a result of classifying the editorial fashion styling type of Vogue Korea, hanbok (Korean traditional dress) was analyzed as the representative image. Styling was classified based on the use of hanbok into styling with traditional hanbok, styling that mixes hanbok with modern items, and styling that uses modern items and other Korean images. As a result of analyzing items, traditional hanbok skirt and modern one-piece dress were often used. Other items include traditional jeogori (Korean traditional jacket) and underwear, modern jacket, skirt, and vest. Color analysis found that five primary colors, five secondary colors, and white color among traditional colors and white, black, vivid red and blue among modern colors are used often. Korean image is expressed with modern feeling using modern white and black colors, and vivid blue and red are used as point colors. As a result of material analysis, traditional materials were used in the order of ramie fabric, silk and Chinese silk and modern materials were used in the order of fur, lace and silk. Ramie fabric was the traditional material used to express Korean image, and fur was mainly used as modern material to express Korean image. Laces were used in diverse ways both in traditional and modern items. Traditional flower embroidery was most often used among patterns, as well as plum blossom, cloud and peony. Modern patterns were flower, water drop and stripe. Accordingly, flower embroidery was found to be most effective in expressing Korean images. For hair & makeup, traditional hair styles included put-up hair, topknot hair and bun hair. Modern hair styles included up style, bobbed hair and long hair. In terms of traditional item styling to show Korean image, traditional hair style was used in harmony with overall clothes or modern image was expressed using modern hair style. For makeup, traditional Korean makeup expressed by bright face, thin eye brows, and red cheeks and lips must be displayed. Beoseon (traditional Korean socks), rubber shoes and arm warmers were used as traditional accessories, and high heels, gloves and belt were used as modern accessories. Traditional accessories were used more in styling with traditional items, and modern accessories were used more in styling with modern items. Accessories were found to be in appropriate harmony with the overall clothing style. Fifth, a theme called 'Modern Elegance' that reflects the S/S trend of 2013 was configured based on the result of editorial fashion styling analysis on Vogue Korea and interviews with professional fashion stylists. 8 editorial fashion style drawings with Korean image were made. Through development of editorial fashion styling that reflects Korean image, basic data for providing the world with fashion styling method using Korean image and helping development of the Korean fashion industry upon overseas publication of fashion magazines and expansion with SNS were prepared.;현대사회는 다양한 문화와 인종이 어우러져 새로운 트렌드를 형성하고, 선진국을 중심으로 전통문화의 현대화를 통한 세계화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최근 한류로 인해 해외 여러 나라들이 한국의 문화와 예술뿐만 아니라 패션과 뷰티 등 다양한 분야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한류를 통해 여러 매체에서 보아온 친숙한 한국적 이미지를 활용할 수 있도록 국가 차원에서의 다양한 방안들이 모색되고 있다. 