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홍남-
dc.contributor.author서윤경-
dc.creator서윤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02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02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16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85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169-
dc.description.abstractThe intention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Tan un Yi Chong s(灘隱 李霆1554-1626) life and work which valued as archetype of the Bamboo Paintings of Choson dynasty. Until now, Yi Chong is studied generally in the four gentlemanly plants(四君子) not as one by one individually. Many of Yi Chong s work which is existing now explains the potential capability of painting, but his works remain scattered in pieces without autobiography or collection of essays; thus, his work and back ground is not understood concretely. Also, present understanding of his Bamboo Paintings are described and explained by his masterpiec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look as a whole to point out distinctive quality of his various subjects. This paper will reconstruct Yi Chong s life and activities to classify and analyze in style. Yi Chong s life needs to reinvestigate. In this paper, according to his nephew Lee Duck On s(李德溫, 1562-1635) “Ku Chon Chip”(『龜村集』), Yi Chong s birth date is conformed in 1554, and according to Lee An Nul s(李安訥, 1571-1637) Dong Ack Chip(『東岳集』), his death is confirmed in 1626. He is a scholar gentleman who is a descendent of the royal family with talents in poem, writing, and painting. He build a pavilion called ‘Wol Sun Jung’(月先亭) in Kong Ju(公州) for usage of creating art works and related matters. Yi Chong s achievements and relationships with friends helps to understand Choson literary men. Also, group of literary men intellectually discourse with themselves to customize and understand art of literature. Especially, Yi Chong s poems and paintings enforces and construct the group s unique literary customs and culture. Yi Chong leaves literal taste in Bamboo Paintings, Orchid Paintings, Plum Blossom Paintings, and Portraits of Ch an Masters. He also paints Landscape Paintings that shows his interest in verity of subjects. Especially, Bamboo Paintings take heavy place in his works and the success of them are evaluated greatly. Yi Chong s Bamboo Paintings are distinguished in two type. First is Wha Chup(畵帖) style which emphasizes bamboo s specialty and the next is Hanging Scroll(簇子) which shows bamboo as a whole. Each of them expresses bamboo s life and specialty. He understood all sorts of bamboo s natural behaviors such as new leaves growing Shin Bamboo(新竹), weak but straight Nun Bamboo(嫩竹) and Song Bamboo(成竹), guant thin branch Go Bamboo(枯竹), and getting stronger and stronger with time Tong Bamboo(筒竹). Besides, in fine day Chung Bamboo(晴竹), blow with the wind Poong Bamboo(風竹), in raining day U Bamboo(雨竹), surrounded by mist Yeon Bamboo(煙竹), and with the snow Seol Bamboo(雪竹) presents Yi Chong s sense of Bamboo breathing in the natural habitats with changes of climate. Yi Chong s Bamboo Paintings are mostly based on Wen Tong from Song Dynasty. His drawing style evoke the styles of Yuan Dynasty and Ming Dynasty. However, he shows great deal of using these antique styles to regenerate and create his own. He understands great deal of natural behaviors of Bamboo and able to image it s natural habitat to figure it on the drawing. Strong and agile touch with minute composition shows Yi Chong s unique Bamboo Painting style and his reiteration of the style finally build up his ideal Bamboo Paintings Style. Like wise, Yi Chong s Bamboo Paintings generates ideal world that goes beyond Bamboo s reality, intellectuality, and harmony to teach and offer endless source to the later Bamboo Paintings Style. ; 본 연구는 灘隱 李霆(1554-1626)의 生涯와 遺作을 통해 조선회화사에서 墨竹의 정형을 이루었다고 평가되는 그의 繪畵를 고찰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지금까지 이정의 연구는 四君子 분야에서 개괄적으로 서술되었으며 그에 관한 단독적이며 종합적인 연구는 진행되지 않았다. 