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24 Download: 0

게리 힐(Gary Hill)의 비디오 아트에 나타난 상호텍스트성

Title
게리 힐(Gary Hill)의 비디오 아트에 나타난 상호텍스트성
Authors
박미연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윤난지
Abstract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reason why Gary Hill s works are hard to be categorized in the established history of video art while he is regarded as an influential video artis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gives an account that the existing history of video art is molded as an aesthetic discourse in which the hybridity and the multiple background of video art are overlooked. Diversity of Gary Hill s works, however, have not been fully described in the current history of video art.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the artist s early works which are condensed as self-referentiality result in searching for the identity of video art. Gary Hill underlines the tension between elements in work. It is an attempt to reveal the vague boundary of video art. That is what he has noticed searching for its identity through various experiments on video medium. It also results from the fact that he shares the contemporary philosophy and literature questioning the indetermination of meaning. In this context, this study starts from analyzing Gary Hill s works on the basis of post-structural linguistics. On one hand, it is because that many art critics have related his works to philosophy of language. On the other hand, his intention to reveal uncertainty of video art is considered to take the post-structural standpoint on language. He pursues the flexible meanings of works by stressing on the conflicting state in which heterogeneous elements such as language and image, body and technology, virtual reality and actual reality coexist. Moreover, He reinforces the unsettled state of work with interactive system by considering spectators as a part of work and leading their active participation in works. Like this, Hill attempts to lift the boundary between subject(spectator) and object(work) by creating a space where heterogeneous elements are interwoven and making the spectators interact within it. His works undermine certainty of borders. It is a ‘textual’ space that the meaning of work is indefinite. Meanwhile, Hill emphasizes the fact that his works are produced by technology. He refers to the increasing influence of technology by presenting the current situation diminishing the gap between real and non-real: he proposes a new being appeared in the technology-omnipresent world by combining body and technology; he also presents virtual reality through projecting images into the real space. The images cause the confusion between real thing and non-real. Nevertheless, he doesn t make his position clear by emphasizing a conflicting condition between body and technology, virtual reality and actual reality. To sum up, Gary Hill s works are a metaphor of contemporary art whose border is undecided and whose concept is uncertain. It takes general discussion on the question of the whole art out of search for the identity of video art. Continuing to transgress the limit of art field, he undermines the established territory. He elucidates plural quality of contemporary art in that intersection among the genres is often observed. Therefore, it could be evaluated that Gary Hill s works in contemporary art enlarge the boundary of art and delay completing the meaning by emphasizing intertextuality. ; 본 논문은 게리 힐이 영향력 있는 비디오 예술가로서 인정받지만 비디오 아트의 맥락 내에서 그의 위치를 가늠하기 어렵다는 점에 착안하여 그 원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비디오 아트의 역사가 제도화, 형식화의 과정을 거쳐 그 매체의 혼종성과 기원의 복합적 요인이 간과된 채 미학적 담론으로 고착되었음을 밝히고 게리 힐 작업의 복합적 양상이 이러한 단선적인 역사서술의 틀 안에서 설명될 수 없음을 서술하고자 한다. 이에 역사에서 배제되었던 작가의 초기작업에 주목하면서 당시의 작업을 집약하는 자기지시적 특성이 비디오 아트의 불명료한 경계적 특성을 드러내고자 하는 비디오 아트의 정체성 탐구로 귀결된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게리 힐은 긴장관계의 형성에 주력하였다. 이것은 작가가 매체실험을 통해 비디오 아트의 정체성을 탐구하면서 그것의 모호한 경계적 특성을 드러내려는 시도이자 언어의 명시성을 의문시하고 의미의 불확정성을 간파하였던 동시대 철학, 문학의 사상을 공유한 결과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은 후기구조주의적 언어관에 입각하여 게리 힐 작품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것은 부분적으로 다수의 비평가들이 게리 힐의 작업에 있어 언어철학과의 연관성을 거론하였다는 점에 착안한 것이며 또한 비디오 아트의 불명료한 특성을 드러내는 데에 몰두하는 작가의 태도가 의미의 불확정성을 강조하는 후기구조주의 언어관과 동일한 맥락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작가는 언어와 이미지, 몸과 테크놀러지, 가상과 실재의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공존하는 긴장을 강조함으로써 불안정하고 유동적인 의미를 추구한다. 더욱이, 상호반응의 방식을 통해 관람자를 작품의 일부로 간주하고 관람자의 능동적인 참여를 기대함으로써 지각작용의 환기를 요구하며 작품의 미완결된 상황을 강화한다. 이처럼 그는 작품의 내부에 이질적인 요소들이 얽혀있는 공간을 창출하고 이 공간 안에 관람자를 침투시킴으로써 작품의 안과 밖, 즉 대상과 주체의 경계를 제거하고자 했다. 확립된 경계가 손상되고, 요소들이 갈등적으로 공존하는 게리 힐의 작품공간은 의미의 확정을 지연시키는 불확정성의 공간이다. 이는 곧 고정된 의미를 넘어 무한한 의미의 그물망 속으로 나아가는 과정의 논리인 텍스트성이 실현되는 공간인 것이다. 한편, 게리 힐은 자신의 작업이 테크놀러지에 의해 창출되는 것임을 강조한다. 작가는 실재와 비실재의 경계가 축소된 상황을 제시함으로써 테크놀러지의 점증하는 영향력에 대해 언급한다. 그는 몸과 테크놀러지의 결합을 통해 테크놀러지가 편재하는 세계 속에서 출현한 새로운 인간상을 제안하며, 가상의 이미지를 실재공간에 투사하고 이것이 실재와 같은 지위를 획득하는 상황을 제시함으로써 가상현실을 재현한다. 그러나 그는 몸과 테크놀러지, 가상과 실재의 틈새를 강조하고 이를 통한 긴장의 형성에 주력함으로써 테크놀러지에 대한 긍정 혹은 부정의 지시적 대답을 유보한다. 요컨대, 게리 힐의 작업은 테크놀러지가 야기한 예술의 확장된 경계와 불명료한 예술개념에 대한 은유이다. 비디오 아트의 정체성이라는 문제에서 예술 전반에 대한 일반화된 논의를 도출하는 것이다. 예술의 안과 밖의 경계를 넘나들면서 그것을 지속적으로 손상시키는 게리 힐은 장르 간의 벽을 허무는 다원주의적 예술의 현재를 가늠하게 하는 작가이다. 경계를 열어둠으로써 범주화를 거부하는 게리 힐의 위치는 유동적이며 그의 예술은 의미의 완결을 지연시키는 과정인 것이다. 따라서, 현대미술에 있어 게리 힐의 작업이 지니는 의의는 예술의 경계를 확장하고 의미의 완결을 다양한 방식으로 열어둔다는 데에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