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영경-
dc.contributor.author정설경-
dc.creator정설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12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12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8007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95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0077-
dc.description.abstract글로벌 시대로 접어들면서 우리 전통을 세계에 알리고 경쟁력을 갖기 위한 한 방법으로 전통색에 관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어 왔다. 전통색 자체의 심도 깊은 연구뿐만이 아니라 현대적으로 적용하기 위해 여러 방식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 모든 연구의 바탕에는 오방색을 기본적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결론적으로 도출되거나 사용된 색채에는 차이가 있었다. 즉, 과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오랜 전통 속에 색채도 점차 새로운 방향으로 조화되고 발전된 것이다. 이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전통색의 현대화는 산업의 많은 부분에서 시대감성의 변화와 다양한 소재의 특성을 파악하지 않은 채 원형 그대로의 전통 색채를 적용하여 현대적 감각으로서의 표현이 부족하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현대인들의 감성에 내재한 시대적 색채 인식 범위를 찾고자 전통색, 현대적 전통색, 현대색, 미래색의 그룹별 색채 범위를 도출하고, 표면마감의 중요한 요소인 광택이 그룹별 색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시대를 표현함에 있어 가장 적절한 색채와 광택을 찾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진행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색과 광택에 대하여 문헌조사 및 기존 연구 사례를 살펴보고, 현대적으로 활용 가능한 전통색 범위 도출을 위해 상대적인 시대적 그룹을 연구자 임의로 분류하여 조작적 정의를 하였다. 또, 본 연구의 주요 분석도구로서의 CIE 색체계와 KS 색조표에 대해 살펴보고, 적합한 분석도구를 설정하였다. 둘째, 이론적 조사를 바탕으로 전통색, 현대적 전통색, 현대색, 미래색, 기타색의 다섯 그룹으로 나눠 1차 실증적 조사를 진행하였다. 빈도분석을 활용하여 그룹별 색채범위를 도출해 톤과 색상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좀 더 신뢰로운 그룹별 색채 범위 설정을 위해 오방색과 실제 유물색, 기존 선행연구 사례색채와 비교분석하여 그 범위의 신뢰성을 높였다. 셋째, 1차 조사의 결과를 토대로, 그룹별 채택색채에 광택 소재감이 추가될 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광택을 무광, 반광, 유광 3타입으로 분류하여 2차 실증적 조사를 진행하였다. 빈도분석을 그룹별 광택타입을 도출하고, 광택유무에 따른 그룹별 색채 범위를 제시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1차, 2차 조사의 결론으로 나뉘고, 이를 비교·종합한 결론을 제시하였으며, 먼저 색채를 대상으로 한 1차 조사의 연구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그룹별 색채 경향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톤과 색상 영역은 시대 개념적 그룹에 따라 분포영역이 다르고, 그룹별로 다수의 빈도를 보이는 메인 색채 영역이 존재한다. 셋째, 현대적 전통색은 전통색과 현대색을 포용한다. 넷째, 그룹별로 중복되는 영역이 있으며, 시대 순서에 따른 색채 흐름이 있다. 다섯째, 시대순서에 따른 색채흐름의 형성으로 현대와 미래의 중간인 근 미래의 색을 예상 할 수 있다. 근미래의 색은 중·저채도의 RB계열로 예상된다. 여섯째, 오방색의 황·적·청색은 현대적 전통색 그룹에서 모두 톤 다운된 부드러운 색조로 분포되어 전통색에 대한 인식 변화가 드러났다. 일곱째, 사람들이 기억하고 인식하는 색보다 실제색의 범위가 더 넓어 현대적 재해석을 통해 사용 가능한 색 범위는 인식하는 것보다 더 넓고 다양하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색채와 광택을 대상으로 한 2차 조사의 연구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선택빈도를 통해 색채와 광택이 함께 제시된 경우 전통, 현대, 미래보다 현대적 감각의 전통에 대한 현대인들의 시대적 색채 인식 경향성이 약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그룹별 광택 타입이 있으므로 해당 시대 표현에 적합한 광택 타입을 선택·사용하도록 한다. 전통색은 무광과 반광으로, 현대적 전통색는 유광과 반광으로, 현대색와 미래색은 유광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셋째, 그룹간의 색채 이동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색채가 각 그룹의 대표색채로 채택되었다. 전통색2와 현대색2는 Y, YR, R, G, RB계열이 동일 혹은 유사하고, 현대적 전통색2는 YR, G계열이 전통색2와 중복되었다. 넷째, 색상 계열별로 유사 샘플을 제외하고 색 값이 동일한 샘플만 모아 비교 분석한 결과, 광택 타입에 따라 그룹이 나눠졌고, 해당 샘플은 대부분 그룹별로 일정한 광택타입 순서를 보였다. 1차와 2차 조사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연구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색채만 제시할 때보다 색채와 광택이 함께 제시될 때 시대적 경향성이 흐려진다. 둘째, 광택 요소 추가 시 그룹별 색채 영역의 변화가 있으며, 전통색보다 현대색과 미래색이 광택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셋째, 색채보다 광택이 시대별 그룹 선택에 더 큰 영향을 미치므로, 색채 선택 시 광택 유무에 따른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현대적 전통색을 중심으로 각 그룹별 색채인식 범위를 재조명하고, CMF측면에서 색채와 광택을 함께 고려하여 특정 시대를 연출하고자 하는 분야에 자료로 사용한다면 현 시대의 감각에 적합한 색채구성이 되어 기대하는 색채계획에 도움이 될 것이며, 이에 따라 글로벌 시장에서 영원한 화두인 전통과 현대의 적절한 결합으로 세계 경쟁력 강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조심스럽게 기대한다.;Entering the global age, a great number of studies on traditional colors have been carried out constantly in order to spread our tradition into the world and improve the competitiveness. Not only the in-depth studies on the traditional colors themselves, but a lot of methods to apply them to