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정숙-
dc.contributor.author이은주-
dc.creator이은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14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14Z-
dc.date.issued1993-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89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97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898-
dc.description.abstractThe case of Russia exemplyfies how women’s launching into social labour resulted in the problem of double role, in spite of the contribution of women’s economic activities to the gender equality.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burdens of double role experienced by the married working women in the cities of Russia, and to explore how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ir family role and work role are manifested in their lives. This research focused on 300 highly educated women married with pre-school children, working full-time in Moscow. A descriptive research design was used with a questionnare in Russian, which was completed by the respondents themselves. The research questions and the findings according to them are as follows. 1. The performance of domestic role of the married working women in the cities of Russia: The traditional division of gender-role still strongly remains in their home. Their husbands’ help exists, but women’s work is not equally shared with their husbands. In terms of the social services, most of the respondents use day care facilities, but they use services for domestic labour little. 2. The disparity of expectations of gender-role between spouses and marriage satisfaction perceived by the married working women in the cities of Russia: More women have the equality-oriented expectations than their husbands. And the most influential factor to the general marriage satisfaction is the one consisted of the satisfaction at a husband’s help for domestic labour, for child care, and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spouses. 3. Job motivation and job satisfaction of the married working women in the cities of Russia: The psychological reason is greater than the economic reason for their working. And the most influential factor to the general job satisfaction is the one related to the satisfaction at the achievements in the job, compared with the satisfaction at the working hours. 4. The burdens of double role perceived by the married working women in the cities of Russia: The degree of perceiving double burden is generally high, with the need for the spare time highest. Most of them regard having a part-time job and a family as their ideal. For the alleviation of double burden, they suggest the reduction of the working hours, the improvement of the economic situations of the society, and the socialization and mechanization of the domestic labour. 5. The relationships among research question: the degree of the double burden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respondents’ degree of marriage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and their husbands’ degree of the participation in the domestic labour and child care. The variables which influence the degree of double burden are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the number of children(+), the husband’ degree of the participation in the domestic labour and child care(-), the age(+), and the degree of marriage satifaction(-).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the implicaions for Korea are as follows. The case of Russia shows us that women’s social employment without sufficient measures for relieving women’s domestic responsbilities would only result in double burden. The measures include the social services for domestic labour and child care, the substantial redefinition of gender-role, and more possibilities for the part-time jobs and flexible working schedules for both men and women. For these,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problem of women’s double burden and to make a social issue of the problem not leaving it within the personal realm, as well as the social work practices and education oriented to gender equality. ; 여성의 직장 진출이 여성의 지위향상에 공헌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이면에 이중역할이라는 다른 문제를 야기하는데, 이를 잘 보여주는 예로서 러시아를 들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러시아 도시 기혼취업 여성이 경험하고 있는 이중역할의 양상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으며, 그것이 그들의 삶과 어떻게 관련을 맺고 있는지를, 가정영역과 직장영역에 걸쳐 그 관계를 기술하조자 함이다. 