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안나-
dc.contributor.author이미선-
dc.creator이미선-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16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16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8015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98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0157-
dc.description.abstract전통적으로 자녀교육은 어머니의 몫이었다. 한국사회에서 어머니는 자녀교육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해왔다. 그러나 현대 사회에서는 주로 가정에서 자녀교육에 시간과 열정을 쏟아 부었던 어머니들의 모습이 변화하고 있다. 여성의 사회경제활동이 증가하고 결혼 후에도 직업을 유지하는 어머니들이 증가하면서, 자녀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역할도 변하고 있는 것이다. 어머니의 경제활동참여가 자녀교육에 미치는 영향은 양면성을 갖는다. 우선, 어머니가 직업이 있는 경우, 어머니가 자녀교육에 투입할 수 있는 시간과 여유가 줄어들게 된다. 때문에 전업주부인 어머니보다 직업이 있는 어머니의 자녀교육지원활동이 적을 수 있고 그로 인해 자녀의 학업성취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하지만 단순히 어머니의 직업유무만으로 자녀교육지원활동에 대해 평가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어머니의 직업지위가 높은가 낮은가에 따라서 자녀교육지원활동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어머니의 직업지위가 높은 경우, 어머니 직업지위로 인해 획득되어지는 경제적 자본, 문화적 자본 및 사회적 자본이 자녀교육지원활동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자녀의 교육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반면, 어머니의 직업지위가 낮은 경우, 직업이 있는 어머니가 가정에서 자녀의 교육에 쓸 수 있는 시간이 적은 것에서 오는 부정적 측면이 있다. 뿐만 아니라 직업지위로 획득할 수 있는 자본의 양이 적어 직업지위가 높은 어머니에 비해 자녀교육에 큰 도움이 되지 못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자녀의 교육과 학업성취에 이중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어머니의 직업지위가 자녀의 교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다양한 각도에서의 분석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사회에서 어머니의 ‘직업지위’ 변인이 자녀교육에 미치는 영향과 의미를 알아보고자 어머니의 직업지위를 나누고, 각 지위별 어머니의 자녀 교육에 대한 지원과 관여가 어떠한 특징과 성격을 드러내고 있는지, 자녀의 교육지원활동의 차이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어머니의 교육지원활동이 자녀의 학업성취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는지 분석해 보았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직업지위에 따라 자녀교육지원활동에는 차이가 있는가? 둘째, 어머니의 직업지위에 따라 자녀의 학업성취에는 차이가 있는가? 셋째, 어머니의 직업지위, 자녀교육지원활동, 자녀의 학업성취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넷째, 어머니의 직업지위에 따른 자녀교육지원활동은 자녀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주는가? 이 문제들을 검증하기 위해 한국교육종단연구 1차년도의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1차년도의 자료 중 응답자가 직업이 있는 어머니인 것을 선택하고, 결측치를 제거한 결과 총 2,143명의 응답을 최종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연구문제의 적절성에 따라 빈도분석, 일원분산분석(one-way AVOVA, Welch ANOVA), 사후검정(Scheffe, Games-Howell), Pearson 상관분석, 위계적 중다회귀분석(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분석한 자료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어머니의 직업지위에 따라 자녀교육지원활동에 차이가 있었다. 어머니의 직업지위가 높아질수록 어머니의 자녀교육지원활동, 즉 학습지도, 문화적 경험, 학업생활관리, 생활 및 시간통제 지원활동이 높게 나타났다. 즉, 어머니의 직업지위가 높은 집단이 가장 많은 자녀교육지원활동을 하고, 직업지위가 중간인 집단, 직업지위가 낮은 집단의 순서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직업지위에 따른 어머니의 자녀교육지원활동 차이의 분산분석에서도 통계적 유의성이 나타났다. 이 결과로 어머니의 직업지위에 따라 자녀교육지원활동에 차이가 있다는 가설이 검증되었다. 둘째, 어머니의 직업지위에 따라 자녀의 학업성취에 차이가 있었다. 어머니의 직업지위가 높을수록 자녀의 국어, 영어, 수학 학업성취가 높게 나타날 것이라는 가설은 입증되었다. 국어, 영어, 수학 모든 과목에서 직업지위가 높은 어머니를 둔 자녀의 학업성취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직업지위가 중간인 집단, 직업지위가 낮은 집단의 순으로 나타났다. 집단 간의 차이는 영어 과목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어머니의 직업지위 간 유의한 차이를 검증한 결과, 어머니의 직업지위가 높은 집단과 중간인 집단,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중간인 집단과 낮은 집단 사이에서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직업지위, 어머니의 자녀교육지원활동, 그리고 자녀의 학업성취 간의 상관관계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직업지위는 어머니의 자녀교육지원활동, 즉 학습지도, 문화적 경험, 학업생활관리, 생활 및 시간통제와 정적 상관이 나타났고, 자녀의 학업성취와도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어머니의 자녀교육지원활동은 자녀의 국어·영어·수학 학업성취와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다만, 어머니의 자녀교육지원활동 중 ‘생활 및 시간통제’와 자녀의 학업성취 중 ‘국어 학업성취’간의 상관관계는 유의하지 않았다. 넷째, 자녀의 학업성취에 대한 어머니의 직업지위와 자녀교육지원활동의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국어·영어 학업성취는 어머니의 직업지위와 학습지도, 문화적 경험과 학업생활관리에 영향을 받았다. 어머니의 직업지위가 높을수록, 그리고 자녀교육지원활동 중에서 학습지도 지원활동, 문화적 경험과 학업생활관리가 많을수록 국어·영어 학업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학 학업성취는 어머니의 직업지위와 학습지도와 학업생활관리에 영향을 받았다. 어머니의 직업지위가 높을수록, 그리고 자녀교육지원활동 중 학습지도 지원활동과 학업생활관리가 많을수록 수학 학업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형2에서 모형1에 어머니의 자녀교육지원활동을 추가하여 그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세 과목 모두에서 모형1에 비해 어머니의 직업지위의 β값이 감소하고, R2의 값이 증가하였다. 이를 통해 어머니의 직업지위는 자녀교육지원활동을 매개로 자녀의 학업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첫째, 본 연구에서 어머니의 직업지위가 높고 낮음에 따라 어머니의 자녀교육지원활동과 자녀의 학업성취에도 격차가 생기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학업성취의 격차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직업지위가 낮은 어머니들의 자녀교육지원활동을 지원해 줄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거나 자녀교육지원활동을 대체할 수 있는 적절한 정책의 마련이 필요하다. 둘째, 어머니의 자녀교육지원활동이 항상 자녀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어머니들이 올바른 자녀교육지원활동을 할 수 있도록 어머니의 자녀교육지원활동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아울러, 본 연구는 실증적인 자료를 통하여 어머니의 직업지위가 가지는 의미와 어머니의 직업지위에 따라 자녀교육지원활동의 차이가 생기고, 그에 따라 자녀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나, 동시에 여러 제한점도 가지고 있어 개선 및 후속연구의 실행이 필요하다. 