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7 Download: 0

음악학원 강사의 직업적 프로필(Professional profile)에 관한 조사연구

Title
음악학원 강사의 직업적 프로필(Professional profile)에 관한 조사연구
Authors
김성미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선희
Abstract
우리나라 음악교육의 현실은 음악실기 교육의 많은 부분이 학교에서보다 음악학원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므로 음악학원 교육을 직접 담당하는 음악학원 강사의 역할이 중요시되며 교육의 질과 음악적 성취를 높이기 위해서는 자질과 전문성을 갖춘 음악학원 강사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음악학원 강사의 직업적 프로필을 조사하여 그들의 자질과 전문성을 조사하고, 직업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를 파악함으로써 효율적인 음악학원 교육을 위한 음악학원 강사의 자질과 전문성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서울시내 11개 교육청이 관할하는 180개소의 음악학원에서 교습하는 음악학원 원장 및 강사 총 242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하였다. 설문지는 2000년 10월과 11월 중에 반송우편 또는 연구자가 설문지를 직접 전달하고 회수하는 방식으로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은 미국 교사 교육 위원회(Music Educators National Conference, MENC)의 『음악교사 교육: 최종 보고서(Teacher Education in Music: Final Report)』에서 제시한 음악교사의 자질과 전문성을 이론적 배경으로 하였다. 또한 Wolfersberger(1986)의 논문 'A Study and Analysis of Selected Aspects of the Piano Teaching Profession'에서 제시한 직업적 프로필 요소를 근거로 조사연구 내용을 설정하였다. 이를 통해 음악학원 강사의 직업적 프로필로서 일반적·전문적 배경, 직업관, 실기 교습조건, 재교육 현황, 직업 전문성에 대한 인식 및 직업 만족도를 설문지의 내용으로 하였다. 응답 결과는 SAS (Statistical Analysis System)를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직위, 학력, 음악전공 여부에 따라 t-test, ANOVA 분석을 하였다. 음악학원 강사의 일반적·전문적 배경을 조사한 결과, 여성이 96.7%로 여성의 비율이 절대적으로 우세하였다. 또한 음악학원 강사는 20대 49.6%, 30대 27.3%로 20-30대 중심의 경향성을 보이고 있었다. 음악학원 강사의 학력으로는 음악대학 졸업이 전체의 49.6%를 차지하고 있었고, 전문대학 음악전공 졸업이 18.2%로 나타났다. 또한 응답자의 전공으로는 피아노 전공이 53.3%로 가장 많고, 성악, 작곡, 음악교육, 현악, 관악의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응답자 중 14%는 음악 비전공자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62.5%의 강사만이 자신이 전공과 일치하는 악기를 교습하고 있었다. 음악학원 강사의 직업관을 조사한 결과, 음악학원 강사를 첫번째로 원하던 직업이라고 응답한 강사는 38%에 불과하여 직업적 선호도는 높지 않았다. 또한 음악학원 강사로서의 장기적 계획기간은 10년 이하가 대다수를 차지해 평생직으로서의 인식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음악학원 강사의 실기 교습조건으로는 대부분의 강사가 한 주에 21-30시간을 교습하며 한 학생당 11-20분에 불과한 레슨시간으로 하루에 21-30명의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었다. 조사 결과, 음악학원 강사직은 전문직이며 전공자가 담당해야 한다는 데에는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나 전문성의 신장을 위해 전문서적을 읽고, 재교육에 참여하며 협회에 가입하는 등의 재교육 활동은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상과 같은 조사 결과를 근거로 하여 볼 때 전문적인 음악실기 교육을 위해서 음악학원 강사는 음악전공자가 담당하여야 하며 나아가 자신의 전공악기를 교습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현행 강사 자격 제도에 대한 제고와 함께 음악학원 강사의 교습자격을 음악전공자로 제한하는 교습 자격제도가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많은 학생들을 짧은 레슨시간에 가르쳐야 음악학원 강사의 교습조건은 전문적인 실기 교육을 하기에는 열악하므로 교습환경의 개선을 위한 현실적인 제도 마련이 필요하다. 그리고 음악학원 강사의 전문직 인식과는 달리 전문인으로서 재교육을 통한 전문성 확립의 노력은 부족하므로 체계적인 재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하며 강사 스스로 재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과 전문성의 신장을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 The role, quality and professionals of studio music teacher are usually considered as an important thing, because most applied music is educated in music studio rather than in sch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tudio music teacher s standard and direction for better music education by surveying their professional history to measure their quality and professionalism. The study reports the findings from 242 studio music teachers who work in Seoul and the response of questionnaire were collected from Oct. 2000 to Nov. 2000. The questionnaire covers personal and professional background, a view of career, teaching conditions, continuing education, professional consciousness and career satisfaction. It is according to Teacher Education in Music: Final Report and a dissertation, Wolfersberger(1986)s 'A Study and Analysis of Selected Aspects of the Piano Teaching Profession.' The statistic treatment was done using SAS package, involving two-sample t-test and ANOVA. The result of the study is Most studio music teachers were female and in theirs twenties or thirties. Of those surveyed, their emphasis of their degree plans was on piano (53.3%), voice (8.2%), composition (7.8%), music education (6.2%), string (4.1%), and so on. It is worthy of note that 14.0% were non-music majors and that most of those non-music majors. Another interesting aspect was that 92.1% were teaching piano despite that only 53.3% had piano as an emphasis. most of them(88.8%) was teaching piano ne vertheless different music major. 38% of respondents selected their profession of studio music teacher as their preference. And the lesson time for a student is 11-20 minutes (52.9%). In-service education like seminars, workshops and joining in music organization for their profession, was insufficient. Studio music teachers have professional consciousness but career satisfaction is low. As a conclusion, studio music teachers have inferior teaching condition and some of them are not music majors. Studio music teachers have merely professional review but they have professional consciousness. Therefore, teacher-training programs are needed to develop professionalism among studio music teach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