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9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숙임-
dc.contributor.author이윤호-
dc.creator이윤호-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56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56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01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79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014-
dc.description.abstract이 논문은 1980년대 이래로 지역에 대한 관심의 증가와 전통적 지역지리와 대비되어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신지역지리와 그와 맞물려 관계를 맺고 있는 현대사회이론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국가의 지역정책이 지역구조와 지역주민의 사회공간에 선행적인 역할을 하여왔다는 점을 전제로 하고, 2차에 걸친 신도시 개발에 의해서 이원화된 도시구조를 지니게 된 성남시 주부들의 사회공간을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지역사회간 사회·경제적으로 차별성을 지닌 지역주민들의 사회-공간 활동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며 지역구조를 끊임없이 형성해가고 있는가를 총체적으로 究明해 보고자 하였다. 즉 공간은 항상 사회적으로 구축되며, 동시에 사회는 항상 공간적으로 구성된다고 보는 관점에 입각하여 사회적 삶의 공간성을 포착하며 특정한 시점의 특정한 사회적 관계 속에서 사회적 삶이 어떻게 구성되는지를 해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지역은 두 번의 신도시 개발로 공간적 차별성을 지닌 성남시이며, 방법론으로는 행위주체자, 특히 주부들에게 초점을 두는, "아래로부터의 접근"을 시도하여, 그 행위주체자의 구체적 삶-생활사, 지역정체성의 형성, 일상생활공간, 소비문화공간-을 통해서 지역의 차별적 생성을 파악하였다. 즉 행위주체자의 행위는 그 지역의 시대와 상황에 따라서 달라진다는 점에 착안하여 끊임없이 변화·생성하는 지역의 구조적 과정에 초점을 두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남시라는 차별적인 지역의 생성과 변화를 파악함에 있어 신지역지리이론과 현대사회이론과의 관계성을 바탕으로 도출된 새로운 지역인식논리와 공간과 사회와의 관계성 속에서, 사회적 삶의 공간성을 해명하는 것은 의미있는 適實性을 가진다. 둘째, 성남시는 20년이라는 시차를 두고 실시된 두 번의 신도시 개발정책으로 만들어진 인공도시로서, 각각 만들어진 배경과 과정이 다를 뿐만 아니라 그에 따라 변화 메커니즘인 인구·주거·산업·교통요소를 중심으로 차별화된 건조환경과 경관을 형성하였다. 셋째, 이렇게 차별화되어 서로 분리된 장소에 독립된 이미지를 갖고 있는 기존시가지와 신시가지에는 서로 다른 계층의 주민들이 이주하게 되었고, 가구의 소비주체자이며 지역사회의 행위주체자인 여성(주부)들의 생활사의 궤적에 있어서도 차별화를 나타내었다. 기존시가지 주부들은 주로 저학력의 주민들로써 상업·서비스업을 비롯하여 노동자계급에 해당하는 직업을 갖고 있는 저소득층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신시가지 주부들은 주로 고학력을 지닌, 전문직·사무직·자영업에 종사하는 고소득층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그리고 그들의 장소감, 거주만족도 및 지역참여도를 통해 지역정체성의 형성과 기존시가지와 신시가지 지역사회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기존시가지 주부들의 거주지에 대한 정체성은 부정적이거나 무관심·소극적이어서, 언젠가 기존시가지를 떠날 생각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신시가지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감정을 지니며, 지역분리에 반대하는 사람이 많았고 앞으로의 이주희망 지역으로 신시가지를 들고 있는 것으로 보아 신시가지에 '가까이 하려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었다. 한편 신시가지 주부들의 경우에는 평균 5년의 거주연수에도 불구하고, 분당이라는 신시가지에 대한 정체성은 매우 긍정적이며, 자긍심은 크고 적극적이었다. 따라서 이들은 신시가지에서 계속 정착할 것을 희망하고 있으나, 기존시가지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감정을 지니고 있어 '거리두기'의 생활양식이 나타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성남'이라는 지역 명칭을 꺼려하는 등 기존시가지와 분리하여 독립시가 될 것을 희망하는 '구별짓기'의 모습이 역력히 나타나고 있었다. 넷째, 기존시가지와 신시가지 전업주부들의 일상과 생활공간을 모식도(dynamic map)와 시간예산 그래프(time-budget graph)를 통해 비교·분석한 결과, 고학력·고소득의 신시가지 주부들은 오전시간에 사적인 영역(여가활동 및 구매 및 쇼핑활동)에 시간을 투자하였고, 오후에는 자녀교육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있었으며 열심을 갖고 있었다. 반면에 저학력·저소득의 기존시가지 주부들은 오전시간에는 부업활동에 참여하는 비율이 높아 사적인 시간에 투자하는 것이 어려웠으나, 오후에는 오히려 이웃과의 교제가 더욱 긴밀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맞물려 신시가지의 경우에는 더욱 주부들을 중심으로 이용할 수 있는 소비문화활동시설의 입점을 유도하였으며 빠른 속도로 증가하게 되었다. 따라서 주부들의 소비문화의 핵심이 되는 구매활동과 여가활동을 중심으로 그들의 사회-공간적 삶의 형태를 분석하였다. 구매활동의 경우, 기존 시가지 주부들은 대부분 자신의 거주지인 기존시가지에서 장소선택과 이동이 일어났으며 일상생활용품에서 선매품으로 갈수록 점차 신시가지로 가까이 가려는 경향이 나타나 과거 서울에서의 구매활동이 신시가지로 이전되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즉 기존시가지 주부들은 구매활동을 통하여 일상생활의 일부가 신시가지라는 새로운 장소의 생성으로 말미암아 그 활동이 옮겨져 왔음을 알 수 있었다. 즉 기존시가지는 서울보다는 신시가지에 접근함으로써 '가까이 하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신시가지의 생성을 통하여 자신의 거주지의 발전을 기대하고 있음을 엿볼 수 있었으며 신시가지와의 분리는 적극적으로 반대하고 있었다. 그러나 신시가지 주부들의 구매활동을 분석해 본 결과 초기의 입주 때와는 다르게 구매활동에 있어서는 대부분이 서울과 분리되어 신시가지 내에서 장소선택과 이동이 일어나고 있었으나 기존시가지와의 관계형성은 거의 일어나지 않고 있었으며, 따라서 기존시가지와의 분리를 주장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으로 이들은 기존시가지와 '거리두기', '구별짓기'의 형태가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주부들의 여가활동을 통한 공간과 사회와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기존시가지 주부들은 주로 가정 내에서의 수동형의 여가활동에 주로 참여하며, 자신의 주거지에서 생산현장(취업 및 부업)으로서의 공간(기존시가지)를 구체화하고 있는 반면, 신시가지의 주부들은 주로 가정 밖에서의 자기 개발적 여가활동 즉 상품화된 여가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소비현장으로서의 공간(신시가지)을 만들어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성남시는 지난 30년 동안 두 번의 신도시개발 정책으로 인하여 건조환경과 사회·경제적 계층의 차별성을 지닌 두 개의 장소로 이루어진 이원화된 도시구조를 생성하게 되었으며 이는 끊임없이 이에 어울리는 비슷한 계층의 사람들이 이주해옴으로써 기존시가지는 저소득층의 거주지역의 장소로, 신시가지는 대단위 