어머니의 자녀교육지원활동의 세부 항목이 기존의 설문 항목에서 선택되었기 때문에, 이 외에도 다양한 범위에서 구성이 되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어머니의 직업지위에 따른 자녀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을 탐색해 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Traditionally mother takes overall responsibility for child education. In Korean society, mothers have had the leading role in child education. However, changes are occurring in modern society in mothers who puts her time and passion into her child education mostly at home. The role of mother on her child education is changing as social and economic activities of women increase and as more women maintain her jobs after marriage. There are two-sides to the effect of mother’s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on child education. First of all, if mother have jobs, her time to spare on child education decreases. Therefore, a working mother might have less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for children than a full-time housewife, and this could lead to a negative effect on child’s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it is difficult to evaluate mother’s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for children simply depending on her employment status. Because the effect of mother’s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for child can vary depending on whether her occupational status is high or low. That it, if mother’s occupational status is high, economic capital, cultural capital, and social capital obtained from her high occupational status have an effect on her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for children, and this could benefit to her child education. On the other hand, if her occupational status is low, there are negative aspects coming from fewer hours spent on child education at home while she works. Furthermore, on account of small quantity of capital she earns from her low occupational status, she benefits less from her working status than mothers with high occupational status, and this lead to doubly negative effects on her child’s education. Therefore, a research from diverse perspectives is needed for mother’s employment status and occupational status on child education. This study starts from the above ques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characteristics were revealed by mother’s support and involvement in child education according to mothers with the different status, and how differences in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for children were brought up to understand the effect and meaning of mother’s occupational status factors on child education by dividing mother’s occupational status. Besides, it also analyzes the effect of mother’s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on child’s academic achievement. Research problems of this study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s are as follows. Firstly,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for children according to mother’s occupational status? Secondly,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child’s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mother’s occupational status? Thirdly,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child’s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mother’s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Fourthly,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child’s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mother’s occupational status and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To verify these research problems, the first year data of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was utilized and analyzed. Total 2,143 answers were analyzed as a final data by selecting answers made by mothers and excluding the missing values. To analyze the data, frequency analysis, one-way and Welch AVOVA, Scheffe and Games-Howell Post-hoc comparison,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depending on the adequacy of research problems. Study results based on the analyzed data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are differences in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for children according to mother’s occupational status.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mother’s occupational status is, the higher the mother’s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for children such as teaching, cultural experience, guidance, and school life management. That is, the group with high occupational status provides the most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for children followed in order by mother with middle occupational status, and mother with low occupational status. According to one-way AVOVA result, there is a statistical significance in mother’s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for children according to mother’s occupational status. With thes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for children according to mother’s occupational status. Secondly, there are differences in child’s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mother’s occupational status. Like hypothesis stating that mother with the higher the mother’s occupational status is, the higher the child’s academic achievement in Korean language, English, and mathematics will be, the same research result came up. It was found that children of high mother’s occupational status show high academic achievement in Korean language, English, and mathematics followed in order by mother with middle occupational status, and mother with low occupational status. As for differences among subjects, English shows the highest difference. As for analysis result for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mother’s occupational status,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low occupational status and middle occupational status, between low occupational status and high occupational status, and between middle occupational status and