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59 Download: 0

미혼모의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에 관한 연구

Title
미혼모의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stress management program for unmarried others
Authors
김만지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egree
Doctor
Advisors
김성이
Abstract
신체적으로나 심리적으로 아직 성장이 완성되지 않은 과정에 있는 미혼모들은 임신을 하면서 대부분의 동료들이 갖는 정체감을 추구하기보다는 임신과 그 결과에 초점을 두게 되는데 이러한 상황들은 미혼모의 스트레스 수준을 증가시킨다. 스트레스는 정상적인 대처 행동의 변화를 일으키며 성행위는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거나 스트레스에 대처하기 위한 방법의 일환이 되고 있다. 미혼모들의 경우에는 스트레스 대처가 간헐적이며 비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미혼모의 스트레스 수준과 증상을 완화시키고 스트레스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인지행동이론을 바탕으로 한 본 연구의 프로그램 방향은 미혼모를 둘러싼 환경에 관한 개입이라기보다는 미혼모 개인의 인지적·행동적·정서적 변화를 야기하여 스트레스 수준과 증상을 감소시키고 다양한 대처 전략을 향상시키도록 하는데 있다. 프로그램의 전체 틀은 Cameron과 Meichenbaum의 대처기술훈련인 개념화, 기술습득과 행동화, 리허설과 적용의 인지기술훈련방법 3단계에 따라서 진행되었다. 그리고 Ellis의 합리적 정서적 치료, Beck의 인지치료를 활용한 인지적 재구조화 기법을 활용하였다. 또한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의 내용은 Palmer(1991)와 Brehm(1998)의 스트레스 관리 훈련 내용 가운데 프로그램을 통해서 이루고자 하는 목표와 관련된 부분을 중심으로 재구성하여 인지행동치료를 기반으로 미혼모보호시설에 있는 미혼모를 대상으로 활용 가능한 부분으로 선정하여 실시함으로써 프로그램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본 프로그램 실시전에 예비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본 프로그램은 주 2회 총 8회로 진행되었고 프로그램 시작 1주일 전에 사전모임을 가졌으며 프로그램 종료 4주 후에 사후모임을 가졌다. 동일 프로그램이 동일 진행자에 의해 3회 실시되었다. 비동일통제집단설계로 실험집단 20명, 통제집단 21명을 구성하였으며 실험집단은 서울시 소재 미혼모보호시설에, 통제집단은 광주시 소재 미혼모보호시설에 각각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을 병행하였다.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SPSS Window 9.0을 활용하여 Paired-Samples T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양적 분석은 동질성 검증과 가설 검증으로 이루어졌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을 검증한 결과는 사회인구학적 특성, 스트레스 수준, 불안, 우울, 대처방식, 비합리적인 신념부분에서 두 집단이 동질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검증 결과에서는 첫째, 프로그램 실시 후에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스트레스 수준이 감소할 것이라는 가설 1은 지지되어 미혼모들의 스트레스 수준을 감소시키는데 있어서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의 효과성이 입증되었다. 둘째, 프로그램 실시 후에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스트레스 증상이 감소할 것이라는 가설 2는 지지되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가 초래된 이유는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는데 하나는, 인지와 행동의 변화를 유도하는데 유용한 반면 정서를 변화시키는데 제한점을 가진 인지행동모델 자체의 한계성이 본 연구 결과에 반영되었다는 측면과 다른 하나는, 출산에 대한 두려움, 아이와 자신의 장래에 대한 불투명성이 심리정서적인 면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정서 변화는 상대적으로 많은 시간이 요구되는 측면으로 고려해 볼 수 있다. 셋째, 프로그램 실시 후에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대처 방식의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는 가설 3은 지지되었다. 특히 문제해결중심의 대처방식을 향상시키는데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프로그램 실시 후에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비합리적인 신념이 감소할 것이라는 가설 4는 지지되었다. 가설 4의 지지는 본 프로그램이 미혼모들의 스트레스 감소와 관련된 인지적 재구조화에 효과적이었음을 입증해 주는 결과로서 미혼모들의 비합리적인 신념을 감소시키는데 있어서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이 효과적임이 입증되었다. 질적 분석은 집단진행과정에서 나타난 토의내용, 관찰, 그리고 집단성원들이 작성한 문서 화한 자료를 활용하여 분류하고, 이에 근거하여 각 집단성원들의 변화내용을 프로그램 목표별로 살펴보았다. 첫째,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써 집단성원들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난 변화가 스트레스 수준의 감소였다. 둘째, 불안과 우울의 스트레스 증상 감소와 관련한 집단성원들의 변화내용을 찾아보기가 어려웠다. 셋째, 스트레스 대처 방식이 다양화되고 향상되었는데 긍정적인 재평가, 설득, self-talk, 나-메시지 의사소통기법, 주장적인 자기 표현, 문제해결 등 한 가지 이상의 새로운 대처방식을 습득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집단성원은 자신의 비합리적인 신념을 인정하였고 부분적으로 비합리적인 신념의 변화가 이루어졌다. 이러한 결과는 양적 분석의 결과와 대체적으로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나 미혼모 대상의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이 불안과 우울의 스트레스 증상 감소와 관련된 부분을 제외하고는 효과적이었음을 입증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들이 미혼모분야의 사회사업실천에서 시사하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행동모델을 기반으로 한 미혼모 대상의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하여 효과성을 입증함으로써 인지행동모델의 유용성을 지지하는 경험적인 증거를 제공하였다. 둘째, 미혼모 자신을 관리하는 능력의 하나로서 미혼모 대상의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의 유용성이 입증되었다. 따라서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이 미혼모 분야에서 확대 적용되어진다면 개인적인 발달 변화와 임신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중복되어 있는 미혼모들의 건강한 정신건강도모에 도움이 될 것이다. 셋째, 미혼모가운데 중·고교 재학생과 퇴학생이 증가하는 현실을 고려해볼 때 학교에서 학교사회복지사나 교사에게 스트레스 관리와 관련된 특화된 훈련과 보수교육을 제공함으로써 스트레스 관리와 관련된 부분을 청소년들에게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 볼 수 있다. 넷째, 미혼모 가운데에서도 각 연령의 인지적, 정서적 특성을 반영한 프로그램을 실시함으로써 임상실천의 정교화를 꾀할 수 있다. 향후 다음과 같은 후속연구들이 필요하다. 첫째, 미혼모는 스트레스 상황에서 동일한 방식으로 반응하는 집단이 아니다. 임산부와 출산모, 양육모와 입양을 선택한 미혼모 집단에 대한 차별화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미혼모를 개인의 도덕적인 차원에서 바라보는 시각에서 사회가 책임지려는 시각으로 전환이 이루어져 미혼모들의 정서적, 경제적, 교육적 부담을 덜어 줄 다각적인 서비스와 정책적 접근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는 미혼모에 대한 개입 부분을 스트레스로 한정하였다. 