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성이-
dc.contributor.author한혜원-
dc.creator한혜원-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16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16Z-
dc.date.issued1990-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65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99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659-
dc.description.abstract현재 그대로의 자기와 마땅히 되지 않으면 안된다고 생각하고 있는 자기와의 불일치로 인한 자아 갈등은 많은 신체적, 심리-사회적, 영적문제를 야기시킨다. 이러한 갈등의 원인은 자신의 본질, 가치 및 삶의 의미를 바로 알지 못한 것에 있다고 보인다. 따라서 자아갈등으로 인한 내부적 긴장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인간의 욕구와 본질 및 능력 등이 전체적인 시각에서 규명되어져야 하며, 이를 위한 접근책이 나와야 한다고 본다. 이제까지 사회사업 전문영역에서는 과학적이고 설명적인 사회과학의 방법과 이론에 근거해서 인간을 총제적으로 이해하고자 노력해 왔다. 그러나 사회과학은 실증적인 면에 관심이 집중되어 있어서 인간 구성부분의 한 측면이 되는 영적인 면이나 초월적인 면 그리고 다른 구성요소들간의 관계에 대해서는 충분한 설명을 해 주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 사회사업에서도 인간을 이해하는 시각에 있어서 영적 차원에 대한 연구가 소홀이 되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인간의 영적기능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아울러 인간에 대한 전체적인 시각을 제시한 뒤 문제 해결을 위한 사회사업적 접근 모형을 개발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본 연구에서 달고 있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 이론적 배경에서는 인간의 본질로 일컬어지는 자아구조(self structure), 자아의 발달 그리고 자아실현에 관한 여러 이론적 관점들을 분석하였다. 둘째로, 위의 분석결과를 기초로 한 자아개념틀을 구성하였다. 셋째로, 영적 자아기능을 강조하는 기독교인의 자아실현 방법을 이론적으로 고찰해 보았다. 넷째로, 기독교인의 자아실현 방법을 활용해서 자아갈등으로 인해 생겨나는 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접근책의 모형을 강구하였다. 다섯째로, 사회사업 영역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문제해결 모델(Problem-solving Model)과의 차이를 인간의 본질, 문제의 본질, 워커와 클라이언트와의 관계, 개입과정, 개입목표의 다섯가지 관점에서 비교 분석함으로써, 이 자아개념 접근법의 논리적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아울러 제시된 자아개념 접근법을 실제 사례에 적용시켜 이 접근법의 유용성을 실험적으로 검증하였다. 이상의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인간의 총체적 영상으로 정의되는 자아의 구성은 신체적, 심리-사회적, 영적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이 세요소는 신체영상, 언어, 중요한 타인들로부터의 송환(feedback), 성 역할 모형 등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한 개인의 자아체계로 형성되어 단계적으로 성장해 나간다. 각 성장단계에서 자아는 결합과 분리의 차원을 갖게 되는데 만일 결합과 분리의 차원이 균형을 이루면 자아는 안정감을 갖고 계속 성장하여 자아실현으로 나아가지만 균형을 잃으며 자아는 불안감과 긴장으로 인해 신체적, 심리-사회적, 영적인 면에서 여러가지 문제점을 야기시킨다. 그러나 기독교 신앙인들은 자아의 불균형으로 인해 문제가 야기될 때 이를 성장의 기회로 삼고, 자신을 부인하고 절대적 자아와 결합함으로써 이로부터 생겨나는 힘으로 분리의 차원으로 특징지어진 자아초월을 도모하여 자아실현에 도달한다. 다시 말해서 신체, 심리-사회적 자아의 기능만으로는 자아초월 과정을 통과하기 어렵기 때문에 영적자아의 기능을 받아들여 자아의 분리와 통합상의 균형을 이루면서 자아실현으로 나아간다. 여기에서 자아실현이란 “참자아”(real self)가 된 상태로서, 신체, 심리-사회적, 영적 자아기능이 충분히 발달하여 자아의 통합이 이루어진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방법은 사회사업실무에서 자아갈등 문제를 가진 클라이언트들을 위한 문제해결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 기독교 신앙인의 영적 성숙 방법을 활용한 문제해결 접근법은 일반적인 문제해결 접근법과 비교해 볼 때 클라이언트의 자아와 그의 문제를 좀 더 포괄적 시각에서 접근하도록 해 준다. 또한 클라이언트의 자아는 워커와 클라이언트와의 보다 강한 정신적 융합에 의해서 자아초월로 나아가 절대적 자아와 결합하여, 영적 에너지를 공급받는다. 이 힘으로 클라이언트는 영적 자아기능을 강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체, 심리-사회적 자아기능까지 강화시킬 수 있고 이러한 결과 자아통합으로 성장케 해주므로 개입의 효과가 더 크며 보다 높은 경지에서 개입목표가 달성된다. 사례의 적용결과는 위에서 말한 변화들을 실제로 보여 주었다. 다시 말해서, 클라이언트는 자신을 신체, 심리-사회적, 영적 전체성 속에서 보게 되었고 절대자와의 만남에 의해 영적인 힘을 공급받아 성장의 방해 요소가 되어왔던 공포나 두려움 그리고 감정의 억압에서 해방될 수 있었다. 이러한 경험은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자신감을 가지고 현실에 적응하도록 이끌었다. 이러한 성장의 결과는 클라이언트의 신체적, 심리-사회적, 영적 자아를 통합하는 방향으로 성장해 나가도록 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자는 이 논문에서 사회사업 실무영역에서 활용될 수 있는 자아접근법을 제시하였지만 이것이 사회사업 실무에서 토착화되기 위해서는 앞으로 실험을 통한 더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또한 이러한 연구를 위해서 보다 더 적절한 기법들과 측정도구들이 개발되어져야 한다고 생각된다. ; One’s internal conflict which is caused by the discrepancy between actual state of one’s ‘self’ and perception of self ideal brings about various physical, psycho-social and spiritual problems. This conflict of self is originated from one’s misperception of the fundamental nature of self, values and meaningful life. In order to resolve this kind of problems, one’s desire, self recognition, and one’s capabilities need to be defined and assessed from holistic perspective of human nature. Countermeasures for those problems should be established from the viewpoint accordingly. So far in the professional field