아파트단지로 구성된 주거단지와 소비도시의 특성을 지닌 장소로 차별화되어 가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하나의 행정구역 내에 존재하는 두 개의 지역사회의 존재는 앞으로도 공간과 사회의 관계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의 정책결정에 있어서 많은 문제점을 야기할 것이며 국가와 지방정부는 공간정책결정에 있어서 진지한 고려가 있어야 할 것이다. ; This thesis has its foundation on the theory of the new regional geography and socio-spatial relationship. Above all, this thesis makes presumption that spatial policy of the State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tructures of a region and individual social spaces. This thesis studies in detail the social spaces of regional community in Seongnam city that have two regional structures, thereby discovering how the class distinction in a community ceaselessly affects the restructuring of a region. Also, based on the idea that a space is usually constructed socially, and, simultaneously, a society life and examines the structures of social life in a specific context of social relationship and time. The case research region is seongnam city, bearing spatial differentiation through two "new-town developments" carried out at different points in time. The method is based on "the "bottom up" approach" looking into concreate social life of agents(women) and their biographies(life paths), place identities, daily life space, and consumption cultural space at the scale of seongnam city. For such purpose, questionnaire and interview surveys were conducted on women who have children attending elementary, middle, and or high schools. This paper attempts to explain the unique and dynamic process of a region where the activities of agents ceaselessly change in accordance with local historical circumstances and the time. That is, the differential becoming of a place, and, in particular, the transformation of the city of Seongnam. This paper consists of four parts. The first part reviews the main idea of new regional geography and socio-spatial relationship. The second part analyzes the dynamics, and the temporal-spatial attributes of seongnam city. The third part deals with differential becoming of a region through housewives, and the last part looks into the spatial practices of housewives.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paragraphs. First, the idea of the new regional geography and the socio-spatial relationship should be applied. Such approach is required to understand the differential becoming and transformation of Seongnam city. Second, Seongnam city has two built-in and differentiated areas created through the two "new-town developments;" the first of which began in 1968, and the second development 20 years later. It is not only the differing process and circumstance, but also the contrasting transformational mechanism centered on demography, housing, industry, and transportation factors which created differentiated built-in environment. Third, the two places, geographically isolated, have come to bear different images. Into each of the two places, a people of different class income, education, and profession wise have migrated. The populace of the formerly constructed town(Sujung-gu, Jungwon-gu) consists of people who are relatively worse off, with low income and poor education, falling into the blue collar category. On the other hand, the people of newly designed town(Pundang-gu), being mostly white collar workers, are relatively better off with high income and good educational background. Each place-identity which is examined through feelings for place,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regional participation have also shown distinction. That is, the housewives of the formerly constructed town are unconcerned, passive, and wish to leave the city if an opportunity be given. In a vivid contrast, those of the newly designed town are positive, have self-esteem, active, and wish to continue residing in the town. As for the administrative and psychological link between the formerly constructed town and the newly designed town, housewives of the formerly constructed town do not wish for any disconnection, whereas those of the newly designed town exhibit clear behavior advocating the severance of existing ties. Finally, daily life and consumption cultural space of unemployed housewives are analyzed through dynamic map and time-budget graph as follows: Unemployed housewives of newly designed town, having high level of income and education, spend much of their time enjoying leisure activities, and are