the modern industry have been suggested. On the basis of all the studies, the basic explanation of five cardinal colors have been involved, however, there has been a difference in the colors derived or used in conclusion. In short, the colors have been harmonized and developed in the new direction in the ole tradition from the past to present. Despite such endeavors, the modernization of traditional colors have been applied in the original concept without understanding the changes in sensibility of time and characteristics of various materials in many parts of industry, which results in the lack of modern sensibility. So, in this study, in order to identify the range of color recognition inherent in the emotion of modern people, the color ranges were derived by groups, including traditional colors, modernized traditional colors, modern colors, and future colors. And also, the effect of gloss, which is an important factor of surface finishing, has been identified, so that the most proper colors and gloss to express the time can be looked for. The process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ly, the literature investigation and existing study cases on traditional colors and gloss have been carried out to derive the range of traditional colors that may be applied to the modern times, so that the relative periodical division was carried out. And the CIE colorimetry and KS color tone table were examined to be used as the main analysis tool, and then a proper analysis tool was established. Secondly, the primary empirical investigation of the five groups of colors, including the traditional colors, modernized traditional colors, modern colors, and future colors, was carried out on the basis of theoretical investigation. By using the frequency analysis, the color range was derived by groups, and then the analysis centered on tone and color was carried out. In order to establish more trustful color range, the comparative analysis among five cardinal colors and relic colors, including the colors dealt with in the preceding studies, has been carried out. Thirdly, on the basis of the primary investigation, the second empirical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by classifying the gloss into three types such as matt, semi-matt, and glossy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chosen colors on the addition of material sensibility of gloss. The frequency analysis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gloss types of the groups, and the color range of groups has been suggested according to whether they had gloss or not. The results of study were divided into the first and second investigation results, and then the comparative and integrated conclusion has been suggested. The study results of the 1st investigation on colors are as follows. Firstly, the tendency or each color group has been identified. Secondly, it has been found out that the domain of tones and colors had the different distributional area according to the periodical and conceptional groups, and each group had a main color domain. Thirdly, the modernized traditional colors embraced both he traditional and modern color. Fourthly, there was an overlapped domain, and there was a change in colors according to the time sequence. Fifthly, it was possible to predict the colors between the modern and future times according to the changes in pattern of colors in time sequence, so that it was predicted that the colors in the near future would be in the RB series with mid and low chroma. Sixthly, the five cardinal colors including yellow, red, and blue color were classified into the soft colors through 'tone down' in the modernized traditional color group, so that it could be found out that there had been a change in recognition of traditional colors. Seventhly, it was interpreted that the range of feasible colors identified through modernized reinterpretation was wider and more various than the range of actual colors remembered and recognized by people. The study results of second investigation on colors and