이에 대한 문제 제기를 바탕으로 하여 문헌고찰에서는 우선 제 1절에서 사회주의의 여성관을 알아본 후, 제 2절에서는 러시아의 여성 및 가족정책을 여성의 이중 역할과 연관시켜 고찰한다. 그리고나서 제 3절에서는 가사 및 육아의 수행 양상을 공적 서비스 이용과 부부간의 역할분담의 측면에서 고찰한다. 그 다음 제 4절과 제 5절에서는 각각 이중역할의 양 측면인 가정생활과 직장생활에 이중역할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며, 마지막으로 제 6절에서는 이중역할의 해결책에 관한 기존의 논의를 살펴본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모스크바에 사는 기혼여성으로서 전일제로 취업하고 있으며 학령전 자녀(0세-6세)를 하나 이상두고있고 고등교육을 받는 여성이며, 표본의 추출은 모스크바 사회학 연구소의 기업명단에서 직장을 무작위로 추출한 후 각 직장에서 조사대상기준에 부합하는 대상자 300명을 임의로 선정하였다. 조사는 본 연구목적에 맞게 고안된 질문지를 조사대상자가 직접 기입하는 식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조사질문 및 이에 대한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러시아 도시 기혼취업여성의 가사 및 육아 수행의 현황: 가사와 육아에 애하여 성역할의 전통적 구분이 아직도 강하게 존재하며, 남편이 돕기는 하지만 여성의 일이 균등부담되지 않는다. 또한 탁아 서비스의 이용은 어느정도 확립되어 있으나 가사 서비스의 이용은 경미하다. 2. 러시아 도시 기혼취업여성이 지각하는 가사 및 육아 분담에 대한 기대의 부부간 차이와 결혼생활 만족도: 부부간에 일치한다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많고, 그 다음아내가 더 평등지향적인 경우, 남편이 더 평등지향적인 경우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전반적 결혼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용인들 중 가장 영향력이 큰 용인은 가사에 남편도움, 육아에의 남편도움, 남편과의 상호이해에 대한 만족도의 세 변인이 이루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3. 러시아 도시 기혼 취업여성의 직장생활 만족도 및 취업 동기 : 직장 만족에 관련된 용인 중 개인의 직업적 성취에 관한 요인이, 근무시간에 관련된 용인보다 만족도가 낮으며 전반적 직장생활 만족도에 보다 영향력이 크다고 나타났다. 취업동기를 경제적 동기(경제적 필요성)와 심리적 동기로 분류해 볼 때, 단순히 경제적 이유 때문만이 아닌 심리적 이유가 취업동기에 더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러시아 도시 기혼취업여성의 이중역할의 부담 : 이중부담정도는 전반적으로 상위에 속하며, 여가시간에 대한 욕구가 가장 높다. 대부분이 이상적으로 여기는 삶의 형태는 가정과 시간제 직업을 병행하는 것이다. 또한 이중역할 부담의 경감책에 대한 제안 중 근무시간의 감소가 가장 많으며, 그다음으로 현재 러시아가 처한 경제적 위기상항의 개선, 그리고 사가노동의 사회화와 기계화에 관한 제안이 나타났다. 5. 조사질문들간의 관련성 : 이중부담 정도는 남편의 가사육아참여도, 아내(조사대상자)의 결혼생활만족도, 직장생활 만족도와 다 부적 상관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중부담 정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에 관해 보면, 직장에 만족할수록 이중부담을 덜 느끼며, 자녀수가 많을수록 이중부담을 더 느끼고, 남편이 가사 육아에 많이 참여할수록 이중부담을 덜 느끼며, 조사대상자의 연령이 많을수록 이중부담을 더 느끼고, 결혼생활에 만족할수록 이중부담을 덜 느낀다. 이러한 조사결과를 통한 우리나라를 위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의 가정역할의 경감 혹은 해결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의 여성의 취업은 이중역할부담만을 야기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기혼 여성의 취업이 증가일로에 있는 우리나라에서도 여성의 이중역할에 대한 문제의식을 더욱 확고히 해야할 필요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둘째, 여성의 경제활동이 여성에게 이중역할의 어려움을 주는 것은 사실이지만, 동시에 여성에게 심리적 만족감 및 자신감을 부여하는 중요한 용인이 되고 있으므로 여성의 삶을 전업주부라는 규범에만 한정한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점을 우리에게 시사해준다. 셋째, 러시아에서 여성의 이중역할에 대한 논의는 기본적으로 가정은 여성의 책임이라는 인식에 기반을 두어왔다는 데에 근본적 문제점이 있으므로, 가사와 육아에 대한 성역할의 재규정이 필요하다. 넷째, 여성의 이중역할 문제는 많은 부분 사회의 여성에 대한 양면적 기대, 즉 전통적 역할과념과 양성 평등의식의 혼재에 기인하는데, 이러한 점에서 볼 때, 남녀를 막론하고 각 개인에게 어떠한 생활방식의 정형을 강요할 것이 아니라 자기의 취향이나 인생의 주기에 따라서 가사와 취업을 융통성있게 선택할 수 있는 생활방식의 대안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해준다. 다섯째, 러시아의 경우 최소한 탁아 서비스의 양적 확대만은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고 있는데, 이는 문제가 개인적 차원을 넘어서서 사회적 차원으로 이전될 때 해결책이 모색된다는 예가 될 수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공적 서비스에 대하여 사회적으로 쟁점화 할 필요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여섯째, 여성의 이중 역할 문제 및 평등한 부부관계를 위하여 사회복지사업 실천 분야에서도 임상서비스 및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성역할에 대한 재교육을 할 필요가 있다. 일곱째, 통일을 대비하여 북한 여성들의 이중역할을 이해하고 이들을 위한 사회서비스 프로그램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ix 제1장 서론 ----------------------------------------------------------- 1 제1절 문제의 제기 -------------------------------------------------- 1 제2절 연구의 목적 -------------------------------------------------- 9 제3절 연구의 제한점 ------------------------------------------------ 10 제2장 문헌고찰 ------------------------------------------------------- 12 제1절 사회주의의 여성관 -------------------------------------------- 12 1. 