quite enthusiastic when it comes to their childrens education. On the other hand, unemployed housewives of the formerly constructed town, with low level of income and education, work part-time; thus having less time for private leisure, but maintains close relationship with their neighborhood. In the end the characteristics of daily life and space give birth to couple of facilities of consumption cultural space. Therefore the buying activities and leisure activities in consumption cultural space are analysed as follows : Buying Activities (1) The distinction between the formerly constructed town and newly designed town exists, and the difference in economic, cultural, social, and symbolic capital can be found. (2) In selection of shopping places, the formerly constructed town housewives were found to be price sensitive; whereas, newly designed town housewives were more quality conscious, reflecting the ga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wo groups economic capitals. (3) To collect information and make decisions, newly designed town housewives rely heavily on printed materials and media. On the contrary, their counterparts in the formerly constructed town count on their neighbors as the source of information. This clearly is a reflection of their differing lifestyles - the formerly constructed town's close relationship with neighbors, and high rate of newspaper subscription in newly designed town. (4) Characteristics of buying behavior also shows difference. Spatial choice and movement has occurred in the formerly constructed town, such that resident housewives of the area are showing increased tendency towards making purchases in the newly designed town, especially with regards to costly durable goods. On the contrary, in the newly designed town, place choice and movement is taking place within the town. Housewives of newly designed town tend to make choices among different sub-districts of newly designed town. That is, the formerly constructed town housewives have tendency of 'nearness', the newly designed town housewives have tendency of 'distinction'. Leisure Activities (1) Housewives of the newly designed town possess positive attitude and feel that they deserve to have leisure in the life. Unlike their counterparts, housewives of the formerly constructed town are passive and do have the feeling that they are not able to afford the luxury of leisure in their life. (2) Having observed the relationship between space and society through the leisure activities of housewives, those in the formerly constructed town engage in in-house leisure activities, shaping their locale (the formerly constructed town : Seongnam) as their work site. Housewives of the newly designed town, just the opposite, were found to mainly take part in commercialized self developing leisure activities outside the family boundary, thereby making it a consumption locale(the newly designed town : Bundang) This thesis attempted to prove the vivid site of life in the context of social and spatial relationship, by looking at the mechanism and process centered on the role of the State policy, and spatial practices of agents -- i.e., women in the city of Seongnam: a region which has gone through unique historical process of continuous transformation and generation, and which retains the spatial scale of a small community. As a result, and coupled with its geographic attribute of being situated in the periphery of a large city: Seoul; Seongnam city has acquired a differentiated spatial structure and a substructure through the spatial policy of the State, deriving a very different characteristics for its local residents or agents as well. This, in turn, conferred a unique characteristic upon the social relationship and the space of a location called seongnam city. Above all, differences were also observed in the socio-economic features, place-identity, and the life of women whose place of residence represents the daily life and consumption dultural spaces. Also,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ir spatial activities in the concrete spheres of life - buying and leisure time activities. Such phenomena resulted in the formerly constructed town being reproduced as a place for low class people, and a production locale, where full-time and part-time works of women take place; and newly designed town as a place of residence for the upper middle and above classes, a sub-housing market, and a consumption locale, where shopping and leisure time activities for housewives take place. In the end, all those were exposed through the spatial activities of discrimination and intimacy gaining efforts between the two places. Accordingly, as long as two regional communities exist within a single administrative district, many policy problems, including spatial and social relationship, come to surface. There must be a sincere consideration among the policy decisioners of the State and the local governme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 1 B. 