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6 Download: 0

어머니의 감독(monitoring) 및 감독방법과 청소년의 외현화, 내면화 행동간의 관계

Title
어머니의 감독(monitoring) 및 감독방법과 청소년의 외현화, 내면화 행동간의 관계
Authors
박진경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가정관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도현심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 of the maternal monitoring and information sources of parental knowledge to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behaviors of adolescents and the differences in those behaviors as a function of the combinations of mother-adolescent perception on maternal monitoring itself. The subjects for this study consisted of 323 9th graders(163 boys and 160 girls) and their mothers in Kyung-ki province, and completed three kinds of questionnaires regarding maternal monitoring, information sources of parental knowledge, and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behaviors of adolescents. Maternal monitoring was rated by both mothers and their children, and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behaviors by adolescents themselv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nitoring rated by mothers and adolescents as a function of maternal employment, indicating that unemployed mothers showed higher monitoring than employed mother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onitoring as a function the sex of adolescent. For information sources of parental knowledg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adolescent self-exposure and maternal control rated by mothers as a function the sex of adolescent. Mothers perceived that their daughters self-exposed to them and were controlled by them more than their sons. There, however, were no main effects of maternal employment and interaction effects between sex of adolescents and maternal employment. Second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nternalizing behavior of adolescent as a function sex, indicating that girls showed more internalizing behavior than boys. There were no significant main effects on the externalizing behavior of sex and maternal employment and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m. Thirdly, maternal monitoring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internalizing behavior. Adolescent-rated monitoring for boys and mother-rated monitoring for girl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internalizing behavior. The higher maternal monitoring was, the less internalizing behavior was found. The information sources of parental knowledge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behaviors only for girls. When mother-rated maternal solicitations were highly used, adolescent girls showed more externalizing behavior. And they showed less internalizing behavior when they reported high self-exposure to their mothers. Final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xternalizing behaviors as a function of the combinations of mother-adolescent perception on maternal monitoring when both mothers and adolescents perceived higher maternal monitoring, the adolescents showed less externalizing behavior as compared to both the group with the low perception on maternal monitoring by both mothers and adolescents and the group with the high perception by mothers but the low perception by adolescents on maternal monitoring.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internalizing behavior between the groups. This results showed that high perception on maternal monitoring by both mothers and adolescent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adolescent development, and higher maternal monitoring perceived by adolescents especially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ir positive development.; 본 연구는 어머니의 감독 및 감독방법과 청소년의 외현화·내면화 행동간의 관계를 비롯하여, 어머니의 감독에 대한 어머니-청소년 지각의 조합에 따른 이러한 문제행동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위치한 2개 중학교 3학년에 재학중인 323명(남학생: 163명, 여학생: 160명)의 남녀학생들과 그들의 어머니들을 연구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어머니의 감독과 감독방법은 Stattin과 Kerr(2000b)의 척도를, 그리고 청소년의 외현화·내면화 행동은 Achenbach(1993)의 척도 중 외현화 행동과 내면화 행동에 관한 문항을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감독 및 감독방법은 어머니와 청소년 자신에 의해, 그리고 청소년의 외현화·내면화 행동은 청소년에 의해서 평가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성과 어머니의 취업유무에 따른 어머니의 감독의 차이에서, 어머니의 취업유무에 따라서만 어머니 보고와 자기 보고에 의한 어머니의 감독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즉, 어머니가 취업한 경우 어머니가 지각한 어머니의 감독과 청소년이 지각한 어머니의 감독은 모두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청소년의 성에 따른 어머니의 감독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성과 취업유무간의 상호작용 효과도 나타나지 않았다. 어머니의 감독방법의 경우는 청소년의 성에 따라서만 어머니가 보고한 자녀의 노출과 어머니의 통제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즉, 어머니는 아들보다 딸이 노출을 많이 하며, 아들보다 딸에게 통제를 많이 한다고 지각하고 있었다. 그러나 어머니의 취업유무에 따른 감독방법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성과 취업유무간의 상호작용 효과도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청소년의 성과 어머니의 취업유무에 따른 청소년의 외현화·내면화 행동에서 청소년의 내면화 행동은 청소년의 성에 따라 차이를 보여,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내면화 행동을 많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외현화 행동은 청소년의 성과 어머니의 취업유무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성과 취업유무간의 상호작용 효과도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어머니의 감독과 청소년의 외현화·내면화 행동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감독은 청소년의 내면화 행동과만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남학생의 경우는 자기 보고에 의한 어머니의 감독이, 여학생의 경우는 어머니 보고에 의한 어머니의 감독이 청소년의 내면화 행동과 유의한 관계를 나타내었다. 즉, 어머니의 감독이 높을수록 청소년의 내면화 행동은 덜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다. 그리고, 어머니의 감독방법과 청소년의 외현화·내면화 행동간에는 여학생의 경우에서만유의한 관계가 나타났다. 외현화 행동의 경우는 어머니 보고에 의한 어머니의 유도만이 유의한 관계가 있었으며, 내면화 행동의 경우는 자기 보고에 의한 자녀의 노출만이 유의한 관계를 보여, 어머니가 유도를 많이 한다고 지각할수록 여학생의 외현화 행동은 높게 나타났으며, 자신이 어머니에게 노출을 많이 한다고 지각할수록 여학생의 내면화 행동은 낮게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의 감독에 대한 어머니-청소년 지각의 조합에 따른 청소년의 외현화·내면화 행동의 경우, 그들의 조합에 따라 청소년의 외현화 행동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어머니가 지각한 어머니의 감독과 청소년 자신이 지각한 어머니의 감독이 모두 높다고 지각한 집단은, 모두 낮다고 지각한 집단과 어머니는 높다고 지각했으나 청소년은 낮다고 지각한 집단 보다 외현화 행동을 적게 보였다. 그러나, 이러한 조합에 따라 청소년의 내면화 행동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를 통해, 어머니의 감독에 대한 어머니와 청소년의 지각이 모두 높은 경우, 청소년의 외현화 행동이 가장 덜 나타날 뿐만 아니라, 어머니의 감독에 대한 청소년 자신의 지각이 특히 청소년의 긍정적인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