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혜선-
dc.contributor.author김은정-
dc.creator김은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12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12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8060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96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0609-
dc.description.abstract마켓 4.0 시대의 도래와 함께 디자이너들은 점점 더 비가시적이고 비촉각적인 제품 및 서비스를 디자인해야하고, 이전 세대의 디자이너들 보다 더 멀티플레이어적이며 제품 개발 프로세스상 중추적인 역할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 가운데 현 디자이너들의 핵심 역량으로써 더욱 그 가치가 부상하고 있는 것은 바로 디자이너의 통찰력이다. 이에 따라 디자이너의 통찰력을 완성시키는 제품 개발 및 디자인 기획을 위한 디자인 리서치가 제품 개발 프로세스 가운데 더욱 주목받게 되었으며, 특별히 사용자에 대한 심도 깊은 이해를 위한 정성적 디자인 리서치의 수행은 전략적 디자인 개발을 위한 필수적 요소가 되었다. 하지만 현재의 정성적 디자인 리서치가 가지고 있는 물리적 한계점으로 인해 몇몇 대형 제조업 분야에서만 적용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할 때, 실무현장에서의 더욱 적극적인 도입을 위한 대체적 모델로서의 정성적 디자인 리서치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최근 최대 이슈가 되고 있는 ‘빅데이터(Big Data)'의 유형 중 하나인 ’비정형 데이터(Unstructured Data)‘를 다양한 정성적 디자인 리서치 방법론 가운데 디자인 에쓰노그래피에 이용하여 보다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기존 정성적 디자인 리서치의 한계점을 타파할 수 있는 대안적 기법으로써 새로운 형태의 디자인 리서치 모델을 기획하였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기존의 정성적 디자인 리서치 방법론과 비정형 데이터에 관한 이론적 고찰 및 이해를 바탕으로 비정형 데이터를 이용한 디자인 리서치 모델 기획과 이를 실증적 수행을 통해 검증을 거치는데 그 의의 및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시한 ‘비정형 데이터를 활용한 디자인 리서치’는 디자인 리서치를 진행하는 세 가지의 신제품 개발 유형인 ‘새로운 시장 창출, 재포지셔닝, 기존 제품의 개선’에 따라 기존 디자인 리서치와 동일한 조사영역의 범위를 갖으며, 소셜 빅데이터 분석 업체들의 분석 서비스 영역 분류에 따라 ‘시장과 트랜드, 브랜드와 커뮤니케이션, 제품 분석’ 순으로 대응된다. 또한 기존 디자인 에쓰노그래피 방법론에서 신제품 개발 유형에 따라 구분되어 적용되어지던 다양한 세부 기법들 역시 분석 서비스 영역에 따라 동일한 디자인 인사이트를 추출할 수 있도록 이에 적합한 비정형 데이터 분석 기법들이 적용되었다. 이러한 ‘비정형 데이터를 활용한 디자인 리서치’의 특성은 기존 디자인 에쓰노그래피 방법론의 단점으로 지적되었던 물리적 조사기간을 월등히 단축시킴으로써 조사의 효율성을 높였으며, 기존 조사의 데이터량과 비교가 불가능한 수준의 데이터량을 바탕으로 사용자 그룹의 대표성을 지니고 있는 비정형 데이터의 특성상 정성적 조사의 정량화를 가능하게 하였으며, 자발적 포스팅에 의해 왜곡되지 않은 조사정보를 바탕으로 한 디자인 인사이트의 추출을 가능하게 하였다. 마지막으로 ‘비정형 데이터를 활용한 디자인 리서치’를 실증적으로 수행하여 기존 디자인 에쓰노그래피 방법론을 이용한 디자인 리서치와 비교실험을 진행한 결과, ‘비정형 데이터를 활용한 디자인 리서치’는 기존 디자인 에쓰노그래피 방법론을 일부 대체 할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특별히 한정된 조사기간 내 조사의 효율성을 높이고, 더 많은 조사 대상자를 통한 해당 사용자 그룹의 대표성을 갖는 인사이트의 추출이 가능하여 기존 디자인 에쓰노그래피 조사를 진행시, 빠른 핵심 사용자 가치 파악을 위한 사전 조사(Pre-research) 혹은 메인 조사(Main research) 이전 파일럿 테스트(Pilot Test)에 효과적으로 적용 및 대체 될 수 있을 것이라 예상한다.;With the advent of the Market 4.0 age, designers should design invisible and non-tactile products and services, requiring to take a central role in the product development process as a multi-player than those of prior generations. As for such a phenomenon, insight is being emphasized as a core capability of present designers. So, design research for product development and design planning, which completes insight of a designer, came to attract attention in the product development process. Especially, qualitative design research for in-depth understanding of users came to be an essential element for strategic design development. However, considering the fact that present qualitative design research is applied to only a few large-scaled manufacturing industries owing to its physical limit, it's required to conduct qualitative design research as an alternative model for active introduction to the practical field. So, applying the 'unstructured Data', one of 'Big Data' types of the recent hot issue to design ethnography, one of various qualitative design research methodologies, this study planned a new type of design research model as an alternative technique to maximize efficiency and break down limitation of the existing qualitative design research.