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오숙환-
dc.contributor.author조선영-
dc.creator조선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16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16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90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99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904-
dc.description.abstract인간에게 예술이라는 의미가 이해되기 시작한 중세 이후로부터 우리는 인간이 자신의 혼을 담아 자신의 내면에 존재하는 욕구를 표현한 것에 대하여 의미를 부여하고 이를 예술로서 인정하게 되었다. 이 표현 방법에는 다양한 양식이 있는데 그 중에서도 시와 회화는 깊은 연관성을 지닌다. 시인이나 화가는 대상을 표현할 때 재현으로서가 아니라 작가의 정신적 배경과 내면상태, 그리고 내재하고 있는 기억과 상상력을 바탕으로 새로운 세계를 창조해 내는 데 의미를 두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작가의 창조 행위는 자유로운 상징적 표현으로 함축되어 시언어와 시각언어로 나타난다. 시의 언어가 완전한 문장을 쓰지 않고 단어의 나열만으로도 이해가 가능한 것은 그것이 인간의 연상력에 작용하는 힘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며 이러한 연상력은 감상자에게 다양한 심상을 느끼게 한다. 본 연구는 이렇게 문자 언어로 표현된 시를 통해 느낄 수 있는 심상을 시각 언어인 회화로 조형화 하는 작업을 시도하고 있다. 조형(造形)이란 여러 가지 것을 사용하여 어느 관념에서 형체를 만들어 내는 것을 뜻하며 어떤 물질을 빌려 이것에 필요한 형태를 부여하는 행위이다. 또한 인간이 표현의도를 가지고 그 의지를 물(物)로서 객관화하는 과정이며, 인간이 창조한 기법으로 표현해 내는 것이다. 따라서 시에서 느껴지는 심상을 조형화 하는 과정은 예술에 있어서 문학적 요소인 시를 조형적 요소인 회화의 기법으로 표현해 보려는 시도인 동시에 문자 언어인 시와 시각 언어인 회화의 특성을 조화시켜 표현하고자 한 시도이며, 표현 과정에서 시가 지니는 언어적 전달의 기능에서 더 나아가 시각적 이미지화로 인한 새로운 심상의 예술적 표현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시각 조형화 대상으로, 다양한 형태와 이미지를 보여주고 있는 물(水)을 소재로 한 김영랑과 윤동주의 시를 선정하여, 선정된 시에 나타난 물에 대한 심상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시는 인간의 감성을 잘 표현할 수 있는 예술이며 함축된 의미 해석이 다양하게 이루어 질 수 있으므로 시각적 형태를 표현 방법으로 하는 회화로의 변환을 시도하기에 적합한 조건을 지니고 있다는 사실의 근거를 재정립하였다. 시를 조형화 하는 단계에서는 시에서 느껴지는 심상을 조형화 요소로 삼아, 화면이라는 제한적이면서도 무한한 가능성의 공간에 묵(墨)이 만들어내는 자율적 형태로 심상을 시각화 하고자 하는 목적의 가능성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시각화의 단계에서 대상의 객관적 재현보다는 함축적이며 상징적이고, 생략을 통한 조형요소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시와 회화에서 느낄 수 있는 심상의 교류를 내재화하여 작업을 하고자 하는 앞으로의 방향에 발전의 기회가 되었으면 한다.;Since the Middle Ages when mankind starte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art, we give meanings to the things that human beings express the internal desire and recognize them as art. There are various mode in such expression, poetry and painting are closely related. Expressing the objects, poets and artists give meanings to create new world on the basis of their mental background or interior conditions, remembrance, and imagination not simple representation. So the creative works of them are expressed as poetic language and visual language implied by liberal and symbolic expression. The reason that poetic language can be understood by arranged words that it has the power of affecting the association of mankind, and we can feel diverse images by such association. This thesis tries to form paintings out of the images of poetry expressed by linguistic language. Formation is to make shapes by certain conceptions using various things, namely to choose some matter and give necessary forms. It is to objectify a will, expressive intention into certain objects, to express them by human techniques. And then, the process of forming images of poetry is an attempt of expressing poetry which is an literary factor by painting which is formative factor as well as harmonizing poetry, linguistic language with painting, visual language. To improve the linguistic communication ability of poetry, the expressive process has an aim for expressive possibility of new images by visualization. The poems by Young Lang, Kim and Dong Joo, Yun is chosen since the images of water in the poems are various shapes and images of water for visualization. In this process, poetry is an art which can express human emotion and be interpreted implicitly, diversely, so the basis of truth that the poems have proper condition of changing for painting. In the formation level, the images felt by poems are chosen for formative factor, the visualization of the images is the free shapes by China ink in spaces of finite as well as infinite possibility. In addition, the process of visualization, the objects are not the objective representation but the formative factors which is implicit, symbolic, omissible. This study will be an opportunity of advance in future works by the communication of images in poetry and painting.-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 I. 서론 = 1 1. 연구 목적 = 1 2. 연구 내용 및 방법 = 2 II. 시의 시각화(視覺化) = 4 1. 시와 회화의 상관성 = 4 2. 만 레이(Man Ray) 의 조형화 된 시(詩) 로서의 오브제 미술 = 9 III. 물(水)에 대한 심상(心象)의 내면화 = 19 1. 김영랑의 시 = 19 <내 마음의 어?? 듯> = 19 <황홀한 달빛> = 21 <江 물> = 23 2. 윤동주의 시 = 25 <햇 비> = 25 <自畵像> = 26 <바람이 불어> = 28 IV. 물(水)에 대한 시적 심상(心象)표현 = 31 1. 생명력의 물과 묵(墨)의 자율성 = 31 2. 자아 성찰의 물과 선(線) = 34 V. 작품분석 = 38 VI. 결론 = 68 참고문헌 = 70 영문초록 = 7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8390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물(水)에 대한 시적 심상(心象)의 회화적 표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김영랑, 윤동주의 시를 중심으로-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동양화과-
dc.date.awarded200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