of social work, human being has been understood based upon scientific theories and methods available. Since social science is mainly concentrated upon behavioral aspects of social phenomena and their explanation, resulting theories do not effectively cope with the overall aspects of physical, psycho-social, and spiritual dimension, self-transcendence and their inter-relationship. Particularly the spiritual dimension in understanding of person has not been sufficiently recognized, which is the major theme of this study. This study, therefore, emphasizes on the nature of spiritual self, its function, self-actualization and their inter-relation-ships. Expanding the scope of perspective of human personality to the realm of spiritual conception, this author tries to develop a social work problem-solving model of more comprehensive natur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following themes are argued such as : Firstly, for the theoretical background, review and analysis of various concepts and theories are presented on human nature, self-structure, development of self and self-actualization. Secondly, framwork of self-concept is established based upon the result of various analytical presentations. Thirdly, theoretical search of Christians’ self-actualization is performed who are fully conscious of the function of spiritual self. Fourthly based on the third module effort, a generalized problem-solving model is developed for the resolution of internal conflicts. Fifthly the proposed model is compared with an existing problem-solving model of general social work practice in order to test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odel. Five criteria used for the comparative study are : (1) nature of the person : (2) nature of the problem : (3) worker and client’s relationship : (4) process of intervention and (5) goal of intervention. Then, the suggested model was applied in an actual case study to testify its applicability. Findings of the effor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 The structure of human-self is made of physical, psycho-social, and spiritual components. These three components grow into a person’s system of self through a evolutionary process, being influenced by factors such as physical feature, language, feedback from other persons which are regarded important, sexrole model, and child raising style. In each stage of development, these three components interact and a person experiences dimensions of integration and separation of self components. While the components of self are well balanced, a person can maintain security and progresses toward self-actualization. If, however, the balance is not maintained, the self then exhausts its energy due to anxiety and tension, and becomes to show physical, psycho-social, and spiritual problems. This process of alternating balance and unbalance among the components of self, then growth and chaos of personality provides a cule for resolving clients’ self-conflict in social case work. When the Problem-solving Model, which is based on Christians’ process of spiritual development, is compared with general problem-solving model, the proposed model seems to provide more comprehensive perspective for the understanding of client’s self and his/her problems. Client’s self can procede to grow to self-transcendence by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er and client while consciousness of client’s spiritual self is developed and reinforced. As a consequence, spiritual resource is generated that can be used in enforcing capacity of physical, psycho-social self function. Thus the client will procede to self-integration. This illustrated that the intervention using the suggested approach can be quite effective and achieve the goal in the higher level. The utility of this model in a case study is well demonstrated. The client understood herself as a physical, psycho-social and spiritual being from a comprehensive perspective. Meeting with God and receiving Spiritual Energy from the relation-ship, the client was freed from the fear, horror and repression of emotion which hindered her from growing to an integrated personality. Through this