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6 Download: 0

귀납 유추에서 인과 관계의 수와 유형이 결과의 추정에 미치는 영향

Title
귀납 유추에서 인과 관계의 수와 유형이 결과의 추정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Causal Relations in Analogy to Results Inference
Authors
김수현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영애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 of causal relations in analogy to results inferences. There were many studies about analogy, which considered the number of shared features between source and target in analogy including causal relations. However, when people think about causal relations, the properties of causes in cause relations are as important as the number of shared features between source and target. There are two kinds of cause in causal relations - generative cause and preventive cause-, their effects are very different. So this study verifies that people make a different inference depending on the properties of cause in causal relations through four experiments. In experiment 1, the author investigated the effect of generative cause and preventive cause on analogy, using an analogy about imaginary animals. In order to inquire the effect of the properties of causes, we tested inductive strength judgments and similarity ratings when source and target have both generative causes and preventive causes. Similarity ratings and inductive strength judgments were similar when source and target had generative causes only. The other hand, similarity ratings and inductive strength judgments were different when source and target had generative causes and preventive causes. Therefore, it is obvious that the number of shared features between source and target and the properties of causes are considered together when source and target had generative causes and preventive causes. In experiment 2, the author experimented whether the result in causal relation is presented clearly in source or not makes different analogy in various conditions about source and target. Using an analogy about imaginary animals in experiment 1, all conditions had a same number of shared features between source and target, but each condition had various generative causes and preventive causes. When target had more generative causes than source, inductive strength judgments had less of an effect on whether the result in causal relation is presented clearly in source or not. When target had more preventive causes than source, inductive strength judgments had more effect on whether the result in causal relation is presented clearly in source or not. Because even if source has a result of causal relations, it is not enough to convince that the results happen in target. In experiment 3, the author made materials using the analogy that explain the scientific concepts. When the number of shared features between source and target are same and the properties of cause in causal relations are different, we tested inductive strength judgments in target. Also we contrasted between two groups (one group knows those scientific concept, the other does not know those scientific concept). There were a distinct difference between the two. A group that knows those scientific concept made more inductive strength judgments in target than the other group that does not know those scientific concept. A group that knows those scientific concept did not use analogy, instead they used their former know ledges. In experiment 4, using the material that is same to experiment 3, we explored whether people assesses the different inductive strength judgments in target depending on listening to explanation first about causal relation or the mapping between source and target. When we explained about causal relation first, people did not change their inductive strength judgments. But when we explained about the mapping between source and target first, they changed their inductive strength judgments. Therefore, the explain about causal relation is important. In conclusion, analogical inference including causal relations is influenced by the number of shared features between source and target as well as the properties of cause in causal relations. Also, when people learn the science concepts, there are different effective learning methods between a group that know those science concepts and the other group that does not know those scientific concept.;본 연구는 과학 개념에서 인과 관계를 포함할 때 유추 과정의 성질을 네 번의 실험으로 검토하였다. 유추에 관한 많은 선행연구들은 인과 관계를 포함하는 유추에서 근거와 표적이 공유하는 인과 관계의 수를 고려하였다. 그러나 인과 관계의 내용도 인과 관계의 수만큼 중요하다. 표적의 인과 관계를 생성하는 원인과 그 관계를 방해하는 원인이 추론에 각기 다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는 유추의 근거와 표적에서 인과 관계의 두 원인이 어떻게 유추에 의한 결과의 발생 가능성의 추리에 영향을 주는지 밝히려고 한다. 실험 1은 가상의 동물의 행위에 대한 유추로 생성원인과 방해원인이 모두 존재할 때 표적에서 결과의 발생 확률을 추정하는 과제와 유사성 판단 과제의 수행을 비교하였다. 근거와 표적에 생성원인만 있을 때 유사성 판단 과제와 결과의 발생 확률 추정 과제 수행이 비슷하였다. 그러나 근거와 표적에 생성원인과 방해원인이 있을 때 두 과제의 수행이 달랐다. 이 결과로 보아 근거와 표적에 방해원인이 있으면 이 둘이 공유하는 인과 관계의 수와 유형이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실험 2는 실험 1이 요구한 가상의 동물에 대한 유추에서 근거와 표적이 공유하는 인과 관계의 수는 고정시키고 생성원인과 방해원인을 변화시키면서 결과를 분명히 제시하는 조건과 그렇지 않은 조건을 비교하였다. 표적에 방해원인이 있을 때 근거에 결과가 분명히 제시되면 참여자들은 결과의 발생을 높게 추정하였다. 따라서 근거와 표적의 유사성이 같아도 근거와 표적에서의 인과 관계의 유형에 따라 유추의 결과가 달라진다고 할 수 있다. 실험 3은 실제로 과학 개념을 설명할 때 많이 제시되는 재료들을 이용하였다. 근거와 표적이 공유하는 인과 관계의 수는 동일하나 인과 관계의 유형을 다르게 하여 표적에서 결과 발생을 추정하는 것이 달라지는지 검토하였다. 실험 3에서 제시된 과학 개념을 알고 있는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이 차이를 보였다. 즉, 과학 개념을 알고 있는 집단은 모든 조건에서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표적에서 결과의 발생 확률을 높게 추정하였다. 반응 패턴으로 미루어 보아 과제에 친숙한 집단은 재료로 제시된 정보를 사용하여 유추하지 않고 기존 지식을 사용한 것으로 생각된다. 실험 4는 실험 3에서 사용된 과학 개념을 이용하여 참여자들이 인과 관계의 유형에 대한 설명을 먼저 듣느냐, 유추 대응에 대한 설명을 먼저 듣느냐에 따라 결과를 추정할 때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참여자들은 인과 관계의 유형에 대한 설명이 먼저 제시되는 경우 그 후 대응 설명이 제시된 후 결과의 발생 확률 추정이 달라지지 않았다. 대응에 대한 설명이 먼저 제시되는 경우 그 후 인과 관계의 유형 설명이 제시되면 결과의 발생 확률 추정이 달라졌다. 따라서 인과 관계의 유형에 대한 설명을 듣는 것이 대응에 대한 설명을 듣는 것보다 중요하다. 본 연구는 네 가지 실험을 통해서 유추에 의한 과학 개념을 학습할 때 유추 요소들 간의 대응을 강조하는 계산 모델들보다 인과 관계의 유형을 강조하는 인과 모델들의 주장과 일치하는 결과를 얻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