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1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고광석-
dc.contributor.author곽정은-
dc.creator곽정은-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01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01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8046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85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0467-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of 514 adults (male: 150, female: 364) residing in the Seoul/Gyeonggi Province area was conducted to serve two purposes: examining the way typical Korean adults use food nutri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mass media (specifically, from which channel and how often they obtain such information), along with how much interest and confidence they have in it; and determining their level of satisfaction and needs when it comes to food nutrition information in the medi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urvey shows that typical Korean adults generally have a relatively high level of interest in food nutrition information. They obtain knowledge on food nutrition mainly through mass media, including broadcasting and on the Internet, and they are exposed to such information in the media an average of two to three times a month. In addition, the study found that ordinary adults tend to put a high level of trust in nutritional information provided by the media and they put the knowledge thus gained into practice to a certain extent. Second, it can be inferred, based on the survey, that typical Korean adults have an ongoing interest in dietary management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onditions like obesity and that they are serious about issues of food hygiene. Third, concerning broadcast media, the respondents prefer educational programs and documentaries, since they contain professional information but feature freer formats. Among printed media, they favor serials written by experts or specialized reporters and articles that contain information on daily living, which demonstrates their inclination toward professionalism and utility. Meanwhile, when it comes to food nutrition information on the Internet, they place the most trust in information provided by food and nutrition-related institutions, and they would prefer more informational webtoons, which showcase entertainment and multimedia qualities. In terms of mobile applications, respondents prefer to monitor their diets, follow the latest dietary advice, and acquire personally tailored information. Concerning food nutrition information via SNS, they tend to seek information offered by experts. Fourth, when it comes to providers of food nutrition information, by a slight margin respondents prefer nutritionists, dietitians and doctors- or dietitians-turned reporters, followedbydoctors,generalreporters,andothers. Since the media is a main source of food nutrition information for the general public, the effectiveness of the information provided should be enhanced by taking the needs of the public into account, the quality of information should be improved by involving more nutrition experts, and the accuracy and efficiency of information should be heightened by establishing a monitoring system.;본 연구는 대중매체의 식품영양정보에 대한 관심과 식생활에서의 영향이 증가하고 있는 연구적 배경을 토대로 대중매체 식품영양정보의 제공방향을 제시해보고자 일부 성인의 주요 정보원과 이에 대한 정보 습득 빈도, 관심도, 신뢰도 등의 이용현황을 알아보고, 식품영양정보의 만족도 및 요구도를 파악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연구자가 선정한 서울 및 경기지역의 일부 성인 514명을 대상으로 2012년 11월 1일부터 12월 11일까지 설문을 통해 조사하였다. 대중매체의 식품영양정보에 대한 관심도는 조사 대상자 중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관심도가 높은 수 있는 것으로 보였으며, 청장년층(30대~50대)과 전문대 이상의 교육 수준을 가질수록, 전문가․관리자와 행정․사무직 집단에서, 식습관 점수가 가장 높은 점수대를 가진 집단과 두 번째로 높은 점수대를 가진 집단에서 식품영양정보에 대해 ‘비교적 관심이 있다’고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식품영양정보를 얻는 주요 정보원으로는 인터넷과 방송 및 라디오가 매우 근소한 차이로 1, 2위를 나타냈으며, 3위는 지인, 4위가 신문 및 잡지로 분석되었다. 대중매체 중에서 식품영양정보를 얻는 경로로는 TV매체를 가장 많이 선택하였고, 다음으로 인터넷, 신문, 잡지, 라디오, SNS 및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순으로 나타났다. 대중매체의 식품영양정보를 이용하는 빈도는 한 달에 2~3회 이용하는 대상자가 가장 많았고, 습득하는 정보에 대해 ‘대체로 신뢰한다’고 응답한 대상자가 가장 많으며, 식생활에 활용하는 정도는 전체적으로 '관심 있는 것만 실행한다‘는 응답이 가장 높았다. 대중매체의 식품영양정보의 주제에 대한 선호도는 체중조절, 질병의 예방과 관리를 위한 식사지침, 식품의 안전 및 유해성, 균형 잡힌 알맞은 식습관, 음식과 요리법, 식품의 성분 및 효능, 맛 집 정보, 생애주기에 따른 영양정보 순서로 조사됐고, 각 매체별 형식에서 방송프로그램은 교양프로그램 형식이 가장 많이 요구되었으며, 그 다음은 다큐멘터리 형식, 전문가의 강연식, 오락 프로그램식, 사회자와 전문가의 대화식, 뉴스형식, 공익광고 형식, 기타 순서로 선택되었다. 인터넷 정보는 각종 식품 및 영양관련 기관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정보 형식이 가장 많이 요구되었고, 그 뒤로 식품 및 영양에 관한 내용의 정보성 웹툰 형식, 보건의료전문인의 개인 홈페이지 및 블로그 등에서의 정보형식, 보건의료전문인과의 온라인 상담서비스 형식, 식품 및 기능성 식품회사 등에서 제공하는 홍보성 정보형식, 기타 순으로 요구도가 나타났다.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식품영양정보의 형식은 섭취식단을 기록, 섭취식품의 정보를 모니터하는 형식을 가장 많이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SNS 식품영양정보의 형식에 대한 요구도는 의사나 영양사 등의 보건의료인 개인이 제공하는 정보를 공유하는 형식을 가장 많이 요구하였다. 식품영양정보를 제공하는 전달자는 영양학자 또는 영양사가 가장 많이 요구되었으며, 전문기자도 매우 근소한 차이로 많이 선택되었고, 그 뒤로 의사, 일반기자, 기타로 분포하였다. 결론적으로 대중매체를 통해서 효과적으로 식품영양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대중의 식품영양정보에 대한 이용행태와 요구도를 파악함으로써 그들이 원하는 내용과 형식으로 정보를 제공하여 건강한 식생활 형성을 극대화 해야 할 것이며, 정보의 전문성에 대한 대중의 요구를 고려하여 식품영양전문가의 활발한 참여로 정보의 질적 품질 또한 확보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3 Ⅱ. 연구배경 4 1. 식품영양지식의 영향 4 2. 대중매체를 통한 식품영양정보의 습득 5 3. 대중매체의 식품영양정보의 문제점 7 Ⅲ. 연구방법 및 내용 9 1. 조사대상 및 기간 9 2. 조사도구 및 내용 9 3. 자료분석방법 12 Ⅳ. 연구 결과 및 고찰 14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분포 14 2. 대중매체 식품영양정보의 이용행태 16 3. 대중매체의 식품영양정보에 대한 요구도 30 Ⅴ. 결론 및 제언 44 참고문헌 50 부 록 56 Abtract 6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4417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대중매체 식품영양정보에 대한 성인의 이용행태 및 요구도 조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urvey on Adults' Utilization and Needs of Mass Media Food Nutrition Information-
dc.creator.othernameKwak, Jeong Eun-
dc.format.pagevi, 6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임상보건과학대학원 임상영양학전공-
dc.date.awarded2013. 8-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영양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