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1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혁준-
dc.contributor.author나주리-
dc.creator나주리-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02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02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950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86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950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위암진단을 받은 후 위절제술을 받기 위해 입원한 2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전 평가를 진행한 후 퇴원 시 및 퇴원 후 8주간 체중변화를 포함한 신체계측치의 변화, 생화학적 수치의 변화 등과 함께 주관적 종합 영양상태 평가(Patient Generated-Subjective Global Assessment)를 통해 영양상태 변화를 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그와 동시에 위절제 후 흔히 나타나지만 평가기준이 부족한 덤핑증후군의 평가를 위해 기존의 Sigstad’s scoring system을 적용 및 변형 적용하여 발생추이를 파악하고 그 의미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신체계측치인 체중은 수술 전 대비 수술 후 각 시점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 퇴원 후 8주째의 체중감소는 평균-4.11kg(6.35%) 수준이었다. 삼두근 피부두겹두께(TSF)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상완위둘레 및 근육둘레는 수술 전 후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생화학적 검사수치는 총 콜레스테롤을 제외한 모든 수치가 퇴원 후 8주간 정상범위 내에서 두 시점 이상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퇴원 후 8주째, 총 단백질과 알부민을 제외한 수치들에서 수술 전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수술 후 수치의 증감이 있었으나 다시 안정화 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PG-SGA평가 결과를 보면 수술 전, 퇴원 2주후 및 8주후 각 시점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수술 전 영양상태가 양호한 그룹으로 판단된 대상자가 22명(91.7%)에서 퇴원 2주후 1명(4.2%), 8주후 9명(37.5%)로 변화하면서 퇴원 후 기간 경과에 따라 일부 호전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나 대부분 수술 전 상태를 회복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덤핑증후군 평가결과를 보면 Sigstad’s scoring system을 적용 시, 일본 소화기 학회에서 제시한 덤핑증후군 관련 증상을 토대로 변형적용한 결과에 비해 관련 증상이 없었다고 답한 대상자의 비율이 높았다. 또한 기존 시스템 적용 시와 변형적용 시 덤핑증후군이 의심되는 그룹으로 판단된 환자는 퇴원 시 각 0명, 2명(8.3%), 퇴원 2주후 각 1명(4.2%), 퇴원 8주후 각 1명(4.2%), 6명(25%)으로 나타났다. 수술 전 후 주관적 섭취량 및 섭취방해요인에 대한 조사결과 수술 후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주관적 섭취량이 대부분 증가하는 경향을 볼 수 있었으나 이 역시 수술 전 수준으로 회복되지는 못하였고, 섭취방해요인이 다양화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기간에 따른 환자의 영양상태 및 관련 증상의 변화 추이를 파악할 수 있었고 기간에 따라 섭취방해요인이 다양화 되는 만큼 환자 개별적인 접근을 기초로 한 영양중재의 필요성을 시사할 수 있었다. 특히, 위절제술 후 식사섭취 진행을 방해하고 환자의 삶의 질과도 연관되는 덤핑증후군 관련 증상에 관한 평가 및 연구가 미흡한 실정인 만큼, 본 연구가 다각적인 연구 진행을 위한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This study carried out preoperative assessment on 24 patients hospitalized for gastrectomy after being diagnosed with stomach cancer, and then prospectively investigated nutritional status through anthropometric measurements including weight, and biochemical data and Patient Generated Subjective Global Assessment (PG-SGA) at the time of hospital discharge and during 8 weeks after discharge. At the same time, to investigate into dumping syndrome which is common after gastrectomy but for which there is a lack of evaluation criteria, this study tried to identify the incidence of dumping syndrome and present implications by applying existing Sigstad’s scoring system and modified system on it. This study found significant postoperative weight loss at each point in time compared to the preoperative assessment. The degree of weight loss was -4.11kg (6.35%) after 8 weeks from discharg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riceps skinfold thickness (TSF) was not found. As for both mid-arm circumference and mid- arm muscle circumference, however, significant postoperative decline was recognized. All biochemical data except total cholesterol change significantly within normal range at more than two points in time over 8 weeks after discharge. 8 weeks after discharge, data except total protein and albumin were stabilized, no longer showing significant postoperative variations. The results of the PG-SGA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following points in time: before surgery, two weeks and eight weeks after discharge. The number of patients grouped into wellnourished was 22 (91.7%) before surgery, but this changed to only one (4.2%) two weeks after discharge and 9 (37.5%) after eight weeks. It shows that nutritional status was not fully restored to the preoperative status in most cases even though it got better over time after discharge. When applying Sigstad’s scoring system, dumping symptoms were reported by a lower percentage of patients compared to when applying Modified sigstad’s scoring system based upon dumping symptoms presented by the Japanese Society of Gastroenterology. When applying Sigstad’s scoring system, the number of suspected cases of dumping syndrome was 0 at the time of discharge, 1 (4.2%) after two weeks, and 1 (4.2%) after eight weeks. When applying Modified sigstad’s scoring system, 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suspected cases of dumping syndrome was 2 (8.3%) at the time of discharge, 1 (4.2%) after two weeks, and 6 (25%) after eight weeks. Results from investigation into subjective intake and factors disturbing intake showed that subjective intake increased over time after surgery in most cases but it was not fully restored to the preoperative status, and factors disturbing intake diversified. Based upon the results above, trends in patients’nutritional status and related symptoms were able to be identified according to time. In addition, it was implied that individual approach is needed for nutritional intervention by the result that factors disturbing intake diversified over time. Especially since there has been a lack of evaluation and study about dumping syndrome which disturb dietary intake after gastrectomy and affect patients’quality of life,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the foundation for various future research.-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목적 1 B. 연구배경 1 C. 용어설명 6 II. 연구방법 9 A. 연구대상 9 B. 연구내용 10 1. 일반사항 10 2. 신체계측 10 3. 생화학적 검사자료 11 4. PG-SGA(Patient Generated-Subjective Global Assessment) 11 5. 덤핑증후군(Dumping Syndrome) 11 C. 통계분석 방법 13 III. 연구결과 14 A. 일반적 특성 14 B. 퇴원 후 8주간 신체계측치의 변화 16 C. 퇴원 후 8주간 생화학적 검사수치의 변화 22 D. PG-SGA를 통한 퇴원 후 8주간 영양상태 평가 26 E. Scoring system을 통한 퇴원 후 8주간 덤핑증후군 평가 30 F. 주관적 섭취량 변화 및 시기별 섭취방해요인 42 IV. 고찰 46 V. 요약 및 결론 51 참고문헌 53 APPENDIX 62 ABSTRACT 6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7185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위절제술을 받은 위암환자들의 영양상태 변화와 덤핑증후군 발생에 대한 전향적 관찰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evaluating perioperative nutritional status change and incidence of the dumping syndrome in patients after gastrectomy for gastric cancer-
dc.creator.othernameNa, Ju Ri-
dc.format.pagevi, 6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임상보건과학대학원 임상영양학전공-
dc.date.awarded2013. 8-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영양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