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1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
dc.contributor.author허묘분-
dc.creator허묘분-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03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03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47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87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473-
dc.description.abstractApartments began to be built in Korea since Mapo apartment construction in 1962. More than 500,000 apartment units have been built annually since 1990. And the average number of housing units per household become 0.83(house/household). Today an apartment is the main dwelling type in Korea. However the policy of housing supply has focused on speedy construction and total quantity of housing units. The monotony and uniformity in apartment design can not satisfy the dweller s various needs. And the differences in the durability among different building components have not been considered.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wo fold. One is to consolidate Open Building System in Dwelling(OBSD) that satisfies the dweller s various needs accordingly after occupation. The other is to apply the idea of OBSD to the design of linear type apartment. OBSD is based on the notion that social and cultural value should be reflected on the form of a dwelling and that the user should be important in the decision-making. Therefore decision-making process is divided into two levels -Community and Individual- so that the physical system of a building should be divided into separate entities -Support and Infill-. The Support involves those decisions which the community has control over and the Infill involves those decisions which the individual has control over. And this two-level distinction could be successfully accomplished by OBS -Modular Coordination(MC) in design, Open Component System(OCS) in material and Job Coordination(JC) in construction-. The research on OBSD have to involve in housing process and technology. The rational design method in mass housing was proposed by N. J. Habraken and the Dutch architects of SAR(Stichting Architecten Research) in 1961. The SAR method and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expanded dweller s participation in housing process. However in Korea, dweller s participation in the building housing process is restricted because of the lack of social consciousness and technology. In the study, the Support design of 85㎥ hall type apartment is proposed. This Support design indicates the basic structural shell which includes the detailed design development of OBS. Since the core of vertical circulation is located on the back-side of the building, the front side of the building which face of southward can be for the living spaces of household. The concentration of vertical shafts around two vertical cores makes it possible to form two wet-zones. The design variations of bathroom and kitchen are possible with a hinged anchor on the wet-zones. The 4 Basic Variations of a unit plan are proposed. And the subsequent sub-variations of each basic variation are produced with a fixed location of bathroom. Once the initial construction is completed, only kitchen can be deployed freely in wet-zones. The flexibility is further limited by On-Dol system which is korean traditional floor heating system. As a result, dwellers can select one from 4 basic variations before occupation. However, the location of the bathroom can not be changed after initial occupation. The flexibility in the change of Infill system is restricted by the technical development. ; 1962년 마포 아파트를 계기로 우리나라에 아파트가 본격적으로 소개되기 시작한 이후 아파트의 공급량이 1990년부터 지금까지 연간 50만호를 넘어서고 있다. 