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윤난지-
dc.contributor.author주연화-
dc.creator주연화-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05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05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36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88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369-
dc.description.abstractThis thesis analyzes the work of Theresa Hak Kyung Cha based on Poststructuralism. Theresa Hak Kyung Cha, who had been doubtful about the established meaning system such as the written and the spoken language and the signification embedded in it, intended to create new meanings and relationships by deconstructing the existing values of the system. Such an effort is in line with Poststructuralism, which also pursues the deconstruction of the structuralist semiology and the signification that reflects the value of the vested interests or a certain class. Moreover, Cha s rich body of work, ranging from conceptual art, video art to performance, criticizes the structuralist semiology as well as the Western historical perspective while reflecting the disrupted identity of an Asian American woman artist. Accordingly,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the work of Theresa Cha from a Poststructuralist perspective in search of the new meanings and relationships she wanted to create through her work. Ferdinand Saussure s idea of a single signifier which can be associated with a certain signified, or vice-versa, is criticized in her work that questions the meaning system of word language, sound language, light, movement, and visual language such as pictures and films. Furthermore, through her work that uses language as the main medium, she not only unleashes the potential of the word language but also deconstructs the metaphysical value from the Western world that has been reflected in the general linguistic point of view. Cha also describes how an image can be codified by deconstructing the picture sign. And the male-oriented value of rhetoric is deconstructed through a series of sound signifier that is neither connected nor logical. It is notable, however, that the significance of Cha s work does not lie in the deconstruction itself. The suppressed being and meaning she tried to disclose through the process of deconstruction were represented in her work as an empty space which symbolizes "the being of the absence," and such emptiness allowed the audience to become an active producer of the meaning of her work. In terms of the relations between the signifier and subject, the images, sound, and words embodied in her work reflect the fragmented subject she had to experience as a female immigrant. Theresa Cha revealed her disrupted subject as an Asian American through the signifier of her own memory, and her alienation as a woman through the images of other women. Theresa Hak Kyung Cha did not only focus on her personal experiences but also influenced the subject of the audience using various apparatus.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the mass media, especially the films, as a meaning system that reinforces fantasies of the transcendent perceptual subject, she deconstructed the unified perceptual subject of the audience by making use of different apparatus including dissolve, fade, multiple focus(vision, view, multi-focus), and the intervention of her own body, placing the deconstructed subject in between the consciousness and the unconsciousness. As a result, the deconstructed subject was able to move beyond the conventional meaning system toward the world of being based on new relationships. The work of Theresa Hak Kyung Cha, an Asian American who actively engaged in artistic creations for about a decade, cannot be characterized as a mere conceptual effort or a formal experiment. Neither did she solely concentrate on expressing her alienation as a female immigrant who belonged to the Third World. With continuous experiments on media and forms, Cha struggled to reveal meanings, experience and being that had been suppressed by the existing value system of a society within the experimental world of art in the 1970s. Her work now encourages us to pursue "other things seen, other things heard." ; 본 논문은 차학경(Theresa Hak Kyung Cha, 1951~1982)의 작품 세계를 후기구조주의적 관점에서 분석한다. 기존의 의미체계와 그것에 내재된 의미 작용에 의심을 가졌던 차학경은 자신의 작품들을 통해 그와 같은 의미체계들에 내재되어 있던 기존의 가치관을 해체하고, 그 해체 위에서 새로운 의미와 관계들을 창조해내고자 하였다. 이와같은 차학경의 의도는 후기구조 주의 이념과 같은 맥락 하에 놓여있다. 이에 필자는 후기구조주의 이론을 빌어 개념미술, 비디오 아트, 퍼포먼스의 경계를 넘나들고, 내용적인 측면에 있어서도 구조주의 기호학 비판, 제3세계 여성의 분열된 정체성 드러내기, 서구 역사의식 비판 등의 복합적인 의미들을 담아내고 있는 차학경의 작품 들을 포괄적으로 설명하고, 그녀가 자신의 작품들을 통해 창조하고자 했던 새로운 관계와 의미를 탐구해보고자 하였다. 문자 언어, 소리 언어, 사진 등의 의미 체계를 문제삼고 있는 작품들에서 차학경은 기표와 기의의 일대일 대응 구조라는 소쉬르적 기호형성 구도를 해체한다. 언어를 중심 매체로 삼는 작업에 있어 그녀는 문자 언어가 지닌 가능성을 드러내고 기존의 언어관에 내재되어 있던 서구 형이상학적 가치를 해체한다. 사진 기호를 해체하는 작업에 있어서는 이미지가 코드화되는 방식과 과정을 들춰낸다. 마지막으로 분절된 비논리적인 소리 기표의 나열 속에서 차학경은 남성 중심적인 수사학의 가치를 해체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기호 해체 작업은 해체 자체에 의의가 있는 것은 아니다. 차학경이 해체 위에 드러내는 감추어진 존재와 의미들은 그녀의 작품에서 "부재의 존재"를 상징하는 빈 공간으로 나타나고, 그 비어있음은 관객이 능동적인 의미의 생산자가 되도록 한다. 기표와 주체의 관계에 있어 차학경 작품에 부유하는 이미지, 소리, 문자 들에는 이민자이자 여성으로서 그녀가 경험해야 했던 주체의 분열이 반영되어 있다. 이민자이자 여성이라는 정체성을 가지고 살아야만 했던 작가의 분열된 주체와 욕망은 기억 속의 이미지들과 다른 여성들의 이미지를 따라 부유하며 자신의 모습을 드러낸다. 하지만 차학경은 자신의 개인적 경험에만 몰입하지 않고, 다양한 기제를 사용함으로써 관객의 주체에 또한 영향을 미친다. 그녀는 대중 영상 매체들 중 특히 영화가 선험적 지각 주체의 환상을 강화하기 위한 의미 체계임을 인식하였다. 이에 작가는 다양한 기제의 사용을 통해 관객의 통일된 지각 주체를 해체하고, 의식과 무의식의 경계 선상에서 그 해체된 주체가 기존의 의미 체계를 넘어 존재의 세계로 한발 더 나아가도록 한다. 약 10년이라는 길지 않은 시간 동안 제3세계 여성작가로 작품 활동을 펼쳤던 차학경이 보여주는 예술 세계는 단순히 개념적인 것이 아니며 또한 형식적 실험만도 아니다. 그녀는 제3세계 여성으로 자신이 느꼈던 소외를 표현하는 것에만 몰두하지도 않는다. 차학경은 1970년대의 자유로운 미술 공간 안에서 끊임없는 매체와 형식의 실험을 통해 기존의 사회가치체계에 의해 억압되어왔던 다양한 의미와 경험, 그리고 존재들을 드러내고자 하였고, 그 결과는 "보이지 않는 어떤 것, 들리지 않는 어떤 것"으로 우리를 이끌어 간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iv I. 서론 = 1 II. 후기구조주의 이론과 차학경 = 7 III. 기표와 기의 사이에서 떠도는 의미 = 21 1. 기호 체계들의 해체 = 22 2. 기의가 머무는 곳 = 33 IV. 기표를 따라 부유하는 주체 = 41 1. 기억의 기표를 따라 떠도는 작가주체 = 42 2. 의식과 무의식 사이에 남겨진 관객 = 53 V. 결론 = 65 참고문헌 = 70 도판목록 = 78 도판 = 82 Abstract = 9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2521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차학경(Theresa Hak Kyung Cha)의 작품에 대한 후기구조주의적 해석-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