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45 Download: 0

지역사회 공동체(Community)로서의 교회 환경디자인연구

Title
지역사회 공동체(Community)로서의 교회 환경디자인연구
Authors
조선영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환경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길홍
Abstract
교회는 하나님으로부터 받은 인간에 대한 사명, 혹은 세상에 대한 사명을 충분히 감당하기 위하여, 고립된 피안의 성소만이 아닌 그리스도안에서의 생활의 중심이며 지역사회 중심의 장으로써 지역과의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따라서 교회는 그 어떤 기능을 가진 건물보다도 인간을 위하고 이웃을 환대하는 분위기를 가져야하며, 인간이 살고 있는 환경과의 조화 속에서 스케일의 인간화를 표현하는 계획이 되어야 한다. 그러나 오늘날의 한국교회는 급성장이라는 과정에서 교회환경의 중요성을 바 로 인식하지 못한 채 무질서한 형태로 남아있다. 21세기에 이르러 모든 가치체계의 혼동과 급속한 사회의 변천 속에서, 공간도 고착된 카테고리에서 벗어나 미래를 지향하는 개념에 의하여 환경으로 인식되고 전문적으로 분석되고 계획되어짐으로 질서와 조화로서 교인과 교회환경, 또는 사회와 교회환경 사이의 유기적 상호작용으로 인식이 광범위하게 변화 발전하여야 한다. 이제는 과거의 형식을 모방하는 정도에서 그칠 것이 아니라 새로운 모델을 창조해내야 한다. 이러한 시점에서 연구자는 미래의 교회에 적합한 교회건축의 새로운 방향으로 지역사회의 중심이 되는 커뮤니티 시설로의 교회환경을 제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교회건축에 대한 일반적인 고찰을 하였다. 교회건축의 특성을 간략하게 살펴보 고 교회건축을 구성하는 요소를 파악함으로써 교회건축의 사항을 이해하였다. 우리나라 교회건축의 현황을 살펴봄으로써 한국교회 건축형태의 특징을 이해 하고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였다. 새로운 이념의 현대신학에서 논의되어 온 생태신학과 문화신학, 토착화 신학의 관점으로 교회환경을 파악하여, 미래교회건축의 새로운 방향을 논의하기 위한 근거로 삼았다. 교회와 지역사회의 관계를 조명하여, 지역사회를 위한 교회건축의 사회적 봉사 기능에 대한 교회환경디자인 계획 방향을 제시하였다. 교회환경디자인의 미학적 접근 방법으로 뵐플린(Wo¨lfflin)의 미적 지각 이론을 고찰하였다. 뵐플린의 이론을 바탕으로 건축에서의 표상형성의 형식(시각형성의 형식)을 파악하고, 그 전제와 법칙을 깨달아, 이를 오늘의 시점에서 반추해 봄으로써 디자인의 시지각 원리로 삼았다. 자연을 탐구할 수 있는 새로운 척도룰 제공하는 과학 및 예술의 새로운 미학 인 프랙탈 기하학을 디자인의 조형적 접근 방법으로 제시하였다. 프랙탈 디자인 의 조형원리와 형태적 특성을 파악하여 적용 가능한 시각적 자료의 예가 제시되 었으며, 디자인 단계를 위한 시각적 언어화 과정의 바탕이 되었다. 위의 과정에서 추출된 디자인 조형원리를 여러 가지 방법들을 통해 적용하여 보고, 커뮤니티 시설로서의 교회환경디자인에 필요한 전제조건들과 관련시켜 교 회 환경 디 자인을 계 획 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교회건축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고 미래의 교회에 적합한 교회건축의 새로운 방향인 지역사회를 위한 교회를 위하여, 체계화되고 통합된 계획으로 새롭고 활력있는 구조적 질서와 새로운 형태의 교회환경디자인 을 제시 하였다. ; A church is not only an isolated sanctum to fulfill the mission from god toward people or the world, but also a center for life within Christ and it should harmonize with the region as a heart of the community. Therefore a church should not be a building for only a certain function but it must obtain an atmosphere, which welcomes the neighbors and cares for the prople, and it should be planned to make balance with the environment. Unfortunately in the process of rapid development, contemporary Korean churches neglected the importance of the environment of the church and remain in chaos. By the 21st century all the value system became mixed up and the society faced an accelerated transition. In the process space became recognized as an environment by the future pursuing concept. And by being analyzed and planned professionally, the systematic interaction between the church-environment and Christian or society should be recognized in order and be developed extensively. The time has come to stop being satisfied in just imitating from the past forms but to create a new model. In this point of view, I present church as a center of community as a new solution for the future church-environment. Therefore this study has been advanced in the following process. ·A general inquiry about the architecture of the church was mad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urch buildings were briefly examined and by understanding the parts, which constitute the church buildings, the space of the church as a subject was comprehanded. ·By going through thepresent situation of the Korean churches, the features of Korean church forms and the definite problesm were apprehended. ·The basis for the discussion of the new scheme for the future church architecture was made by understanding the church-environment from the views of ecologic theology, cultural theology and aboriginal theology which were discussed in the new modern theology. ·By focu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urch and teh community, the direction for the environmental design process of the church related with the public-service function of church buildings for the community was presented. ·For the aesthetic approach for the environmental design of the church, the Wolfflin s Categories was investigated. From the Wolfflin s theory the formality of visual formation was comprehended, and by recognizing the premise and the methods, it was analogized from today s point of view and became the design principal of visual perception. ·The Fractal geometry, which is the new aesthetics for the science and art that suggest new scale to explore nature, was presented as a formative approach method of design. The example of visual data, which can be applied, was introduced by understanding the formative principals and the formal characteristics, and became the basis of the visual linguistic process for the design process. ·The methods drawn out from the former process was adapted, and by relating it with premise conditions for the church-environment design as an institution for the community, the church-environmental design was planned. Through the process the cognition of the church-architecture was newly made. And for the church in service to the community, which is the innovative solution compatible for the future church-architecture, the new structural order and the new form of church-environmental design was proposed through the systematic and consolidated strate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환경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