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14 Download: 0

대학도서관의 사인시스템(sign system)에 관한 연구

Title
대학도서관의 사인시스템(sign system)에 관한 연구
Authors
허경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사서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석두
Abstract
This study aims at suggesting a more user-friendly library sign system by examining, and improving upon, current sign systems in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The seven libraries examined are those with a collection of at least a million books and more than 4,000 seats according to The Statistics for Libraries in Korea 1999. Document researches, field surveys, and questionnaire inquiries have been combined to obtain a balanced result. Through document researches some theoretical points were investigated : the concept and forms of the library sign; the process of planning the sign system; factors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that process; codified sign policies in libraries in the USA. The field-survey of the seven libraries was conducted from October to November, 2000. Current sign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designs and positions, the result of which is given in photos. Furthermore, interviews with librarians regarding plans for the sign system, and how signs are taken care of. It had been examined through questionnaires whether there are policies for the sign system, how librarians conceive the sign system, and whether there are signs for the handicappe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mong students attending the seven universities, who are main users of those libraries, concerning the degree to which they were aware of the sign system, and how they were satisfied about it.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20 to 27, 2001. On the basis of the above-mentioned researches and surveys, the improvement of the library sign system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the plan for the sign system, which is essentially related to the condition of the library building,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at an early stage of designing the library building. An adequate discussion between architects and librarians as regards users convenience is a must. Moreover, the sign system of a university library should be consistent with the overall sign system and image of the university. Second, the sign system should be carefully planned for maximum readability, aesthetic effect, and consistency. Therefore, signs of simpler designs, embodying the symbolic color of the university, is preferred. The final decision is to come only after preparing and installing test signs for deliberation. In addition, temporary signs should be similar in design and shape with permanent ones. Third, signs should be positioned a little higher than average persons eyes. Since 5 to 10 degree is the most natural visual angle for a person, signs hanging from the ceiling should be 2.0 to 2.2 meters above the floor, while 1.55 to 1.65 meters is recommended for wall signs. Floor plans should show signs in correct visual angles, while leading signs should be placed in exact positions. Fourth, signs are to be properly maintained. As for those signs whose content frequently changes, they are to be designed in such a way as to permit easy change. Librarians should continuously check the signs for optimal maintenance. Fifth, signs for the handicapped should be installed. Even in cases where the number of the handicapped persons are limited, their specific convenience needs to be especially taken care of. The same is true with those persons with weak eyesight or color weakness. Finally, a codified policy or manual for the sign system should be provided. Many libraries in the USA have it, though none in Korea does. In view of the no small sum of money spent on signs, a consistent policy or manual for appropriate maintenance is indispensable. Records of discussions in the course of planning signs, order sheets or specifications for signs, and photos of installed signs may provide, when duly processed, an opportune starting point for a policy or manual. ; 본 연구는 현재 국내 대학도서관의 사인시스템이 어떻게 계획되고 사인들이 실제로 어떻게 배치되고 있는가 그 실태를 조사분석하고 문제점을 파악함으로써, 이용자가 좀더 효과적이고 편리하게 도서관을 이용할 수 있도록 효율적인 사인시스템의 계획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조사대상으로는 『한국도서관통계 1999』를 기준자료로 삼아 국내 4년제 대학도서관 중에서 장서 100만 권 이상과 열람좌석 4,000석 이상을 보유한 7개 대학도서관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 현장조사, 설문지조사를 병행하였다. 문헌 연구를 통하여 사인의 개념과 유형, 사인계획 과정, 사인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 그리고 미국 대학 도서관의 성문화된 사인정책 등 사인에 대한 이론적 사항을 고찰하였다. 선정된 7개 대학도서관을 대상으로, 2000년 10월부터 11월까지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현재 설치되어 이용되고 있는 사인시스템의 디자인과 설치위치 등 물리적인 요소를 조사하였으며, 사인을 유형별로 분석한 후에 사진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담당사서와의 면담을 통해 사인시스템의 계획 및 유지보수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알아보았으며, 사인의 정책과 규정의 유무, 사서의 사인에 대한 인식, 그리고 장애자를 위한 사인의 설치유무 등을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다. 설문지조사는 선정된 7개 대학도서관의 주된 이용자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현재 설치되어 있는 사인에 대한 만족도 및 불만족도와 그 요인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설문지의 배포와 회수는 2001년 3월 20일부터 3월 27일까지 실시하였다. 조사방법은 조사대상교를 방문하여 그 도서관을 이용하고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응답을 요청하였다. 한 대학교당 58부를 배포하여, 응답이 누락되거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각각 50부씩 총계 350부를 분석하였다. 문헌 연구, 현장조사, 설문지조사의 결과를 토대로 효율적인 사인시스템 운영을 위한 방안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인시스템은 건축여건과 깊은 관계가 있으므로 건축계획과 동시에 계획되어야 한다. 이때 이용자의 입장을 충분히 고려하여 건축가나 디자이너와 사서 간의 충분한 협의가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대학도서관의 사인시스템은 대학전체의 사인정책과 함께 일관성있게 이루어져야 하고 대학의 이미지를 나타낼 수 있어야 한다. 둘째, 사인은 가독성과 조형미를 감안하여 계획적으로 디자인되어야 하고, 통일성을 유지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처음 사인을 선택할 때 단순한 디자인을 선택하고 대학의 특성을 나타내는 테마색을 정한 후 모형 사인을 제작·설치해보고 평가를 거쳐서 최종 결정을 내려야 할 것이다. 또한, 임시 사인도 영구 사인과 디자인이나 형태를 통일시켜 일관성 있게 제작해야 한다. 셋째, 사인의 위치는 평균 사람의 눈높이 보다 약간 높은 것이 좋다. 사람이 가장 자연스러운 시각으로 볼 수 있는 인지각은 5~10°이다. 따라서 바닥에서 사인의 아래단까지 최소한 매단 사인은 200~220cm, 벽면 사인은 155~165cm가 되도록 한다. 평면도는 사인이 설치되어 있는 위치와 실제의 위치가 시각방향이 맞도록 설치해야 하고, 유도 사인의 경우는 정확한 선택지점을 선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넷째, 설치된 사인은 항상 정확하고 깨끗하게 유지보수되어야 한다. 변동이 많은 사인은 언제든 변경이 가능하도록 가변형 사인으로 설치해야 한다. 유지보수가 잘 되기 위해서는 사서의 끊임없는 관심과 지속적인 평가가 있어야 한다. 다섯째, 장애인를 위한 사인을 설치한다. 한 사람의 장애인이라도 봉사를 받을 권리가 있으므로 장애인 사인은 반드시 설치해야 한다. 또한, 약시나 색채인식에 문제가 있는 이용자들도 충분히 고려하여 편안하게 도서관을 이용할 수 있도록 사인을 제작한다. 여섯째, 사인시스템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는 성문화된 사인정책이나 매뉴얼을 준비해야 한다. 국내에는 성문화된 사인정책이나 매뉴얼을 찾기가 어렵지만, 미국의 도서관은 사인정책과 매뉴얼을 가지고 있는 도서관이 많다. 많은 예산을 투자하여 제작·설치한 사인시스템을 통일성있고 일관되게 유지하기 위해서 사인정책의 성문화는 반드시 필요하다. 사인의 설치 시에 논의하였던 사항들을 정리한 문서와 주문서나 시방서, 그리고 설치한 사인의 사진 등을 보관하여 성문화된 사인정책과 매뉴얼로 발전시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사서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