gloss are as follows. Firstly, in the case where the color and gloss was suggested through a selection frequency, the recognition tendency of modern people toward the tradition of modernized sensibility was weaker than those of tradition, modern and future tendency. Secondly, due to the existence of gloss type of each group, it was required to select, use the proper gloss types in order to express the relevant age. The traditional colors should be used in matt or semi-matt, and the modernized traditional colors in gloss and semi-matt, and the modern colors had better to be used in gloss. Thirdly, the identical or similar color was selected as the representative color due to migration among groups. The Y, YR, R, G, RB series of traditional color 2 and modern color 2 were identical or similar to each other, and the YR and G series of modernized traditional color were overlapped with the traditional color 2. Fourthly,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analysis on samples with identical color value, except for the similar samples in each color series, the groups were formed according to the gloss types. and the relevant sample had a certain sequence of gloss type by groups. The study results in which the 1st and 2nd investigation results have been integrated are as follows. Firstly, the time trend was getting unclear when the color and gloss were suggested simultaneously rather than the case in which only the color was suggested. Secondly, there was a change in color domain in each groups when gloss factor was added, and the modern color and future color were more affected by the gloss than the traditional color. Thirdly, it was required to pay attention to whether there was gloss or not when selecting colors. It was because the gloss had bigger effect on the selection of periodical groups rather than the colors. If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reexamined through investigation of color recognition range of each group, centering on the modernized traditional colors, and the study results are used in the fields where colors and gloss are reflected in recreation of specific era through considering the colors and gloss in the aspects of CMF, it will help set up color plan due to the color composition which may be matched with modern sensibility. So,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reinforcement of global competitiveness through a proper combination between the tradition and modernization, which is the constant topic in the global marke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3 Ⅱ. 이론적 배경 5 A. 전통색에 대한 이해 5 1. 한국의 전통색 5 2. 한국의 색채감성 12 3. 시대 개념적 색채 13 4. 전통색에 관한 연구사례 분석 14 B. 광택에 대한 이해 18 1. 광택의 개념 18 2. 표면처리로서의 광택 19 3. 광택의 보편화와 영향 19 4. 광택이 감성에 미치는 영향 20 C. 색채분석도구로서의 CIE 색체계와 KS 색조표 24 1. 색의 지각과 체계 24 2. 색체계 25 3. CIE 색체계 26 4. 색조표 30 Ⅲ. 시대 개념적 색채 범위에 관한 1차 조사 분석 33 A. 조사 과정 설계 및 분석 방법 33 1. 설문 대상 및 설문 작성 환경 33 2. 측정 도구 및 설문 구성 34 3. 분석 도구 및 방법 37 B. 1차 조사 결과 분석 40 1. 그룹간의 비교 분석 40 2. 그룹내의 순위별 비교 분석 46 C. 1차 조사 결과와의 비교 분석 50 1. 오방색과의 비교 분석 50 2. 실용한국고유100색상선집과 전통색 그룹의 비교 분석 53 3. 기존 선행연구의 사례색채와 현대적 전통색 그룹의 비교 분석 56 D. 분석 결과 요약 59 Ⅳ. 시대 개념적 색채와 광택 관계에 관한 2차 조사 분석 62 A. 조사 과정 설계 및 분석 방법 62 1. 설문 대상 및 설문 작성 환경 62 2. 측정 도구 및 설문구성 64 3. 분석 도구 및 방법 70 B. 2차 조사 결과 분석 72 1. 그룹간의 선택 빈도 분석 72 2. 그룹간의 광택 분석 76 3. 그룹간의 색채 분석 80 4. 그룹간의 광택과 색채 관계 분석 84 C. 1, 2차 조사 결과 비교 분석 89 1. 그룹간의 선택 빈도 비교 분석 89 2. 그룹간의 색채 영역 비교 분석 91 3. 그룹간의 광택과 색채 관계 비교 분석 94 D. 분석 결과 요약 103 Ⅴ. 결론 및 제언 107 참고문헌 122 부록 126 Abstract 14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445754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현대인들의 감성에 내재한 시대 개념적 색채 인식 범위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색채와 광택 소재감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range of conceptional color recognition inherent in emotion of modern people : Centered on material sensibility of color and gloss-
dc.creator.othernameJung, Seol Kyung-
dc.format.pagexvi, 14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자인학부색채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