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영수-
dc.contributor.author김정원-
dc.creator김정원-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12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12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85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96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859-
dc.description.abstract정보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라 인터넷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면서 교육적인 측면에서도 웹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형태의 프로그램들이 증가하고 있지만(김영수 외, 1997; 손미, 2000), 인터넷을 통한 정보는 규제가 어렵기 때문에 그 질을 평가하여 학습자에게 좋은 자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Wilkinson et. al., 1997a; 주영주, 이광희, 2001; Schrock, 1999). 또한 웹 기반 학습은 교사와 학습자의 면대면 접촉 없이 학습이 진행되기 때문에 학습자의 학습동기를 유발하고 유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며(백영균, 1998), 이렇게 볼 때, 교육용 웹사이트를 평가함에 있어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 중 하나가 학습동기이다. 그런데 학생과 교사는 인지발달 수준이나 그 입장에 따라 동기 수준이나 동기 유발 요인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학습동기 측면에서 교사나 전문가의 입장에서 우수하다고 판단된 소프트웨어가 실제로 학생들에게도 우수하다고 인식되는지는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습동기에 중점을 두어, 교육용 웹사이트를 평가함에 있어 교사와 학생의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는 학생이 교육용 사이트를 평가하는 관점을 이해하고, 교육용 웹사이트 설계 및 평가시 보다 학생들의 관점을 고려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다루어진 세부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학습 동기 측면을 중심으로 교육용 웹사이트를 평가할 때, 학생과 교사의 평가 결과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1.1. 매력성 측면에서 학생과 교사의 평가 결과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1.2. 의미성 측면에서 학생과 교사의 평가 결과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1.3. 조직성의 측면에서 학생과 교사의 평가 결과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1.4. 즐거움 측면에서 학생과 교사의 평가 결과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2. 주어진 동기 전략이 학습에 효과적이라고 인식하는 정도에 있어서 학생과 교사 사이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2.1. 매력성 측면에서 주어진 동기 전략이 학습에 효과적이라고 인식하는 정도에 있어서 학생과 교사 사이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2.2. 의미성 측면에서 주어진 동기 전략이 학습에 효과적이라고 인식하는 정도에 있어서 학생과 교사 사이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2.3. 조직성 측면에서 주어진 동기 전략이 학습에 효과적이라고 인식하는 정도에 있어서 학생과 교사 사이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2.4. 즐거움 측면에서 주어진 동기 전략이 학습에 효과적이라고 인식하는 정도에 있어서 학생과 교사 사이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서울과 인천 지역 2개 학교의 초등학교 학생 55명과 교사 55명을 대상으로, 에듀넷에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운영하는 사회과 사이버 학습교재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평가를 위해서는 Small & Arnone이 교육용 웹사이트의 동기화 전략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한 WebMAC(Website Motivational Analysis Checklist)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분석은 대상자 중 평가를 끝까지 마친 교사 51명과 학생 51명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방법으로는, 교사와 학생의 동기화 전략의 영역별 평정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독립변인 t 검정을 사용하였다. 또한, 교사와 학생의 동기화 전략에 대한 평가와 그 효과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회귀분석과 상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연구 문제에서, 교사와 학생간 전체 평가 점수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평균에 있어서는 학생의 점수가 약간 높기는 하였으나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첫 번째 연구문제의 세부 문제와 관련하여, 교육용 웹사이트의 동기화 전략을 평가함에 있어 영역별로 교사와 학생의 평가 결과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매력성 영역에 대한 평가에 있어서는 교사의 평가 점수가 학생의 평가 점수보다 유의미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3.263, p=0.002). 그러나 다른 영역에서는 평균 점수에 있어 약간의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이러한 매력성 영역에서의 차이는 교사나 교수설계자들이 흥미로울 것이라고 판단하여 삽입한 요소들이 실제 학습자들에게는 그다지 만족스럽지 못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따라서 흥미로운 요소를 보는 관점에 있어 학생과 교사 사이에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두 번째 연구문제인 교사와 학생간의 교육용 웹사이트에 사용된 동기화 전략에 대한 평가와 그 효과성에 대한 평가의 상관 계수를 비교한 결과, 교사 집단은 r=0.797인 반면 학생집단은 r=0.577로 나타났다. 이는 교사들이 동기화 전략이 사용될 경우 그것이 효과적이라고 느끼는 정도가 학생들에 비해 비교적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집단간 동기화 전략에 대한 평가와 효과에 대한 평가 사이의 영역별 상관 관계에서는, 전체 영역에 대해 분석했던 결과와 대체로 유사하게 나타났다. 그런데 조직성의 측면에서만 교사의 상관계수는 0.849인데 반하여 학생 집단의 것은 0.552로 나타나 영역 중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였다. 이를 통해 교사 집단이 학생 집단보다 학습의 조직을 학습 효과를 나타내는 데 훨씬 중요한 변수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동기유발 전략의 영역 중 매력성 영역에 있어 교사와 학생 사이의 인식에는 차이가 있으므로, 교육용 웹사이트 설계 및 개발 시, 학습자의 주의를 환기시키거나 흥미를 유발하기 위한 측면에 있어서는 학습자의 흥미나 인지 수준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육용 웹사이트를 평가함에 있어서도 학습자가 직접 웹사이트를 평가하거나, 평가자가 학습자의 의견을 물어보는 등의 다양한 방법을 고려하여 학습자 의견을 평가에 반영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는 초등학교 5학년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모든 연령층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앞으로 유아나 중·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학습자의 인지발달 수준에 따라 어떠한 인식의 차이를 보이는지를 연구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교육용 웹사이트에 대한 평가를 동기화 전략과 그 효과성에 대한 점수를 통해 살펴보았는데, 보다 객관적인 평가를 위해서 실제 사이트를 활용한 학습에 있어서의 학습자의 동기 수준이나 학습 성취도의 측정을 통해 그 효과성을 평가해보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다. 