그러나 그동안의 한국적 이미지는 주로 미학적인 측면에서 논의가 이루어져 한국적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구체화시키는 작업은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그에 반하여 일본과 중국을 중심으로 한 동양적 이미지는 한국에 비해 세계적으로 영향력이 크고 패션 스타일의 글로벌화도 잘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세계 시장에 통용될 수 있는 한국만의 독창적이고 고유한 미적 특성을 반영한 한국적 이미지의 패션 스타일링의 글로벌화된 제안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패션 스타일링과 패션 스타일리스트에 대한 개념과 유형에 대해서 살펴보고, 한국적 이미지의 정의 및 패션 매거진에 나타난 한국적 이미지의 유형과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보그 코리아의 에디토리얼 패션 스타일링에 나타난 한국적 이미지의 사진을 수집한 후 그 특징을 분석하고, 패션 스타일리스트 전문가 인터뷰 결과를 종합하여 한국의 패션 스타일링을 동경하고 모방하고자 하는 해외 소비자를 위한 한국적 이미지의 에디토리얼 패션 스타일링을 제안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패션 스타일링과 패션 스타일리스트의 개념 및 유형을 살펴본 결과 패션 스타일링은 패션의 총체적인 이미지를 완성하기 위해 스타일링의 요소인 아이템, 컬러, 소재, 문양, 헤어&메이크업, 액세서리를 사용하였다. 또한 패션 스타일리스트는 스타일링의 요소들을 재조합하여 서로 조화롭고 개성 있게 표현하는 연출자로 스타일링의 특징에 따라 에디토리얼, 커머셜·광고, 퍼스널, 패션쇼, 방송·연예 스타일리스트로 구분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한국적 이미지에는 국가 이미지와 문화 이미지가 있으며, 국가 이미지란 어떤 국가에 대한 정치, 역사, 외교, 문화, 경제 등의 다양한 정보를 바탕으로 형성된 복합적이고 종합적인 주관적 심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문화 이미지는 한국을 나타내는 상징성, 문화 예술적 콘텐츠 활용성, 세계화에 기여 등의 기준으로 대표성을 지닌 문화상징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패션 매거진에 나타난 한국적 이미지의 유형은 시각적으로 부각 시키고자 하는 중심 요소에 따라 컨셉과 주제가 결정되기 때문에 가장 효과적인 이미지를 연출 할 수 있는 요소에 중점을 두고 스타일링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의복을 기준으로 한 한국적 이미지의 에디토리얼 패션 스타일링의 중점 요소는 아이템, 컬러, 소재, 문양, 액세서리의 의복 그룹, 헤어와 메이크업의 뷰티 그룹, 프롭스와 로케이션을 포함하는 배경 그룹으로 유형화 시킬 수 있었다. 넷째, 보그 코리아의 에디토리얼 패션 스타일링 유형 분류 결과 한복이 대표적인 이미지로 분석되어 한복의 사용 여부를 기준으로 분류하였더니, 전통 아이템인 한복을 이용한 스타일링, 전통 아이템인 한복과 현대 아이템을 믹스한 스타일링, 현대 아이템과 그 외 한국적 이미지의 요소를 이용한 스타일링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아이템의 분석 결과 전통 아이템의 한복 치마와 현대 아이템의 원피스 드레스가 많이 사용되었으며, 그 밖에 전통 아이템인 저고리와 속곳 및 현대 아이템인 재킷, 스커트, 베스트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컬러 분석에는 전통색인 오방색, 오간색, 백색이, 현대 컬러로는 화이트와 블랙, 비비드 톤의 레드와 블루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었고, 한국적 이미지를 현대 컬러인 화이트와 블랙으로 모던하게 표현하고, 포인트 컬러로 비비드 톤의 블루와 레드를 사용함을 알 수 있었다. 소재 분석 결과 전통 소재로는 모시, 견, 모본단이, 현대 소재로는 모피, 레이스, 실크 등의 순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한국적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한 전통 소재로는 모시가, 현대 소재로는 모피가 많이 사용되고 있었으며, 전통과 현대 아이템에 레이스가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문양은 전통 문양의 꽃자수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그 외 매화, 구름, 모란과 현대 문양에는 꽃, 물방울, 줄 등이 사용되고 있었다. 이에, 한국적 이미지 표현에는 꽃자수를 활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헤어&메이크업은 전통 헤어 스타일로 얹은 머리, 상투 머리, 쪽진 머리가, 현대 헤어 스타일에는 업 스타일, 단발 머리, 긴 머리가 나타났다. 한국적 이미지를 나타내기 위해 전통 아이템 스타일링에서는 전통 헤어 스타일을 이용하여 전체 의상과의 조화를 이루거나, 그와 반대로 현대 헤어 스타일을 이용하여 모던한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메이크업은 한국적 이미지를 나타내기 위해 흰 얼굴, 가는 눈썹, 붉은 볼과 입술로 표현된 한국적 전통 이미지의 메이크업이 연출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액세서리는 전통적 액세서리로 버선, 고무신, 토시, 현대적 액세서리로는 하이힐, 장갑, 벨트 등이 사용되고 있었다. 전통 아이템을 이용한 스타일링의 경우는 전통 액세서리가, 현대 아이템을 이용한 스타일링의 경우는 현대 액세서리가 더 많이 사용되고 있어 액세서리는 전체 의상 스타일에 따라 적절한 조화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보그 코리아의 에디토리얼 패션 스타일링 분석 결과와 패션 스타일리스트 전문가 인터뷰 조사를 바탕으로 2013년 S/S 트렌드를 반영한 ‘Modern Elegance’라는 테마를 설정하고, 한국적 이미지의 에디토리얼 패션 스타일링 8착장을 제작하였다. 이상으로 한국적 이미지를 반영한 에디토리얼 패션 스타일링 제작을 통해 세계에 한국적 이미지를 이용한 패션 스타일링 방법을 제시하고, 패션 매거진의 해외 발행 및 SNS를 통한 해외 진출시 한국 패션 산업 발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