high occupational status. Thirdly, mother’s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for children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hild’s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unlike hypothesis stating that all factors wil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hild’s academic achievement, while factors such as educational expenditure on children, activities with children, and school life management have a positive effect on child’ academic achievement, information offering and advice factor has a negative effect. As for the effect of sub-factors of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for children according to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 it was found that activities with children is the highest in all subjects followed in order by educational expenditure on children and school life management. It was found that information offering and advice have a negative effect. Fourthly, as for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 for the effect of mother’s occupational status and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for children on child’s academic achievement, Korean language·English are affected by mother’s occupational status, mother’s teaching, cultural experience, school life management. The higher mother’s occupational status and the more mother’s teaching, cultural experience and school life management among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for children is, the more positive effect on child’s academic achievement in Korean language·English. Academic achievement in mathematics was affected by mother’s teaching, school life management. The higher mother’s occupational status and the more mother’s teaching, school life management among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for children is, the more positive effect on child’s academic achievement in mathemaatics. The higher mother’s occupational status and the more educational expenditure on children, activities with children, and school life management among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for children is, the more positive effect on child’s academic achievement in English. Mathematics was affected by mother’s occupational status, activities with children, and school life management. The higher mother’s occupational status and the more activities with children, school life management among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for children is, the more positive effect on child’s academic achievement in mathematics. The proposals based on the abov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mother’s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for children and child’s academic achievement depending on mother’s high or low occupational status. To narrow the gap in academic achievement, there should be a program designed for mothers with low occupational status to support their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for children, and an appropriate policy which substitutes their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for children should be made. Secondly, since mother’s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for children do not always have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 there should be a program designed for mother’s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for children to help mothers provide appropriate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for children. Additionally, this study is a good addition to the related research studies because it confirm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mother’s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for children depending on the meaning of mother’s occupational status and mother’s occupational status by using empirical data and tried to analyze the effect on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for children based on these findings. Since subfactors of mother’s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for children were selected from the existing questionnaires, a structure from diverse extent should be made in addition to it, and further research should done to investigate various factors that affect child’s academic achievement depending on mother’s occupational statu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와 연구가설 3 C. 용어의 정의 6 1. 직업지위 6 2. 자녀교육지원활동 7 3. 학업성취 7 Ⅱ. 이론적 배경 9 A. 어머니의 직업지위와 자녀교육 9 1. 어머니의 직업지위와 그 의미 9 2. 어머니의 직업지위와 자녀교육지원활동 11 B. 어머니의 자녀교육지원활동 17 1. 자녀교육지원활동의 일반적 개념 및 분류 17 2. 어머니의 자녀교육지원활동의 특성 20 C. 어머니의 직업지위 및 자녀교육지원활동과 자녀의 학업성취 25 1. 어머니의 직업지위와 자녀의 학업성취 25 2. 어머니의 자녀교육지원활동과 자녀의 학업성취 31 Ⅲ. 연구방법 36 A. 분석자료 36 1. 분석자료의 특징 36 2. 본 연구의 분석 대상 38 B. 변인구성 38 1. 독립변인 40 2. 매개·과정변인 40 3. 통제변인 42 4. 종속변인 42 C. 분석방법 44 Ⅳ. 연구결과 46 A.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46 B. 어머니의 직업지위에 따른 자녀교육지원활동 50 C. 어머니의 직업지위에 따른 자녀의 학업성취 53 D. 어머니의 직업지위, 자녀교육지원활동, 자녀의 학업성취의 상관관계 55 E. 어머니의 직업지위와 자녀교육지원활동에 따른 자녀의 학업성취 57 Ⅴ. 결론 및 제언 64 A. 결론 64 B. 제언 67 참고문헌 70 부록 79 ABSTRACT 8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0278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어머니의 직업지위와 자녀교육지원활동이 자녀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ffect of Mother’s Occupational Status and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for Children on Child’s Academic Achievement-
dc.creator.othernameLee, Mi Sun-
dc.format.pageviii, 8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201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