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곽혜선-
dc.contributor.author오지운-
dc.creator오지운-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59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59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8084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82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0847-
dc.description.abstract전문의약품 대중광고는 현재 약사법에 의해 엄격히 금지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약회사의 입장에서는 갈수록 확대되고 있는 전문의약품 시장규모를 겨냥한 무한경쟁 때문에 끊임없이 전문의약품 대중광고 시행의 유혹을 받게 된다. 그런만큼 다양하면서도 우회적인 방법을 동원하여 결과적으로 광고 효과를 얻으려는 시도를 하다가 전문의약품 대중광고 금지 법규를 위반하여 적발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전문의약품 대중광고 허용에 대한 논의는 약물의 오남용 유발, 의사의 처방권한 침해 가능성, 정보의 오도와 같은 부정적인 측면의 여파를 근거로 국내에서 다양한 기관 및 단체들의 반발에 부딪혀왔다. 그러나 여전히 일반인들에게 의약품의 정보를 전달하고 질환에 대한 인식 수준을 높이며 제약 회사의 의사 대상 리베이트의 경감 등의 긍정적인 측면 또한 배제할 수 없다. 이와 같이 전문의약품 대중광고 허용 또는 규제완화에 대한 정책 방향은 국민의 건강과 알권리 및 표현의 자유 측면에서 첨예한 대립을 빚어내는 민감한 현안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의약전문인과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전문의약품 대중광고 허용의 필요성과 기대효과에 대한 인식을 설문조사하여 이를 비교·분석해 보았다. 연구 결과, 일반인의 경우 전문의약품 대중 광고 허용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었으며, 정보제공의 필요성 및 효용성, 의료인과 환자간 소통 촉진, 의료인의 이미지에 미치는 전문의약품 대중광고의 영향에 대해서도 다소 우호적이었다. 반면 의약전문인의 경우 일반인군과 비교하였을 때 전문의약품 대중광고 허용의 필요성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인식을 보였는데 정보제공 측면과 환자와의 소통촉진, 의료인의 이미지에 미치는 전문의약품 대중광고의 영향에 대해서도 전반적으로 일반인과 비교하여 다소 회의적이었다. 그러나 두 군 모두 의약품 광고비 증가에 따른 약가의 증가에 대해서는 비교적 높은 우려를 가지고 있었다. 추후 전문의약품 대중광고 허용에 대한 보다 활발한 논의의 장이 열리게 되면 효용성과 필요성, 경제성 측면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득과 실을 면밀히 따져보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이 때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의약전문인이 우려하는 부분과 일반인이 기대하는 부분을 고려하여 잘 절충된 규제들을 명확히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이미 전문의약품 대중광고를 허용한 해외 사례를 함께 고려하는 것도 필요하겠다. 이와 같이 잘 정립된 전문의약품 대중광고 관련 규정을 바탕으로 정부 차원의 철저하고 객관적인 검증 절차를 거쳐 제공된다면 전문의약품 대중광고는 환자의 의약품 정보에 대한 보다 안전하고 개선된 정보원이 되리라 기대된다.;The direct-to-consumer advertisement (DTCA) of prescription drug is strictly prohibited under the Pharmaceutical Affairs Act. In spite of the current circumstances, to survive in unlimited competition under ever-growing prescription drug market, many pharmaceutical companies are continuously tempted to find illegitimate ways of DTCA of prescription drug. For the fact, the cases of violating the regulations related to the DTCA of prescription drug have conspicuously increased compared to the past. Discussion on permitting the DTCA of prescription drug has encountered the resistance from diverse organizations on the basis of expected adverse effects, such as, triggering abuse or misuse of drug, possible infringement on prescription right of physicians, distribution of erroneous information and so forth in Korea. However, it is true that there are certain positive aspects in conveying information of pharmaceutical products; increase the level of perception on disease, diminishing rebate of pharmaceutical companies to physicians and so on. As such, the idea of mitigating the regulation for the DTCA of prescription drug has provoked the conflict among who stands for national health, right to know and freedom of expression. Therefore,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what are the general thoughts of pharmaceutical professionals and general public about needs and expected effects of permitting the DTCA of prescription drug.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general public has an overall positive attitude on permitting DTCA of prescription drug and carried favorable views about the influence of the DTCA of prescription drug on needs and efficacy for delivering medical information, promoting the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ofession and patient, as well as figure of medical professionals. On the other hand, the medical professionals displayed negative perception in general for the needs of permitting the DTCA of prescription drug when comparing to the views of the general public. They also showed somewhat skeptical perception about the influence of the DTCA of prescription drug on needs and efficacy for delivering medical information, promoting the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ofession and patient, as well as figure of medical. However, these two groups have relatively high concern on the increase in drug price following the increase of advertisement expenses for the pharmaceutical products. Later on, there should be a scrutinized review on permitting the DTCA of prescription drug to assess gains and losses that may occur in the aspects of usefulness, needs and economic feasibility. For that, it would require clear establishment of well-compromised rules with consideration of the part concerned by the medical professionals and the part expected by the general public on the basis of this study result. During the process, it would require the consideration of overseas cases where the DTCA of prescription drug has been practiced. If the DTCA of prescription drug is provided through thorough and objective verification procedure on the basis of the well-established the DTCA of prescription drug related provisions, it is expected to provide safer and more improved information source on pharmaceutical product information for patien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Ⅱ. 연구목적 3 Ⅲ. 선행연구 4 A. 국내 의약품광고 관련 법규 및 규정 현황 4 B. 전문의약품 대중광고 규제 위반 현황 5 C. 전문의약품 광고 허용의 해외 현황 6 Ⅳ. 연구방법 9 A. 연구개요 9 B. 연구문제 9 1. 연구문제 1 9 2. 연구문제 2 9 3. 연구문제 3 9 4. 연구문제 4 10 5. 연구문제 5 10 6. 연구문제 6 10 C.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 방법 10 D. 설문지의 구성 10 E. 자료 분석 방법 12 V. 연구결과 13 A. 조사대상의 기본특성 13 B. 연구문제 1의 결과 16 C. 연구문제 2의 결과 16 D. 연구문제 3의 결과 17 E. 연구문제 4의 결과 18 F. 연구문제 5의 결과 19 G. 연구문제 6의 결과 20 VI. 고찰 및 결론 21 참고문헌 23 부록 25 Abstract 3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4418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전문의약품 대중광고에 대한 의약전문인과 일반인간의 인식 비교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Comparative Study for the Attitudes toward direct-to-consumer advertising of prescription medication between healthcare professionals and non-practitioners-
dc.format.pagex, 3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임상보건과학대학원 임상약학전공-
dc.date.awarded2013. 8-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약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