다섯째, 본 연구에서는 웹사이트의 동기화 전략과 그 효과성을 평가함에 있어 교사와 학생들이 어떠한 인식의 차이를 보는지에 대해 연구를 하였는데, 추후에 이러한 차이가 왜 생기는지에 대한 질적인 측면에서의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학습자의 관점을 이해하고 그것을 웹사이트 설계 및 개발에 반영하는 데 보다 구체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number of web-based instruction programs keeps increasing since 1990s. Because there are too many web-sites for a user to make a choice, thus demanding evaluation information, a lot of research efforts have been made on the website evaluation. Among aspects of the evaluation, one of the determinant factors proves to be the motivation (Baeck, 1998; Choi, 1999). The evaluation of motivational aspects of a website is mostly done by the senior teachers or other adult experts. However, there is no reason to believe that the actual user s account of any motivational aspect would necessarily be the same as that of the senior teacher s. If it is true that what is motivating to teachers may not be so to young students, it would mean that student views should be added to both evaluation and development of the progra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udent s and teacher s views in evaluating motivational aspect of a website program. Research questions to this purpose were as followings: 1. When evaluating motivational aspects of a website program, what are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the results of students and teachers? 2. Given a motivational aspect, how different is the perception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as to the extent to which it is directly related to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5 students and 55 teachers drawn from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Inchon. They were asked to evaluate the Edunet cyber-learning material with use of Website Motivational Analysis Checklist (WebMAC). The checklist was designed to produce evaluation scores of 4 motivational aspects and perceived effectiveness of corresponding aspect. The motivational aspects consists of engaging, meaningful, organized, and enjoyable. The overall and each aspect scores were analyzed via t-test and linear regression. With respect to the research question 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tudent and teacher groups in overall evaluation scores. However, in "engaging" aspect teacher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students, meaning that what teachers see as engaging is not always so to student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in aspects "meaningful," "organized," and "enjoyable." The research question 2 concern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valuation scores of motivational aspects and the perceived effectiveness. In overall scores a notable difference of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obtained between students (r = 0.577) and teachers (r = 0.797). This mean that teacher regard the motivational strategies as being more directly related to learning effectiveness students do. The difference becomes even bigger when it comes to the aspect "organize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student scores (r = 0.552) was much lower than that of teacher scores (r = 0.849), meaning that teachers put much more importance on "organized" than students in terms of effectiveness. In sum,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the notion that students may have different views in evaluating motivational aspects of a website. Therefore, it may be validly argued that the students view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evaluation and development process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 1 B. 연구목적 및 연구문제 = 4 C. 용어의 정의 = 6 D. 연구의 제한점 = 8 II. 이론적 배경 = 9 A. 교육용 웹사이트 평가 = 9 1. 교육용 웹사이트 평가 방법 및 기준 = 10 2. 교육용 웹사이트 평가 주체 = 17 B. 웹 기반 학습 환경과 동기 = 20 1. 웹 기반 학습 환경과 동기유발 전략 = 21 2. 학습동기에 대한 성인과 아동의 차이 = 26 3. 교육용 웹사이트의 동기화 전략에 대한 평가 = 29 C. 교사와 학생의 교육용 소프트웨어 평가에 관한 연구 = 31 III. 연구방법 = 35 A. 연구대상 = 35 B. 연구도구 = 35 C. 연구절차 = 42 D. 자료분석방법 = 43 IV. 연구결과 = 45 A. 교사와 학생간의 평가 점수의 차이 검증 = 45 1. 집단간 전체 평가 점수의 차이 = 45 2. 집단간 영역별 평가 점수의 차이 = 46 B. 교사와 학생간 동기 전략의 효과성 인식 비교 = 47 1. 집단간 동기 전략의 효과성 인식 비교 = 47 2. 집단간 영역별 동기 전략의 효과성 인식 비교 = 48 V. 논의 및 결론 = 50 A. 논의 = 51 B. 결론 및 제언 = 55 참고문헌 = 58 부록 = 65 ABSTRACT = 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9190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교육용 웹사이트의 동기 측면의 질 (Motivational Quality) 평가에 있어 학생과 교사의 인식 차이-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공학과-
dc.date.awarded200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