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plan a design research model using the unstructured data and conduct an empirical verification based on the theoretical examination and understanding on the existing qualitative design research methodologies and the unstructured data. ‘Design research using the unstructured data' suggested in this study has the same range of research areas as the existing one according to 3 kinds of new product development types for design research, or 'creation of a new market, repositioning and improvement of the existing products'. Also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the analytic service areas by Social Bigdata analysis companies, it corresponds to 'market and trend, brand and communication, product analysis' in order. Furthermore, for various detail techniques that have been appli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type of a new product in the existing design ethnography methodologies, analytic techniques for the unstructured data were applied to extract the same design insight according to the analytic service areas. Such a 'design research using the unstructured data' ha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efficiency of the research through cutting down the term of the physical research significantly, which was a shortcoming of the existing design ethnography methodologies, making it possible to quantify a qualitative research of the unstructured data representing of a user group based on the quantity of data uncomparable to that of the existing research. Also extraction of the design insight could be achieved based on the research information undistorted by voluntary posting. Finally, as the result of the comparative experiment with design research using the existing design ethnography methodologies, through the empirical 'design research using the unstructured data', it's expected that 'design research using the unstructured data' may substitute for some of the existing design ethnography methodologies. Especially, it's possible to increase efficiency of research within the limited term and extract insight representing of a user group through increased research targets. Therefore, when conducting the existing design ethnography research, it's expected to apply to or substitute for Pre-research or a Pilot Test effectively before main research for identifying a core user value rapidl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B.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C. 용어의 정의 및 제한 4 Ⅱ. 디자인 인사이트 도출을 위한 디자인 리서치의 이해 5 A. 디자인 리서치의 개념 5 B. 디자인 리서치의 분류와 영역 9 C. 디자인 리서치 방법론 12 1. 정성적 디자인 리서치 방법론 13 2. 에쓰노그래피(Ethnography)를 활용한 디자인 리서치 수행 18 Ⅲ. 비정형 데이터의 이해 23 A. 비정형 데이터의 개념 23 B. 비정형 데이터의 유형과 특성 25 C. 비정형 데이터의 분석 30 1. 비정형 데이터 분석 기법 30 2. 비정형 데이터 분석 사례 34 Ⅳ. 비정형 데이터를 활용한 디자인 인사이트 추출 41 A. 디자인 리서치에서의 비정형 데이터 활용의 필요성 41 B. 비정형 데이터를 활용한 디자인 리서치 모델 기획 45 1. 비정형 데이터를 활용한 디자인 리서치 영역 45 2. 비정형 데이터를 활용한 디자인 리서치 모델의 프레임(Frame) 49 3. 비정형 데이터를 활용한 디자인 리서치 모델의 특징 62 Ⅴ. 비정형 데이터를 활용한 디자인 리서치 실증적 수행 65 A. 실험설계 65 B. 실험내용 66 1. 디자인 에쓰노그래피 방법론을 이용한 디자인 리서치 67 2. 비정형 데이터를 활용한 디자인 리서치 71 C. 실험결과 77 Ⅵ. 결론 83 A. 연구결과 및 의의 83 B.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85 참고문헌 87 ABSTRACT 8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60973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온라인상 비정형 데이터를 활용한 대안적 디자인 리서치 모델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디자인 에쓰노그래피 방법론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Alternative Design Research Model using Unstructured Online Data : through Design Ethnography Methodology-
dc.creator.othernameKim, Eun jung-
dc.format.pagevii, 9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자인학부산업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