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안현의-
dc.contributor.author김영혜-
dc.creator김영혜-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58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58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8019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81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0196-
dc.description.abstract현대 한국의 가족문화에는 전통적인 부모-자녀 간 일체감이 개인주의 가치관과 결합되면서 부모-자녀 간 강한 애착과 응집력, 부모-자녀 간 상호의존성, 자녀를 위한 부모의 헌신·희생, 학업의 강조 등의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진로발달이란 개인이 속한 사회문화적 특성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한국의 부모-자녀 간 유대의 특성이 대학생의 진로발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은 의미있는 일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진로발달에서 맥락적 변인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사회인지 진로이론을 이론적 틀로 하여 한국 대학생의 진로발달과정을 살펴보았다. 한국 가족문화의 특성을 반영하는 부모-자녀 간 유대,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부모의 성취압력이 대학생 자녀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결정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4년제 대학에 다니는 남,여 대학생 858명이었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한국형 부모-자녀관계 척도,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척도(부모의 학력, 부모의 직업), 부모의 학업 성취압력 척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척도, 진로결정수준 척도를 실시하였다. 연구변인들 간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성취압력은 부모의 학력과 정적인 상관을 보인 반면, 부모-자녀 간 유대의 총점 및 모든 하위영역과는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또 성취압력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목표선택과 진로결정수준과도 유의한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반면 부모-자녀 간 유대 총점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총점 및 모든 하위변인과 유의한 정적상관이 나타났고, 진로결정수준과도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에 있었다. 특히 부모-자녀 간 유대의 하위영역 중 친밀과 허용(엄격 역채점)은 진로결정수준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4가지 하위변인과 진로결정수준은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는데 특히 목표선택 영역은 진로결정수준과 가장 높은 상관을 보이는 영역이었다. 진로발달 변인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에서 성별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한 결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미래계획 변인에서만 남학생의 점수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다른 하위변인과 진로결정수준에서는 유의한 성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 다변량분석을 통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의 학년 간 차이를 살펴본 결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하위변인인 직업정보 영역에서 1학년보다 3학년, 4학년의 직업정보 점수가 유의하게 높은 것을 확인하였고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나머지 변인과 진로결정수준에서의 학년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부모-자녀 간 유대가 매개변인(성취압력,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부모의 성취압력에는 부모의 학력과 부모-자녀 간 유대의 헌신, 허용(엄격 역채점)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대해서는 부모-자녀 간 유대의 친밀변인 만이 유의한 설명력을 보였다. 진로결정수준에 대해서는 부모의 성취압력, 진로결정 효능감의 목표선택, 문제해결, 미래계획이 진로결정수준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변인이었다. 각 변인들이 어떤 구조적 관계에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 연구모형이 자료를 설명하는데 양호한 적합도를 보였고 이들 변인간의 관계에서 부모의 성취압력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효과 분석결과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부모의 성취압력→진로결정수준’, ‘부모-자녀 유대 →부모의 성취압력→진로결정수준’, ‘부모-자녀 유대→진로결정 자기효능감→진로결정수준’ 경로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하지만 성취압력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으로의 경로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나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부모-자녀 유대와 진로결정수준 간의 관계를 부모의 성취압력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이중매개 하는 것은 검증되지 않았다. 또한 학년별, 성별 간에 구조모형에 차이가 있는지 다집단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에서 진로결정수준에 이르는 경로가 학년별로 차이를 보였으나, 성별 간에는 구조모형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의 가족문화가 반영된 부모-자녀 간 유대,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대학생 자녀의 진로결정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고, 부모의 성취압력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이들의 관계를 매개한다는 사실이 입증되었다. 따라서 대학생의 진로결정을 돕기 위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킬 뿐 아니라, 부모로부터의 성취압력이 과도할 경우 부모와의 갈등관리나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증진시키는 등의 개입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주제어 : 한국 가족문화, 부모-자녀 유대, 성취압력,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ent-child bonding in Korean specific culture on college students' career development. Specifically, the study focused on the parent variables representing Korean family culture, the parent-child bonding, the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and the parents'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and how they have an impact on the college-aged children's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their career decision. 858 4-year college students completed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instrument, the social economic status of parent(education level and occupation of the parents), the parents`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the career decision scale.