experience, she developed confidence. This made her develop self function, self esteem and provided her adaptability to the reality. Consequently, her physical, psychosocial and spiritual self has grown toward thedirecton of self-integration. The proposed problem-solving model has been elaborated and justified through this study to become useful for practical intervention in social casework. This dissertation opens a new paradigm toward social work problems and provides a new way of thinking for social workers. Though a foundation for the spiritual-self-method is layed, more research, empirical testing and developing of proper strategies and tools for performance will certainly make the proposed model more correctly applicable in general practice of social work.-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ⅷ I. 서론 -------------------------------------------------------------- 1 A. 문제의 제기 ------------------------------------------------------ 1 B. 연구의 목적 ------------------------------------------------------ 8 C. 연구의 방법 ------------------------------------------------------ 9 II. 이론적 배경 ------------------------------------------------------ 11 A. 자아개념의 구성 -------------------------------------------------- 11 1. 일반적 자아개념의 이론적 규명 ----------------------------------- 11 2. 개별사회사업에서의 자아의 위치 ---------------------------------- 32 3. 개별사회사업에 있어서 영적자아의 중요성 ------------------------- 41 4. 통합적인 자아개념틀 --------------------------------------------- 52 B. 자아개념의 인식에 의한 자아발달 현상 및 과정 --------------------- 55 1. 자아의식 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 -------------------------------- 55 2. 자아발달과정 ---------------------------------------------------- 59 3. 자아발달의 결과와 행태상의 변화 --------------------------------- 64 C. 기독교 신앙적인 자아실현의 방법과 의의 --------------------------- 66 1. "자아실현"의 신앙적 의미와 논리적 설명 -------------------------- 66 2. "자아실현"의 방법 및 과정 --------------------------------------- 69 3. "자아실현"의 과정상의 문제점 ------------------------------------ 74 III. 방법론적 접근 모색 ---------------------------------------------- 76 A. 방법론적 접근 영역의 규명 ---------------------------------------- 76 1. 신체적 무능력 --------------------------------------------------- 77 2. 심리-사회적 혼란 ------------------------------------------------ 77 3. 영적노예상태 ---------------------------------------------------- 78 B. 영적 자아의식 강화방법을 활용한 다각적 자아접근법의 모형개발 ----- 80 1. 개입의 목적 ----------------------------------------------------- 81 2. 개입 과정 ------------------------------------------------------- 82 3. 방법론적 전략 및 기술 ------------------------------------------- 89 4. 워커가 지녀야 할 태도 ------------------------------------------- 93 5. 클라이언트의 과제 ----------------------------------------------- 94 6. 자원 ------------------------------------------------------------ 94 C. 기존의 사회사업 접근법과의 비교분석 ------------------------------ 96 1. 인간 본질에 대한 시각 ------------------------------------------- 97 2. 문제의 본질에 대한 시각 ----------------------------------------- 98 3. 워커와 클리이언트와의 관계형성 ---------------------------------- 98 4. 개입과정 -------------------------------------------------------- 99 5. 개입목표 --------------------------------------------------------100 IV. 상담 사례에의 적용과 타당성 검토 ---------------------------------103 A. 영적 자아의식을 활용한 접근법의 적용 -----------------------------103 1. 사례 ------------------------------------------------------------103 2. 개입과정 --------------------------------------------------------106 B. 모델실시의 평가분석 ----------------------------------------------136 1. 평가도구 --------------------------------------------------------136 2. 분석평가 --------------------------------------------------------137 3. 종합평가 --------------------------------------------------------143 V. 결론 --------------------------------------------------------------144 참고문헌 -------------------------------------------------------------150 영문초록 -------------------------------------------------------------16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01873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사회사업학과-
dc.title사회사업 실천에 있어서 통합적 자아의 형성과 활용에 관한 연구 : 영적 자아 강화를 중심으로-
dc.typeDoctoral Thesis-
dc.format.page182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사업학과-
dc.date.awarded199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