또한 연간 주택 보급률의 경우에 있어서도 1999년 6월에는 82.7%를 차지하였다. 이렇게 우리나라의 주요 주거 유형으로 자리잡은 아파트는 거주자의 다양한 요구에 대응하지 못한 채 획일적이고 단조롭다는 문제를 야기시켰으며 서로 다른 내구연한(Life-Cycle)을 가진 구성재들이 일체식으로 건설되어 비효율적이라는 문제 또한 야기시켰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거주자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하고 입주후 소득수준의 향상, 가족 생활 주기(Life-Style)의 변화, 설비시설의 고품질화등에 대응할 수 있는 개방형 건축 시스템(Open Builing System)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이를 실제로 적용한 국내외 사례들을 고찰하여 주거에서의 개방형 건축 시스템의 개념과 우리나라의 실정을 파악한 후, 이를 실제로 전용면적 85㎡ 아파트 디자인에 적용하였다. 주거에서의 개방형 건축 시스템은 주거는 사회 · 문화적 요소를 반영해야 하며 거주자의 생활양식에 대응할 수 있어야만 한다는 생각을 바탕으로 거주자를 주거설계과정에 참여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주거설계과정을 크게 건축가와 거주자라는 두 개의 영역(level)으로 나누고 이에 따라 물리적 시스템을 고정요소(Support)와 가변요소(Infill)로 분리하여 이에 대한 역할과 책임을 명확히 구분하고 있다. 이는 설계과정에서의 모률정합(MC. Modular Coordination)과 건축 구성재(components)의 자재 · 치수 · 성능 표준화를 통한 오픈부품화(Open Components System), 시공부분에서의 시공정합(JC, Job Coordination)을 기본개념으로 하는 개방형 시스템의 발전으로 인해 성취될 수 있다. 즉 건축의 공업화를 통해 거주자가 시장에서 가변요소를 쉽게 구입할 수 있도록 하여 주거설계과정에서 거주자의 참여를 더욱 확대시킬 수 있으며, 모률정합과 시공정합을 통해 가변요소 부분이 고정요소에 정확히 위치되어질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주거에서의 개방형 건축 시스템에 대한 연구는 주거설계과정과 기술분야 두 방향 모두에서 진행되어 왔다. 외국의 경우 2차 세계대전 이후 네덜란드의 하브라켄(Habraken)을 중심으로 SAR(Stichting Architecten Research)가 창설되어 체계적이고 논리적인 주거설계 방법론이 제시되었다. 또한 지속적인 기술의 발달로 가변요소 부분의 개방화가 이룩되어 거주자가 카탈로그에서 직접 구성재를 선택할 수 있게 되었으며 그동안 가변을 제한해왔던 설비시스템을 고정요소로부터 분리하여 내부공간 가변화의 극대화를 성취하였다. 반면, 우리나라의 경우 기술의 부족과 사회적 인식의 결여, 경제성 부족으로 주거설계과정에서 거주자의 참여는 마감선택이나 거주전 평면 선택, 방 두 개의 결합과 분리등과 같이 매우 제한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방형 건축 시스템의 개념을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게 적용하여 전용면적 85㎡ 계단실형 아파트의 고정요소 부분을 제안하였다. 구조시스템으로는 가변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벽식구조와 벽기둥을 혼합 사용하는 방식을 취하였으며 코어 부분을 후면에 집중시켜 Wet-Zone을 형성함으로써 화장실과 주방의 제한적 자유를 허용하였다. 여기에 SAR 방법론을 적용시킨 결과 4가지의 기본변화를 도출하였으나 배관시스템 때문에 화장실의 위치가 고정된다. 따라서 거주전 최초 분양시에는 기본변화 1, 2, 3, 4 사이의 선택에 자유가 주어지지만 거주후에는 화장실의 위치가 서로 다른 기본변화 1, 2와 기본변화 3, 4 사이에는 평면 변경이 불가능하다. 또한 온돌시스템에 의한 제약 때문에 기본변화 1과 기본변화 2 사이의 평면 변경시 바닥판의 재시공이 불가피하다. 그러나 설계 계획시 가변을 예상하여 온돌시스템을 설치하고 조립식 온돌을 사용하면 시공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고정요소를 디자인함으로써 다양한 거주자의 요구에 대응하는 미래 아파트의 하나의 대안으로써의 의미를 갖는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론 = 1 1. 연구배경 및 목적 = 1 2. 연구 범위 및 방법 = 3 제2장. 주거에서의 개방형 건축 시스템 = 5 1. 건축에서의 개방형 시스템 = 5 1-1. 개방형 시스템의 정의 = 5 1-2. 개방형 건축 시스템 = 6 2. 주거에서의 개방형 건축 시스템 = 10 2-1. 주거설계과정에서의 거주자의 참여 = 11 2-2. 고정요소(Support)와 가변요소(Infill)의 분리 = 12 2-3. SAR 방법론 = 16 2-4. 기술의 발전 = 24 3. 소결 = 28 제3장. 국내외 적용사례 = 30 1. 외국의 사례 = 30 1-1. Wohnen Morgen Hollabrunn, 오스트리아, 1972 = 30 1-2. Adelaide Road Estate Borough of Camdem, 런던, 1979 = 32 1-3. Les Marelles Boussy-St. Antoine, France = 34 1-4. Next 21 = 36 2. 우리나라의 사례 = 39 2-1. 상계 주공 2단지 융통형 아파트, 1986년 = 39 2-2. 고양 능곡 주공 가변형 아파트, 1994년 = 40 2-3. 선경시티빌 103, 1994년 = 41 2-4. 당산동 강변 시범아파트, 1971년 = 41 2-5. 삼성 쉐르빌, 1999 = 42 3. 국내외 적용사례 비교·분석 = 46 제4장. 개방형 건축 시스템을 적용한 아파트 디자인 = 49 1. 고정요소(Support) 제안 전제조건 = 49 2. 고정요소(Support)와 가변요소(Infill) = 50 3. 코어 형식의 선택과 샤프트의 위치 = 51 4. SAR 방법론의 적용 = 53 4-1. 기준대(Zone)·한계대(Margin)·섹터(Sector) 설정 = 53 4-2. 기능에 따른 공간의 분류, 위치 = 55 4-3. 각실의 크기 산정 = 61 4-4. 섹타(Sector)의 크기 = 62 4-5. 기준대(Zone)·한계대(Margin)의 크기 = 64 4-6. 고정요소(Support) 제안 = 65 4-7. 기본변화(Basic Variations) = 67 5. 기술에 의한 제약 = 68 5-1. 배관 시스템에 의한 제약 = 68 5-2. 온돌 시스템에 의한 제약 = 70 6. 소결 = 74 제5장. 결론 = 76 참고문헌 = 78 ABSTRACT = 8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23113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dc.title개방형 건축시스템(OBS)을 적용한 아파트 디자인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과학기술대학원 건축학과-
dc.date.awarded2000. 2-
Appears in Collections:
과학기술대학원 > 건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