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48 Download: 0

대화함축(Conversational implicature)에 대한 연구

Title
대화함축(Conversational implicature)에 대한 연구
Authors
김보라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양혜순
Abstract
언어 사용의 목적은 의사소통을 하는 것이며 따라서 언어 교육의 1차적인 목표는 의사소통 능력 배양에 있다. 의사소통 능력은 논리적인 의미 전달과 이해 그리고 발화 능력뿐만 아니라 담화의 내재적인 의미를 추론하여 이해하는 능력까지 포함한다. 추론하여 이해하는 능력이란 화용론적인 개념으로 대화 함축의 이해라고 볼 수 있다. 의사소통 능력에는 이와 같이 화용론적 개념인 대화 함축의 이해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의사소통 능력을 갖추는 데 필요한 대화 함축이 실제 원어민의 일상 생활에서 얼마나 중요한 비중을 갖고 있는지 알아보고, 대화 함축의 실제적인 예들을 대화 격률에 따라 유형별로 분류·분석하고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의미와 의사소통의 관계를 살펴본 후, 의미론과 화용론에서 주류를 이뤄온 의미 에 대한 연구로 전제와 함언, 및 함축의 개념을 알아보았으며 특히, 함축 중에서도 대화 함축에 대해 자세히 논의하였다. 또 함축 이론의 제한점을 지적하면서 1980년대 후반에 대두한 관련성 이론을 논의하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관련성 이론 또한 많은 제한점을 지닌 것으로 지적되었으므로 이 비판도 함께 소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대 화용론 이론에서 여전히 널리 인용되고 있는 Grice의 함축 이론에 따라 미국 현대 구어체 영어에 나타난 대화 함축을 살펴보았다. 대화 함축은 구어체의 특성이므로 실제 현대 미국 구어체 영어에서 대화 함축이 차지하는 비중을 알아보기 위해, 원어민들의 일상 생활을 가장 잘 보여주는 최신판 미국 영화 대본 다섯 편을 각각 코미디와 드라마의 두 장르에서 골라 담화 분석의 방법을 통해 대화 함축의 빈도와 유형을 분류·분석하고 대화 함축의 실제적인(authentic) 예를 찾아 제시하였다. 현대 미국 구어체 영어를 보여주는 영화 대본 분석 결과 대화 함축이 포함된 대화수는 전체 대화수의 15.1%로 이는 현대 구어체 미국 영어에서 대화 함축이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각 대화 격률별로 분석한 결과, 관련성의 격률은 56.4%, 양의 격률은 36%, 질의 격률은 12.4%, 태도의 격률은 9.6%로 관련성의 격률과 양의 격률의 비중이 매우 높았다. 또, 두 가지 이상의 격률과 관련된 대화 함축도 찾아볼 수 있었는데, 그 중에서 관련성의 격률과 양의 격률이 동시에 위반되어 생기는 대화 함축이 가장 많았으며, 대화 격률 네 가지 모두와 관련된 대화의 예도 한 두가지 찾을 수 있었다. 위의 논의와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Grice의 대화 격률과 대화 함축 이론은 이후에 대두한 관련성 이론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여러 연구에서 언급되고 있음을 감안해 볼 때, 영어학 연구에서 대화 함축 이론에 대한 좀 더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우리 나라 영어 교육 현장에서 지금까지 의사소통 기능을 논리적인 정보 교환 기능 측면에만 치중해 왔음을 인식하고 인간의 추론 능력을 반영하는 대화 함축을 포함한 의사소통 능력에 더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둘째, 대화 함축은 사회·문화적 환경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므로 우리 나라에서 영어를 배우는 학습자들이 좀 더 실제적이고 생생한 영어권 문화와 사고 방식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다방면에서 제공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실제 원어민의 대화에서 관련성의 격률이 차지하는 비중이 큼을 감안하고 관련성의 격률이 갖는 복합적인 특성을 고려해 볼 때, 우리 나라 영어 교육 현장 특히, 중급 수준 이상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 기관에서는 의사소통 기능 배양에 있어, 관련성의 격률에 대한 이해와 능력 배양에도 염두를 두어야 할 것이다. ; One of the most basic functions of language is to communicate and the first goal of language education is to cultivate the ability to communicate. The ability to communicate includes conveying, understanding, and uttering messages and the inference and understanding of their intrinsic meanings. This is referred to as the pragmatic concept of conversational implicature. Therefore, in order to achieve communication ability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conversational implicature. In this research, the importance of conversational implicature in the everyday life of native English-speakers is examined, and the types of conversational implicature are analyzed and classified, according to the Gricean maxims. To attain the goal of this research, first I check the relationship between meaning and communication as a theoretical background is introduced, as well as the concepts of presupposition, implication and implicature, especially conversational implicature, which are the main fields of semantics and pragmatics related to the meaning. A discusssion of the Relevance Theory follows, which was first introduced in 1980 s and indicates the limitations of Gricean implicature theory. Recently, however, limitations of the Relevance Theory have also been found, and these limitations are also discussed. Nevertheless, this research examines conversational implicature in modern American colloquial English according to Grice s implicature theory because it is still broadly quoted in studies of modern pragmatics. Finally, five English screenplays, including three comedies and two dramas, were chosen due to their pertinent reflection of modern American colloquial English. The frequency and types of conversational implicature then are analyzed, and authentic examples of conversational implicature are presen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screenplays the portion of turns of conversations including conversational implicature is 15.1%, which shows that conversational implicature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modern American spoken English. According to the Gricean maxims, the maxim of relation is 56.4%, the maxim of quantity 36%, the maxim of quality 12.4%, and the maxim of manner 9.6%. There are several examples that are related to more than two Gricean maxims at the same time, of which conversational implicature by both the maxim of relation and quantity has the largest portion. From the discussion and the results, this researcher would like to suggest the following. First, since, in spite of the existence of the Relevance Theory, Gricean maxims and conversational implicature are still mentioned in other researches, conversational implicature should be studied further. In addition, communication ability including conversational implicature which reflects human beings inference ability should be focused on more in English education. Second, the culture and the way of thinking in the English speaking-world should be presented more practically to the learners because of their importance in understanding conversational implicature. Lastly, educational institutions in Korea that teach English at levels higher than the intermediate level should consider cultivating an understanding of the maxim of relation for communication abil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