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13 Download: 0

Jeanne Demessieux(1921-1968)의 [Te Deum] Op.11에 관한 연구

Title
Jeanne Demessieux(1921-1968)의 [Te Deum] Op.11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Study of the [Te Deum] Op.11 of Jeanne Demessieux
Authors
윤호정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희성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understand Jeanne Demessieux(1921-1969)’s organ music through her 「Te Deum」 Op. 11. Demessieux showed her natural talent in music from her early life. It was not until her talent was improved and she took active parts as an organist and composer that she happened to meet her teacher, Marcel Dupre (1886-1971). Especially, she is known as a perfect technique to perform on the organ. Her work 「Te Deum」 Op. 11 was composed on the subject of “Te Deum laudamus (Lord God, we praise you),” which was often used one of the Canticle. Such a composition technique (mainly used from the latter of 19C to first of 20C), the unique tone and harmony enabled her work to be more colorful and impressive. Besides, it was a brilliant work requiring for the outstanding of organ techniques. This work is composed of 188 measures, which is divided into 3 parts of A-B-C structure like the 「Te Deum」, one of the Gregorian hymns. The first part A that introduces the subject, is the part of praising God the Father, and it played a Moderato tempo. And repeats the subject twice on the basis of the E Phrygian mode, its harmony is analyzed into E minor and G minor, a wide variety of the theme was presented in many parts. The second part B which reminds the listener of quiet a chorale, is the part of praising God the Son, and it is taken an Andante tempo with D^♭ major and E major, both of them are not mode. Also, it was colorful and impressive to run parallel a 4th, 5th degree. So, it is supposed to be influenced by C. A. Debussy (1862~1918). The last part C is in Allegro tempo, the rhythm changes from 3/4 to 2/8, 6/8, and finally to 4/4, leading to a brilliant closure. This part is outstanding in the harmonization of staccato and legato. The theme of legato sounds once in a while through the harmony played staccato, and more impressive because of a parallel progression, 3rd relation of root progression, 7th, 9th, 11th, and 13th chords, and etc on the whole. The final chord is not part of the mode, but sounds as the complete picardy triad. Through this work we can see that Demessieux has her own style through the technique of composition at that time, parallelism, 3rd relation, 7th chord, unsolved progress and so on. Her work 「Te Deum」 Op. 11 was in search of impression and program music. From a different point of view, she could be distinguished from Debussy. We think of her was a great musician, remembered as a composer and organist who had conspicuous technique and musicianship. ; 본 논문은 20세기 프랑스 작곡가인 드메시외 (Jeanne Demessieux 1921-1968)의 「테 데움 (Te Deum)」Op. 11을 통해 그의 오르간 음악을 이해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미 어렸을 때부터 천재성을 보였던 드메시외는 스승인 뒤프레 (Marcel Dupre, 1886-1971)를 만난 후 더욱 발전하여 오르가니스트로, 또한 작곡가로 뛰어난 활약을 했었다. 특히 드메시외는 오르간 연주에 있어서 완벽한 테크닉의 소유자로 알려져 있는데, 그의 작품 「테 데움」Op. 11 은 칸티클 (canticle) 가운데 많이 사용되는 선율 중 하나인 “테 데움 라우다무스, Te Deum laudamus (우리는 당신을 찬양합니다, 오 주여)”를 주제로 하여 작곡된 것으로,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반에 보여졌던 작곡기법인 그레고리안 선율에 기초로 한 기법과, 독특한 음색과 화성을 사용한 색채적이고 인상주의적인 경향을 기초로 하여 작곡되었고 뛰어난 테크닉을 필요로 하는 화려한 곡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 작품은 전체가 188마디의 비교적 짧은 곡으로, 그레고리안 성가 중 하나인「테 데움」가사의 전체 짜임새와 같이 크게 A-B-C의 3부분 구조로 나눌 수 있다. 주제가 제시되는 첫 부분인 A는 성부 하나님을 찬양하는 부분이며 모데라토 (Moderato) 의 빠르기로 연주 되는데, 이 부분은 주된 조성인 프리지안 선법 (Phrygian mode)을 기초로 하여 주제가 2번 제시되고 화성은 e minor, g minor 로 분석 가능하며 주제요소가 변형되어 여러 부분에서 나타난다. 매우 조용한 코랄 스타일인 두 번째 부분 B는 성자 예수님을 찬양하는 부분이며 여기서는 안단테 (Andante) 의 빠르기로 시작되는데 선법이 아닌 D^♭Major 와 E Major 로 작곡되었고 4도, 5도의 병행진행이 색채적이고 인상주의적인 느낌을 더하며, 드뷔시 (C. A. De-bussy, 1862-1918) 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측할 수 있는 부분이다. 마지막 부분인 C는 알레그로 (Allegro) 의 빠르기로, 3/4박에서 2/8박으로, 6/8박으로, 다시 3/4박으로의 박자 변화가 2번 나타난 후, 4/4박의 화성적이고 화려한 주제로 이어진다. 이 부분은 스타카토와 레가토의 조화가 뛰어난 부분으로, 스타카토로 연주되는 화성 사이로 레가토의 주제가 사이사이에서 들리고, 전체적으로 병행진행과 기본화성진행 (root progression) 의 3도 관계 (3rd relation), 7화음, 9화음, 11화음, 13화음 등의 사용을 통한 색채적인 면이 잘 표현되었으며, 이 곡의 마지막 화성은 프리지안 선법의 3음을 올려 피카르디 3도 (picardy third) 로 끝을 맺는다. 이 작품을 통해서 알 수 있듯이 드메시외는「테 데움」 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당대의 작곡기법인 병행 (parallelism), 3도 관계 (3rd relation), 7화음 등의 잦은 사용과 해결 없는 진행을 통한 색채적이고 인상주의적이며 표제 음악적인 스타일을 그녀 나름대로 잘 발전시켜 드뷔시와는 구분되는 인상주의적 작품인「테 데움」Op. 11을 통하여 자신의 테크닉과 음악성을 유감없이 발휘한 작곡가이자 오르가니스트로 오래 기억되는 훌륭한 음악가라 할 수 있겠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