사회주의의 인간관 및 여성관 ----------------------------------- 13 2. 사회주의의 가사노동관 ----------------------------------------- 17 제2절 러시아 사회정책과 여성의 이중역할 ---------------------------- 21 1. 레닌의 사회주의 정권 수립기 ----------------------------------- 21 2. 스탈린의 사회주의 정권 확립기 --------------------------------- 23 3. 후르시쵸프의 개혁 시도 및 브레즈녜프의 정체기 ----------------- 26 4. 고르바쵸프의 뻬레스트로이까 및 옐찐의 집권 -------------------- 29 제3절 러시아 도시 기혼취업여성의 가사 및 육아 역할의 수행 양상 ----- 33 1. 가사 및 육아에 대한 공적 서비스 ------------------------------- 34 2. 가사 및 육아의 부부간 분담 ------------------------------------ 39 제4절 러시아 도시 기혼취업여성의 이중역할과 가정생활 --------------- 47 1. 부부간 가사 육아 분담에 대한 기대 ----------------------------- 47 2. 이중역할이 부부관계에 미치는 영향 ----------------------------- 51 제5절 러시아 도시 기혼 취업 여성의 이중역할과 직장생활 ------------- 57 1. 취업동기 ------------------------------------------------------ 57 2. 이중역할이 직장에 미치는 영향 --------------------------------- 61 제6절 이중역할의 해결책에 관한 논의 -------------------------------- 67 1. 가사와 육아의 사회화 ------------------------------------------ 69 2. 시간제 직업의 확대 -------------------------------------------- 72 3. 성 역할에 대한 본질적 재규명 ---------------------------------- 74 제3장 조사방법 ------------------------------------------------------- 77 제1절 조사질문 ----------------------------------------------------- 77 제2절 조사방법 ----------------------------------------------------- 78 1. 조사대상 ------------------------------------------------------ 79 2. 조사도구 ------------------------------------------------------ 80 3. 조사시기 ------------------------------------------------------ 83 4. 자료의표집 ---------------------------------------------------- 83 5. 질문지내 척도들의 타당도 및 신뢰도 ---------------------------- 84 6. 자료의 분석 --------------------------------------------------- 90 제4장 조사대상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 92 제1절 조사대상자의 개인적 특성 ------------------------------------- 92 제2절 조사대상자의 가족적 특성 ------------------------------------- 94 제3절 조사대상자의 직장 특성 --------------------------------------- 96 제5장 조사결과의 분석 ------------------------------------------------100 제1절 가사 및 육아의 부부간 분담 현황 ------------------------------100 1. 가사 및 육아의 부부간 분담 현황 -------------------------------100 2. 가사 및 육아의 공적 서비스 이용 현황 --------------------------107 3. 사회인구학적 배경에 다른 남편의 가사 육아 참여도 --------------109 제2절 가사 및 육아의 공적 서비스 이용현황 --------------------------114 1. 가사육아 분담에 대한 기대의 부부간 차이 -----------------------114 2. 결혼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 ---------117 제3절 사회인구학 적 배경에 따른 남편의 가사 육아 참여도 ------------122 1. 직장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 ---------122 2. 취업동기 및 취업동기에 다른 소득 ------------------------------125 3. 직장이전의 욕구 및 그 이유 ------------------------------------128 제4절 이중역할의 부담 ----------------------------------------------131 1. 이중부담을 느끼는 정도 ----------------------------------------131 2. 원하는 삶의 방식 ----------------------------------------------132 3. 이중 부담 경감을 위한 응답자들의 제안 -------------------------133 제5절 조사질문들간의 관련성 ----------------------------------------139 1. 남편의 가사육아 참여도, 조사대상자의 결혼생활만족도, 직장생활만족도, 이중부담정도간의 상관관계 --------------------139 2. 이중부담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 --------142 3. 기대의 부부간 차이, 취업동기, 원하는 삶의 방식에 따른 남편의 가사육아참여도, 조사대상자의 결혼생활만족도, 직장생활만족도, 이중부담정도의 분산분석 ----------------------144 제6장 결론 -----------------------------------------------------------151 제1절 주요발견 -----------------------------------------------------151 제2절 논의 및 우리나라에 가지는 시사잠 -----------------------------153 참고문헌 -------------------------------------------------------------159 영문초록 -------------------------------------------------------------174 부록 -----------------------------------------------------------------17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70028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사업학과-
dc.title러시아 도시 기혼취업여성의 이중역할부담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format.page208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사업학과-
dc.date.awarded199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