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61 Download: 0

신플라톤주의적 관점으로 본 산드로 보티첼리(Sandro Botticelli)의 여인상 연구

Title
신플라톤주의적 관점으로 본 산드로 보티첼리(Sandro Botticelli)의 여인상 연구
Authors
박지은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성은
Abstract
본 논문은 15세기와 16세기에 걸쳐 피렌쩨에서 활동했던 화가인 산드로 보티첼리의 여인상을 성모와 비너스상을 중심으로 신플라톤주의적 관점에서 연구한 것이다. 신비스러운 분위기와 양식적인 화려함을 통해 아름다움의 대명사로 일컬어지고 있는 보티첼리의 여인상에 대한 기존의 연구가 그의 신화화의 여인들, 특히 비너스에 집중되어 있는 것과 달리, 그 관심의 영역을 성모상에까지 확장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새로운 의의를 가진다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분석의 틀이 되는 15세기 신플라톤주의 철학은 당시 피렌쩨를 실질적으로 통치하였으며, 보티첼리의 가장 강력한 후원자였던 메디치 가의 후원 하에 마르실리오 피치노에 의해 주도된 것이었다. 이 철학의 중심축을 이루는 개념은 사랑과 미의 개념이었는데, 이는 인문주의자들의 열광적인 호응과 함께 당대 문학과 예술에 적극적으로 반영되었다. 특히 이 사랑과 미의 개념이 회화예술에서 일반적으로 여인의 이미지를 통해 표현된다는 사실과 신플라톤주의자들의 중대한 과업중의 하나가 그들의 철학을 통해 기독교 신앙을 강화하고자 함이었음을 고려해 볼 때, 보티첼리의 회화에 나타난 성모와 비너스의 이미지가 가지는 유사성은 양식적인 차원을 넘어선 사회, 문화적 의미를 가지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성모가 가지는 두 가지 속성, 즉 인간 예수의 어머니로서의 지위와 신의 어머니(천상의 여왕)로서의 지위는 신플라톤주의의 쌍둥이 비너스가 지니는 천상적 속성과 지상적 속성에 직접적으로 부합할 수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작업 초기부터 성모와 여러 도덕적 개념을 표상하는 여인들의 표현에서 많은 특징들을 공유하였던 보티첼리가 성기에 이르러 성모와 비너스를 당대 피렌쩨라는 현세적 공간에 위치시키면서도 이들을 현세를 덧없는 것으로 여기는 듯한 표정으로 묘사한 것은 인간의 형상으로 지상에 거주하나 본질적으로 인간과는 다른 속성을 지닌 성모와 신적 선의 광휘 로서의 미를 표상하는 비너스를 동일한 맥락에서 파악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화가의 성모상에 일관되게 나타나는 담으로 둘러싸인 정원 과 책 의 모티브는 이 두 여인의 개념을 연관지을 수 있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담으로 둘러싸인 정원에 의해 속세의 죄로부터 보호되는 성모의 순결성은 신플라톤주의 철학에서 자연계를 넘어선 위계에서 유출되는 미를 의미하는 비너스의 초현세성과 부합할 수 있다. 특히 보티첼리는 이 모티브를 통해 성모와 비너스를 봄 이라는 동일한 시간에 위치시키고 있는데, 이는 봄의 이교 신화적 의미를 예수 부활과 세례를 통한 영신적 재생이라는 기독교적 의미로 치환하고자 했던 신플라톤주의적 시도의 회화적 증거라 하겠다. 또한 활자인쇄술의 발명으로 책의 대량생산이 가능해진 시대적 배경을 통해 더욱 정교한 형상으로 화가의 성모화에 등장하는 책 모티브는 당시 피렌쩨에서 활발하게 전개되었던 학문연구의 풍토를 반영하며, 성모를 신플라톤주의에서 지성을 가진 존재로 간주되는 비너스와 연관짓는 역할을 한다. 후기 여인상 표현에 있어서 보티첼리는 성기 회화의 장식적인 요소를 배제하고 종교적 회개에 기반한 내면적 정서표현에 주력하였는데, 이러한 변화는 1492년 로렌쪼 데 메디치의 사망 이후의 사회적 혼란과, 같은 시기에 피렌쩨에서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기 시작한 사보나롤라의 개혁적 종교운동과 깊은 관련을 가진다. 그러나 성기와 후기 여인상 사이의 양식적 상이성은 보티첼리와 신플라톤주의 사상의 결별을 의미한다기보다, 화가가 전 생애에 걸쳐 구현하고자 했던 신적 선의 광휘 로서의 미 개념을 기독교적으로 승화시킨 것으로 파악될 수 있다. ;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woman images of Sandro Botticelli, a Florentine artist of the 15th and 16th century, from a Neoplatonistic point of view with emphasis on Virgin Mary and Venus. Through the mysterious atmosphere and magnificent style in his work, his woman images have through time become a synonym for Beauty. While the existing established research on his works until now has put too much importance on Venus and other pagan godesse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widen the academic interest for Botticelli s woman images, and to focus on the philosophical and religious meaning in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Virgin s and the Venus figures in his paintings. There has been very little research done on this aspect, therefore this study is both original and of significance. Quattrocento Neoplatonism in Florence, which constitutes the framework for this study, was lead by Marsilio Ficino with the patronage of the Medici family who was practically dominating Florence at the time. The notions of Love and Beauty were the main components of this philosophy, which influenced contemporary literature and art with enthusiastic response from the Medici Humanists. Most importantly, considering that the concept of Love and Beauty in visual arts is generally represented by woman figures, and the fact that Neoplatonists tried to strengthen Christianity through their philosophy, Botticelli s Virgin and Venus figures are possibly not only similar in style, but also in sociocultural context. The two natures of Virgin Mary, i.e., as the human Christ s mother and as the mother of God (Regina Coeli) correspond well with the two natures of the Twin Venuses in Neoplatonism. Even though Botticelli, who had used many similar elemental styles when presenting the Virgin Mary and other women who were the personifications of virtues in his early period (1465-1477), set both the Virgin and Venus in 15th century Florence in his mature period (1477-1490), he depicted the two women as if they would not have any interest in this natural world. The reason for this could be that although he regarded the Virgin Mary as a human being who habitates on earth, she is distinguished from the other human beings in the same way Venus represents the splendor of God s Good in Neoplatonism. The repetitive use of the enclosed garden (Hortus Conclusus) and the book motif offer significant clues to connect the painter s Venus and Virgin Mary. The chastity of the Virgin which is protected in the enclosed garden from the sins of the mundane world corresponds to the transcendental characteristic of Venus in Neoplatonism. Especially by this motif, Botticelli places both Venus and the Virgin in the same season, Spring. This can be a pictorial proof of Neoplatonists substituting the resurrection of Christ or the spiritual rebirth by Baptism for the allegorical meaning of Spring in pagan mythology. The book motif in his paintings for the Virgin also inflects the vigorous academic emphasis in Quattrocento Florence and relates the Virgin Mary to Venus who is considered as having Intellect in Neoplatonism. In the representation of woman in his late period (1490-1510), Botticelli tended to get rid of the decorative elements from his mature period and concentrated on the expression of inner emotion. This was in accordance with the social unrest after Lorenzo il Magnifico s death and the powerful and influential reformist religious movement of Savonarola in the late 15th century Florence. However, the distinction in style between the woman images of his mature and late period does not imply a separation from Neoplatonism. It should rather be regarded as the Christian sublimation of the depiction of Beauty as non so che divino which the painter had eagered to represent all his lif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