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variables showed that career achievement pressur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parent-child bonding as well as every sub factors except for the parents' education level. Furthermore, the correlations between career achievement pressure and goal setting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were negative. On the other hand,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parent-child bonding and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ncluding all the sub factors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were significantly positive. In particular, the intimacy and the low strictness of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career decision. All of the four factors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career decision, and the goal setting showed the strongest relationship among the four variables. To test the gender differences of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the career decision, t tests were conduct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only the male students' planning of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female students. In addition, the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the third and the fourth year stud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on the occupational information of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when compared to the first year students, and the other factors of the career decisio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ade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and the parent-child bonding on the mediation variables(parents`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and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s well as the career decision. The parents' education, the sacrifice and low strictness significantly explained the parents'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only the intimacy of the parent-child bonding variable explained the significant portion of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For the career decision, the parents`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goal setting, problem solving, planning of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explained the siginificant portion of the variable. Finall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ere conducted in order to explore the 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odel had the appropriate fix indexes to explain the data, and the mediation effect of the parents`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and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was found. The mediation analysis addressed following significant paths: ‘parents' socioeconomic status→parents`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career decision’, ‘parent-child bonding→parents`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career decision’, ‘parent-child bonding→career decision self-efficacy→career decision’. The parents`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did not mediate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hus a double mediation effect of the parents`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and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was not found with the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parent-child bonding, and the career decision. To conclude,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Korean specific family culture based parents' characteristics, such as the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the parent-child bonding can have a prominent influence on the college aged children's career decision. Furthermore, the parents`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and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have a mediation effect on the parent-child variables, suggesting the need for improving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f the college students in order to help career decision.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college students who are under high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from parents should be provided with interventions including parent-child conflict handling or stress coping enhancement. Key words : Korean family culture, parent-child bonding,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career decis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10 Ⅱ. 이론적 배경 12 A. 진로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변인 12 1. 부모-자녀 관계 12 2.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15 3. 부모의 성취압력 17 B. 대학생의 진로발달 관련 변인 22 1.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22 2. 진로결정수준 25 C. 사회인지 진로이론(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SCCT) 29 1. 사회인지 진로이론 개관 및 주요구인 29 2. 진로발달과 가족·부모변인의 영향에 대한 선행연구 31 Ⅲ. 연구 방법 33 A. 연구 대상 33 B. 측정 도구 34 1. 한국형 부모-자녀관계 척도 34 2.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척도 35 3. 부모의 학업 성취압력 척도 36 4.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척도 38 5. 진로결정 수준 척도 39 C. 연구 절차 40 D. 자료분석 40 1. 측정모형 검증 41 2. 구조모형 검증 41 3. 매개(간접)효과 검증 42 4. 다집단 분석 42 Ⅳ. 연구결과 43 A. 주요변인의 기초통계와 상관분석 결과 43 B. 진로변인의 집단 간 차이 분석 결과 45 C.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부모-자녀 간 유대가 성취압력,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분석 47 1. 부모 변인이 성취압력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47 2. 부모 변인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49 D.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 51 1. 측정모형 검증 51 2. 구조모형 검증 52 3. 매개효과 검증 57 4. 다집단 분석 59 Ⅴ. 논의 62 A. 결론 및 논의 62 B. 진로지도 및 진로상담에의 함의 71 C.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74 참고문헌 78 부록1. 한국형 부모-자녀관계 척도 95 부록2. 부모의 성취압력 척도 97 부록3.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척도 98 부록4. 진로결정수준 척도 100 부록5.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102 ABSTRACT 10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2454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대학생의 부모-자녀 유대와 진로결정 관계에서 성취압력 및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The Mediating Effect of Achievement Pressur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Bonding and Career Decision of College Students-
dc.creator.othernameKim, Young Hye-
dc.format.pagevii, 106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1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