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7 Download: 0

르네상스 '연극성'과 셰익스피어

Title
르네상스 '연극성'과 셰익스피어
Authors
황수경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태경
Abstract
This thesis investigates the ambivalent implications in the concept of theatricality circulated in Renaissance England. For such purpose, it focuses on the contrastive, if not binary, social practice that recent critics have explained in terms of subversion and/or containment. The concept of theatricality was constructed with the advent of public theatres in London, whose controversial social status was projected in the theatrical tracts of the period. This study thus examines the various viewpoints about theatricality advanced by anti- and pro-theatrical tracts of the period and analyzes two meta-dramatic works by William Shakespeare as a product, or a reproducer, of the contemporary theatrical discourses. Chapter One looks at the theatrical tracts of the period and explains the ways in which the theatres were socially situated. Rising commercialism, censorship, and patronage are three crucial elements determining theatre s socio-political status, and the tension surrounding the complex explains the precarious balance the theatres had to maintain. The arguments of theatrical tracts center on whether theatres, plays staged, or the theatrical characteristics work to establish the social identity of an individual or help to deconstruct it. The issue of the individual subject is directly related to the stability of established society, and further suggests a problem of appropriated theatricality. That is, the question regarding the ideological effect of the theatrical depends by large upon the authority that appropriates the theatrical practice and meaning for its own benefit; whether it be the actors and the playwrights, the audiences, or the ruling power of the society. Chapter Two starts with an analysis of subversive aspects of Richard III. As a social upstart using theatrical strategies and as simultaneously a member of aristocracy disclosing hypocrisy of the ruling class, Richard shows a peculiarly bi-fold subversiveness. However, Richard s subversive theatricality is dissolved by the identity crisis of the actor-character, as he seeks to achieve a fixed identity. On the other hand, Richard s fall both from a stable identity and from the English throne eventually serves to legitimate the contemporary ruling power, the Tudor dynasty with Queen Elizabeth at its apex. Consequently, Richard III with its powerfully subversive theatricality reveals its limits and retreats into a theatrical strategy of containment. By contrast, Chapter Three begins with containment strategy of Measure for Measure by focusing on the Duke s display, ironically enough, of invisible power. Paralleling King James I, the Duke's containing theatricality serves to legitimate the established power structure and to reconstruct the class identity that, in the Duke s view, is currently at hazard. By substituting Angelo for himself as ruler, the Duke exposes his own class identity to a potential subversion, but without damaging his personal integrity as ruler. This curious act, via a theatrical strategy of visibility/invisibility duality, indicates that the fragile class identity demands to be repeatedly reconstructed. However, the Duke s theatricality is also challenged by other theatrical strategies such as those of Lucio or Isabella, and the Duke s final triumph can only be achieved through power per se, not by a theatrical power. Thus, the play not only endorses the containment function inherent in theatricality, but also leaves traces of subve rsion behind. Not a few dramatic works