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곽삼근-
dc.contributor.author손주희-
dc.creator손주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14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14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8067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97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0679-
dc.description.abstract최근 들어 사회과학적 담론의 중심을 차지하고 있는 개념 중 하나가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이다. 이 개념은 개인 간의 관계나 사회적 네트워크로부터 생겨나는 상호성과 신뢰의 규범을 말하는 것으로, OECD나 World Bank와 같은 국제기구들도 국가와 지역 발전을 위해 사회적 자본의 역할이 중요함을 연구결과를 통해 강조하고 있다. 자율성을 갖춘 행위자의 복권과 평생학습을 강조하며, 인간의 삶의 질 향상을 통한 지역사회 발전과 공공선의 창출이라는 목적을 표방하는 평생교육의 분야에서도, 평생학습의 네트워크를 통한 삶의 질 향상에 대해 높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뿐만 아니라, 사회적 유대관계로부터 생겨나는 사회적 자본과 사회적 관계망을 배경으로 하는 평생학습과의 밀접한 관련에 대해 주목하고 있다. 평생학습 네트워크를 통한 지식 공유와 삶의 질 향상의 기반에는 사회적 관계망이 전제되어야 하며 이러한 사회적 관계망 형성에는 관계 맺음을 통해 형성된 신뢰와 자발적 참여가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사회적 자본과 평생학습과의 밀접한 연관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자본의 구성요소인 ‘신뢰 및 호혜성’, ‘네트워크’, ‘사회참여’ 수준과, 평생학습 참여촉진을 위해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두 가지 요소인 평생학습 참여정도와 평생학습 참여동기와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밝혀, 평생학습 참여 제고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신뢰 및 호혜성’, ‘네트워크’,‘ 사회참여’ 수준을 평생교육 성인학습과정 참여자 집단의 개인특성에 따라 비교 분석하였고, 둘째, 평생교육 성인학습 과정 참여자 집단의 사회적 자본 구성요소 보유수준과 평생학습 참여 강좌 수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셋째, 평생교육 성인학습 과정 참여자 집단의 사회적 자본 구성요소 보유수준과 평생학습 참여동기의 관계를 분석하여, 사회적 자본 구성요소 보유수준과 평생학습 참여와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평생교육 성인학습 과정 참여자 집단의 사회적 자본 구성요소 보유수준을 측정하고 평생학습 참여동기를 분석하기 위하여, 4곳의 평생교육기관(E대학 평생교육원, 경기 G시 평생학습관, 서울 G구 평생학습관, 서울 M구 평생학습관)에서 평생학습 과정에 참여하고 있는 20세 이상 남녀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361부가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자료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계수분석,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t-test, 일원분산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개인적 특성에 따라 사회적 자본 구성요소 보유수준에 차이가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고 고연령층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학력이 높아짐에 따라 ‘신뢰 및 호혜성’, ‘네트워크’, ‘사회참여’ 수준도 높아졌다. 소득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고 ‘신뢰 및 호혜성’, ‘네트워크’, ‘사회참여’모두에서 사무직이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신뢰 및 호혜성’, ‘네트워크’, ‘사회참여’ 모두 기혼인 경우가 미혼에 비해 높은 수준을 보였지만 이혼과 사별을 포함하는 기타의 경우가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둘째, 사회적 자본 구성요소 보유수준은 평생학습 참여강좌 수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자본 구성요소 보유수준은 평생학습 참여동기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고연령층에서, 사회적 자본의 세 구성요소인 ‘신뢰 및 호혜성’, ‘네트워크’, ‘사회참여’ 모두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냈으며 노인층의 평생학습 참여 활성화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서비스 확대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프로그램의 활용과 서비스 적용에 있어 사회적 관계망을 고려한 접근이 효과적이라 판단된다. 둘째, 사회적 자본 구성요소는 평생학습 참여정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풍부한 사회적 관계망 안에 있을 때 평생학습에의 참여가 증대된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사회적 자본 구성요소는 평생학습 참여동기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생학습사회를 이루기 위한 기초가 학습하려는 동기의 유발에서 시작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학습하려는 동기는 신뢰를 바탕으로 한 유대관계 안에서 부여될 수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는 참여율 제고를 위한 관심의 초점을 학습자 개인에서 사회적 연결망으로 확대하여 평생학습 사회 구현을 위한 다양한 시각에서의 접근을 시도하였으며, 공급자 중심의 제도적인 참여율 제고라는 이전의 고정된 틀에서 벗어나 소통과 협력의 차원에서 그 가능성을 모색하였다는데 의미가 있으며, 이후 평생학습 참여정도를 온전히 반영할 수 있는 다양한 변인의 추가와 사회적 자본에 대한 실증적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This study is to draw the implications on promoting participation of lifelong learning by empirically revealing the influence that social capital has on the two factors which have to be critically considered in order to promote the participation of lifelong learning;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and the motivation of participating in lifelong learning ,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first, a comparative analysis was done depending on the participants' personal characteristics on the condition of the level of elements composing the social capital that the participants of lifelong learning programs for adults hold.