연구지역 개관 --------------------------------------------------- 3 C. 연구방법과 내용구성 --------------------------------------------- 9 Ⅱ. 지역지리학과 공간-사회 관계에 관한 논의 ------------------------- 16 A. 지역연구에 관한 논의 -------------------------------------------- 16 1. 지역지리학의 변천 과정 ----------------------------------------- 16 2. 우리 나라의 지역연구 동향 -------------------------------------- 25 B. 공간과 사회와의 관계에 관한 논의 -------------------------------- 28 1. 일상 및 생활공간에 관한 연구 ----------------------------------- 29 2. 소비와 문화정치학으로서의 지역 --------------------------------- 36 3. 여성과 사회공간 ------------------------------------------------ 40 C. 선행연구의 한계와 분석을 위한 틀 -------------------------------- 42 Ⅲ. 성남시의 시·공간적 역동성 --------------------------------------- 48 A. 신도시 개발과 국가개발 정책 ------------------------------------- 48 B. 인구의 특성과 이주를 통한 지역사회의 형성 ----------------------- 52 1. 성남시 인구의 특성 --------------------------------------------- 52 2. 이주를 통한 지역사회의 형성 ------------------------------------ 56 C. 주거단지의 조성과 서울과의 관계 --------------------------------- 62 1. 주거환경과 지역사회 -------------------------------------------- 62 2. 職住를 통한 서울과의 관계 -------------------------------------- 69 D. 교통과 산업의 발달 ---------------------------------------------- 72 1. 지역간의 연계성 ------------------------------------------------ 72 2. 서비스산업 발달에 따른 소비공간의 형성 ------------------------- 74 Ⅳ. 지역사회 형성과 지역정체성 -------------------------------------- 85 A. 기존시가지와 신시가지의 지역사회 형성 --------------------------- 85 1. 주부들의 생활사 분석 ------------------------------------------- 85 2. 사회·경제 계층의 공간적 차별화 --------------------------------- 95 B. 지역여성의 지역정체성과 지역사회의 관계 -------------------------105 1. 지역정체성의 형성 ----------------------------------------------105 (1) 지역정체성의 개념과 장소감의 형성 ----------------------------105 (2) 만족 및 참여도를 통한 지역정체성 형성 ------------------------109 (3) 이주意思를 통한 지역정체성 -----------------------------------111 2. 지역사회의 관계 ------------------------------------------------113 (1) 상호 지역간의 접근성 -----------------------------------------113 (2) 상호 지역사회간의 이미지나 느낌 ------------------------------114 (3) 기존시가지와 신시가지의 분리문제 -----------------------------116 Ⅴ. 주부들의 사회공간 특성 ------------------------------------------119 A. 일상과 생활공간의 특성 ------------------------------------------119 1. 모식도 사례분석 ------------------------------------------------121 2. 여가활동 -------------------------------------------------------124 3. 구매 및 쇼핑활동 -----------------------------------------------129 4. 자녀교육활동 ---------------------------------------------------130 5. 부업활동 -------------------------------------------------------132 B. 성남시 소비활동시설의 분포특성 ----------------------------------135 C. 소비문화공간의 차별성 -------------------------------------------138 1. 구매활동을 통한 사회와 공간의 관계 -----------------------------140 (1) 구매활동이나 쇼핑의 스타일(취향) 및 의식 ---------------------140 (2) 교핑장소의 선택 ----------------------------------------------146 (3) 구매 의사결정 과정 -------------------------------------------148 (4) 구매활동의 장소선택 및 이동 ----------------------------------150 2. 여가활동을 통한 사회와 공간의 관계 -----------------------------159 (1) 여가활동의 스타일(취향) 및 의식 ------------------------------160 (2) 주부들의 여가활동 특성 ---------------------------------------162 Ⅵ. 요약 및 결론 ----------------------------------------------------170 참 고 문 헌 ---------------------------------------------------------175 부 록 ---------------------------------------------------------------194 Abstract ------------------------------------------------------------21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52999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성남시 여성의 일상과 소비문화공간을 통해서 본 지역의 차별적 생성과 변화-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The differential becoming and transformation of a region thourgh daily life and consumption cultural space of women : a case study of seongnam city-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생활학과-
dc.date.awarded200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과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