이정의 많은 현존작은 그의 회화적 역량을 충분히 설명해주고 있으나 이러한 작품이 형성될 수 있었던 그의 회화적 배경은 아직 구체적으로 파악되지 않은 실정인데, 이는 그의 行狀이나 文集이 없이 단편적인 기록들만이 동시대 여러문집에 산재하기 때문이다. 또한 그의 墨竹에 대한 기존의 인식은 대표작을 중심으로 서술되고 있기에 다양한 제재의 墨竹을 구사한 그의 화풍을 총체적으로 살펴보고 그 특성을 유추하는 작업이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본 고에서는 이러한 이정의 生涯와 行蹟을 재구성하고, 그의 墨竹을 양식적으로 분류·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정의 생애는 生卒年의 문제부터 검토해야 한다. 본 고에서는 그의 生年을 李德溫(1562-1635)의 『龜村集』을 통해 甲寅年(1554)으로, 卒年을 李安訥(1571-1637)의 『東岳集』을 통해 丙寅年(1626) 12월 20일로 밝혀보았다. 宗室 가문에서 태어난 그는 유교사상 하에 宗親의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전란으로 국가가 위기에 처하자 이에 적극 동참하게 된다. 그러던 과정 중 왜적의 칼에 오른팔을 상하게 되었으며, 이 사건은 그가 임하는 작품활동에 있어서 중요한 전제요건이 된다. 이후 신체적 역경을 극복하고 도리어 강한 창작의 욕구로 재기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公州에 別墅庭園을 만들어 그곳에서 인생을 관조하며 본격적인 작품활동을 실행하게 되었으니, 별서정원에 속해있던 정자 月先亭은 그의 藝術創作의 産室이 되고 있다. 이러한 월선정의 건립은 조선중기 성리학의 심화에 따라 주자의 행동을 유형화하게 되는 조선중기 문인사대부들의 행동양상과 맥을 같이 하는 것으로, 그는 이곳에서 당대 문인들과 詩를 짓고 書畵를 창작·감식하였다. 名山을 遊覽하고, 詩會를 통해 詩·書·畵 겸비풍조를 확산시키며, 文人畵의 기틀을 형성하게 되는 조선중기 문예풍조는 이정의 행적과 교유관계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이정의 회화는 문인적 취향이 두드러지는 墨竹畵을 비롯하여 墨梅畵와 墨蘭畵 그리고 道釋 人物畵를 남기고 있으며, 水墨 山水畵를 그린 기록이 있어 그의 다양한 화목에 대한 관심을 전해준다. 특히 그의 묵죽화는 현존하는 작품의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성과면에서도 의미가 크게 평가되고 있다. 고려후기부터 문인들의 관심속에 제작되었던 墨竹畵는 이정에 이르러 대나무의 사실성과 정신성이 합일된 화풍의 정착을 이루게 되며, 이는 당시 문인들에게 군자됨을 각성시키는 동시에 대나무의 맑은 휴식의 공간으로 인도해주는 역할을 하였다. 화면을 구성함에 있어서는 대나무의 특성을 확대한 畵帖형식과 다양한 대나무의 전체 모습을 화면상에 구축한 후 대숲의 효과를 이루게 한 簇子형식으로 대별되며, 여기에는 각 대나무의 생태와 특성이 생동하고 있다. 그는 죽순에서 해탁하고 새순을 돋우는 新竹, 여리지만 곧게 자라는 嫩竹과 成竹, 새로운 잎을 돋우기 위해 잔가지의 잎을 떨구어 앙상한 가지만을 드러낸 枯竹, 해를 거듭할수록 단단하게 여물어지는 筒竹에 이르기까지 생태적 요소들을 파악하고 있었다. 또한 화면에는 맑은 날의 晴竹, 바람에 날리는 風竹, 비올 때의 雨竹, 안개에 싸인 煙竹, 눈 쌓인 雪竹 등 기후적인 요소가 두드러진다. 이러한 이정의 묵죽은 고려후기 전래되었던 宋代 文同과 蘇軾의 묵죽을 이상으로 삼고 있으며, 元代의 화풍하에 전개된 조선초기의 묵죽에서 夏昶이나 朱端가 구사한 明代의 묵죽을 수용한 후 독자적으로 재해석한 특징을 보이고 있다. 그의 묵죽화는 대나무의 생태와 특징을 체득하여 그 요체만을 화면상에 형상화시키고 있었다. 이정의 붓 아래 다양한 제재의 각 대나무는 그 특성을 보다 극대화시키는 방법을 통해 이상적인 구도와 형태를 이루게 된 것이다. 주위의 환경적 요소 역시 간략화시켜 주제만을 뚜렷하게 드러내도록 한다. 이러한 대나무의 생태와 특징을 파악하여 이상형을 정제시킨 화면은 이정의 힘있는 필치와 치밀한 계산 속에 진행된 구도로 한 형식을 이룬 후 반복하는 과정을 통해 묵죽양식을 완성한다. 대나무의 사실성과 정신성의 조화미가 완벽하게 표출된 이정의 묵죽화는 엄정하고 초탈한 이상세계를 창출한 동시에 후기 묵죽양식의 끊임없는 원천을 제공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이정의 연구는 生涯와 行蹟을 재구성함으로써 조선중기 문예계의 단면을 파악할 수 있고, 그의 墨竹을 비롯한 繪畵世界를 검토함으로써 조선회화사에서 차지하는 그의 위치를 자리매김할 수 있으리라 본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論文槪要 = ix Ⅰ. 머리말 = 1 Ⅱ. 李霆의 生涯 = 4 A. 家系 및 行跡 = 4 B. 交遊關係 = 20 Ⅲ. 李霆의 墨竹畵 = 33 A. 先行樣式 = 34 1. 中國의 墨竹畵 = 34 2. 高麗·朝鮮前期의 墨竹畵 = 38 B. 畵幅形態 = 46 1. 畵帖形式 = 46 2. 簇子形式 = 52 C. 樣式分析 = 57 1. 新竹 = 58 2. 風竹 = 60 3. 雨竹 = 62 4. 雪竹 = 64 5. 枯竹 = 67 6. 筒竹 = 68 D. 李霆 墨竹畵의 理解 = 69 Ⅳ. 墨竹 以外의 作品 = 76 A. 梅花 = 76 B. 蘭草 = 78 C. 道釋人物畵 = 80 D. 山水畵 = 81 E. 書藝 = 82 Ⅴ. 맺음말 = 85 參考文獻 = 88 <附錄-1> 李霆 年譜 = 93 <附錄-2> 李霆의 墨竹 紀年作品 目錄 = 95 圖 版 = 96 ABSTRACT = 11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57261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灘隱 李霆(1554-1626)의 繪畵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墨竹畵를 中心으로-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199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