of English Renaissance show ambivalent politics regarding the social function of theatre and drama. And much of recent critical debate has been focused on the concept of theatricality: whether it establishes or deconstructs identities of subjects. But, as this study argues, Renaissance theatricality served both function: it may have maintained the identity of ruling class, while it could also be usurped with subversive intention. Briefly, the concept of theatricality cannot be pinned down but is floating. So, both containment and subversion are arguable and the limits in their operation should be observed. ; 본 논문은 영국 르네상스 시대의 '연극성'이 지니는 이중적 함의를 당대의 소책자들과 극작품들을 통해 분석한다. 상업극장의 도래와 더불어 다양한 논의 속에 형성된 '연극성'이라는 개념은 동시대의 연극에 관한 책자들을 통해 그 사회적 위상과 논의의 양상을 추측해 볼 수 있으며, 이를 반영, 재생산하는 당대의 극작품들을 통해 그 전복성과 봉쇄성을 가늠해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그 다층적인 역학관계 속에서 형성된 연극성이 필연적으로 함축하게 되는 양가적 속성에 주목하기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우선 당대 극장의 위상과 연극, 그리고 연극적 속성에 대한 직접적인 사회적 반응을 시사해 주는 연극에 관한 소책자들을 그 연구대상으로 삼았으며, 다음으로 당시 상업적으로나 정치적으로나 성공한 극작가로서 그 영향력을 인정 받았던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메타드라마적 성격을 지닌 두 작품을 선택, 분석하기로 한다. 즉 각기 다른 지배체제하에서 다른 계층의 관객을 상정하고 쓰여진 것으로 보이는 이 두 작품을 통해, 각기 다른 권력집단에 봉사하는 듯 평가되는 연극성들이 발현되는 양상과 그 한계를 살펴보고자 하며, 이를 통해 당대 연극성이 갖는 사회 전복적 성격, 혹은 이를 좌절시키는 봉쇄적 측면을 논하기로 한다. 먼저 <본론 1> '연극성의 성립'에서는 영국 르네상스 시대의 연극성에 대한 소책자들을 바탕으로 당대 연극성이 성립되어 가는 양상을 추적한다. 당대의 극장은 대중의 상업적 요구와 국가기관의 검열, 그리고 지배계층의 후원이라는 세 가지 권력의 축을 중심으로 어느 한 측으로도 치우치지 않는 팽팽한 정치적 긴장상태에 놓여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모호한 극장의 정치적 입장을 배경으로 생산된 당대 소책자들의 논의는 곧 극장이, 연극이, 혹은 연극적 속성이 개인 정체성의 성립에 기여하는지, 혹은 해체에 일조하는지에 대한 것이었다. 이는 곧 기존 사회 질서의 확립과 해체로 직결되는 것으로 '누구에 의해 운용되는 연극인가'라는 연극성 전유의 문제를 제기하기에 이른다. 하지만 연극성은 연극을 관람하는 자는 물론 연극을 수행하는 자의 정체성도 확립, 해체할 수 있는 양가적 성격을 지니며, 따라서 권력이 지닌 연극성은 연극성이 지닌 힘에 의한 해체가 가능하다. 그리고 연극성이 보여주는 이와 같은 계속된 성립과 해체의 순환적 관계 속에서 당대 극작들이 시사하는 유연한 사회적 입지의 토대를 발견할 수 있다. 당대 소책자들의 분석에 이어 <본론 2> '전복적 연극성과 그 한계'에서는 작품,『리차드 3세』를 분석함으로써 리차드에 의해 표상되는 연극성의 전복적 측면과 그 한계, 즉 봉쇄적 함의를 살펴본다. 이 작품은 주어진 계급적 역할을 거부하고 보다 큰 권력을 쟁취해 가는 리차드를 통해 신분상승의 욕구를 부추기는 동시에 권력층의 위선적 연극성을 폭로함으로써, 당대 반연극적 책자들이 지적하였듯이 계급적 정체성의 허구와 권력층의 위선적 연극성을 밝히는 사회전복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동시에 배우적 인물, 리차드의 정체성 분열을 통해 연극을 주도하는 측이 겪을 수 있는 정체성의 위기를 제시하는데, 이것이 왕이라는 고정된 계급적 정체성에 안착하려 하는 리차드에 기인함에 주목해 볼 때 계급적 정체성의 허구는 다시 한번 강조된다. 또한 리차드 3세의 몰락을 통해 부상하는 튜더왕조의 정당성을 반증함으로써 현왕조인 엘리자베스 여왕의 국가정체성 확립에 기여하는 봉쇄적 연극으로서의 기능을 발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론 3> '봉쇄적 연극성과 그 한계'에서는 『자에는 자로』를 통해 연극성이 지니는 봉쇄적 기능과 이에 내재하는 전복적 가능성을 고찰한다. 이 작품은 극 중 공작을 통해 당대의 군주, 제임스 1세의 통치방식을 확장하여 비가시적인 절대권력으로 군림 · 과시하게 함으로써 친연극적 책자들의 논의와 같이 권력층의 정당성을 공고히 하며, 계급적 정체성을 재확립해 나가는 봉쇄적 연극성을 시사해 준다. 즉 리차드와 같이 고정된 정체성에 천착하여 몰락하지 않으려면 공작이라는 허구적 정체성을 자기복제하고 이를 재탈환하는 과정이 필수적이며, 따라서 이를 수행하는 공작의 연극성은 그 자체로 일시적이며 이와 같은 계속된 재확립을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내적 한계를 지닌다. 동시에 루시오와 같은 이에 상응하는 연극성과 대립하였을 때, 공작은 권력으로 연극적 기제를 강요하여야만 하는 한계를 보이며 이를 통해 당대 책자들이 논의하였던 연극성 전유의 문제를 발견할 수 있다. 또한 루시오와 이자벨라가 다양한 연출적 해석 가능성을 함축하고 있음으로써 반연극적 책자들이 우려하였던 해석주체로부터의 전복적 가능성 또한 찾아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복성과 봉쇄성을 섣불리 주장할 수 없는 당대의 극작품들은 당대 연극에 관한 책자들을 통해 추정할 수 있는 연극에 관한 양가적 입장을 투영하는 동시에 재생산하고 있으며, 본 논문은 최근 셰익스피어 비평에서 전복과 봉쇄로 설명되는 입장들이 개인 정체성의 성립과 해체를 동시에 이루어내는 연극성의 이중적 속성에서 비롯되었음을 밝히고자 한다. 또한 '누구에 의해 운용되는 연극인가'라는 연극성 전유의 문제를 제기함으로써 지배층의 권력유지에 봉사하는 봉쇄적 연극성을 지적하는 동시에, 이것이 다시 연극성의 전복적 힘에 의하여 해체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즉, 연기를 관람하는 편은 물론, 연기를 주도하는 측까지 분열시키면서 누구에게도 절대적 소유권을 인정해 주지 않는 연극성의 유동적 속성은 봉쇄와 전복이 가능한 동시에, 이를 모두 좌절시키는 한계 또한 내포하고 있음을 고찰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