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elements forming the social capital of the participants in the adults' program of lifelong learning and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the lifelong learning is analyzed. Last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the learning programs for adults and the level of elements forming the social capital of the participants in the adults' program of lifelong learning is analyzed to clarify the 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social capital and the participation of lifelong learning. In order to measure the level of elements forming the social capital of the participants in the adults' program of lifelong learning and to analyze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a survey was conducted to participants consisted with both sex, over age 20, from the learning programs for adults, from four lifelong learning institutions located in Seoul and Kyungki-do and the total of 361 sheets were used in the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ly, the level of elements forming the social capital differed by the participants' personal characteristics; a slight difference upon sex; higher level with the oldest age group; the higher level of education, the higher level of elements forming the social capital. No difference was found upon income and by job classification, sales sector shows the highest level in 'trust and reciprocity' while service sector shows the highest in 'social participation'. Secondly, a positive influence was found with all three elements that form the social capital: 'trust and reciprocity', 'network', 'social participation', on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the lifelong learning. Thirdly, the result appears to show that the level of elements forming the social capital have positive influence on the motivation of participating in lifelong learning. After reviewing all the outcomes, a conclusion was drawn as followed. First, all three elements forming social capital showed the highest level in the old-aged group, and the needs was raised to develop programs and to expand the education service in order to promote the old-aged group to participate more in the lifelong learning. An approach concerning social network seems to be effective when utilizing programs and adapting the service. Second, the result showed that the 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gets affected positively by the elements of social capital, and the participation rate rises when the participants are related in a enriched social network. Third, the motivation gets positive affection from the elements of social capital. As well as the motivation conforms the basis to build a lifelong education society, the motivation to be educated starts from inside the boundary of bondage based on trust. This study tried to shift the point of view of promoting the participation rate to a enlarged concept of "social network", with a purpose to approach with a various perspective when building a lifelong-education based society. Also, this study stands out in a way that it searched a possibility in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unlike the existing frame of educator-centered systematic promotion to raise the participation rat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4 C. 용어의 정의 5 1. 평생학습기관 5 2. 성인 학습자 6 3. 학습참여 동기 6 4. 사회적 자본 7 5. 사회적 자본 구성요소 보유수준 7 Ⅱ. 이론적 배경 9 A. 사회적 자본 9 1. 사회적 자본의 개념 9 2. 사회적 자본의 특징 및 기능 15 3. 사회적 자본의 구성요소 18 가. 신뢰 20 나. 호혜성에 기초한 사회적 규범 21 다. 네트워크 22 라. 참여 23 4. 사회적 자본과 교육의 관계 25 B. 성인학습 참여 29 1. 성인학습 참여와 동기 29 2. 성인학습자의 학습참여 동기 유형 30 C. 선행연구 34 1. 평생학습 참여 실태연구 34 2. 평생학습 참여동기 연구 36 Ⅲ. 연구방법 40 A. 연구대상 40 B. 조사절차 43 C. 측정도구 44 1. 사회적 자본의 측정 44 가. 신뢰와 호혜성 영역 47 나. 네트워크 영역 48 다. 사회참여 영역 48 2. 평생학습 참여 동기의 측정 50 가. 목적지향형 동기 50 나. 활동지향형 동기 50 다. 학습지향형 동기 50 3. 측정도구 신뢰도 51 D. 분석방법 52 Ⅳ. 연구결과 54 A. 평생교육기관 성인학습과정 참여자 집단의 사회적 자본 구성요소 보유수준은 어느 정도인가? 54 1-1. 신뢰 및 호혜성 수준은 어느 정도인가? 54 1-2. 네트워크 수준은 어느 정도인가? 57 1-3. 사회참여 수준은 어느 정도인가? 59 1-4. 사회적 자본 구성요소 전체의 수준은 어느 정도인가? 61 B. 사회적 자본 구성요소 보유 수준은 평생학습 참여 정도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63 C. 사회적 자본 구성요소 보유 수준은 평생학습 참여 동기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65 Ⅴ. 결론 69 A. 요약 및 논의 69 B. 결론 및 제언 74 참고문헌 78 부록 -설문지 86 ABSTRACT 9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4624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성인학습자의 신뢰, 네트워크, 사회참여 수준과 평생학습 참여의 관계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Relational Analysis of Adult learner’s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and the Level of trust, network and social participation-
dc.creator.othernameSohn, Ju Hee-
dc.format.pageviii, 9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201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