그러나 미혼모에게 필요로 되어지는 부분은 보다 다양하므로 이 연구를 기초로 향후 다양하고 보다 발전된 개입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 Most of unmarried mothers, whose physical or mental growth is not mature, just concern about their pregnancy itself rather than seek for their identity. This situation increases the stress levels of the unmarried mothers. The stress leads to the changes of normal coping action, and the sexual behavior becomes an another method for reducing the stress levels. It is known that coping skill for the stress of unmarried mothers is intermittent and noneff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e and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stress management program for the unmarried mothers to alleviate the stress levels and symptoms and to cope the stress adequately. The program of this study was based on the cognitive-behavioral theory for the reduction of the stress levels and symptoms and the improvement of various coping strategy by causing a change of cognition, behavior, and emotion of the unmarried mothers themselves rather than an intervention of circumstance surrounding the unmarried mothers. The total outline of program was processed with 3 steps of conceptualization which is coping skill practice of Cameron and Meichenbaum, learning and activation skill, and recognition skill practice of rehearsal and application. Ellis the Rational-Emotive Therapy and Becks Cognitive restructuring skill which was used cognitive therapy were also applied. I tried to reach the goal to achieve through program among the content of stress management practice of Palmer(1991) and Brehm(1998) and the purpose of the program by reorganizing with the focus of concerned parts. The content of the program was unmarried mother who are in the unmarried mother sanctuary oriented parts based on recognition and action cure. The program was done twice a week, totally 8 times and follow-up was formed 4 weeks later after finishing the program.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 was held. The experimental group was 20 and control group was 21 unmarried mothers. The experimental group was unmarried mothers who are protected in sanctuary institution in Seoul and the control group was in Guangju.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es were carried out. The Paired-Samples T test was done with SPSS Window 9.0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stress management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ed.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homogeneous in the social populational character, the life event checklist, the state-trait anxiety, Beck depression inventory, the ways of coping, and the irrational beliefs test. First, the first hypothesis that the stress levels of the experimental group will be more reduced compared to control group after completing stress management program was supported. Second, the second hypothesis for the reduction of stress symptoms of the experimental group by the program wasn t supported. One of the reason may be that cognitive-behavior model which is useful to induce the change of cognition and behavior but is not effective in changing emotion have limited the consequence of this study. The other was that fear of delivery, obscurity of the future of them and their child had an effect on the side of pshychoemotion so it could be considered emotional change needs relatively many times. Third, the third hypothesis for more carrying change of coping skills of the experimental group by the program was supported. Especially the stress management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coping skills. Fourth, the fourth hypothesis for more reducing irrational beliefs than control group by the program was supported.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program is effective in the stress reduction of unmarried mothers and concerned cognitive reconstruction. Consequently, the stress management program was proved to be effective in the reduction of irrational beliefs of unmarried mothers. In case of qualitative research, the content of discussion in the course of group process, investigation, and the documentalized material which was made from the group members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objects of program. First, the common change of members was reduction of stress levels by attending stress management program. Second, it was hard to find the reduction of stress symptoms of anxiety and depression by stress management program. Third, the coping skills for stress were verified and improved. More than one new coping skills were acquired such as positive re-evaluation, persuasion, self-talk, I-message communication method, assertive self-expression, and problem settlement. Fourth, the group members admitted their irrational beliefs and partially had a change of it. These results harmonized with the quantitative research and it was proved that unmarried mothers oriented stress management program was effective except for the reduction of stress symptoms and concerned parts. The meanings of these consequences in the social work practice are as follow. First, the utility of cognitive-behavior therapy was verified by proving the effectiveness of stress management program based on the cognitive-behavior theory for the unmarried mothers. Second, the stress management program can be a useful tool for the control of the unmarried mothers themselves. Therefore when the stress management program is applied widely to the part of unmarried mothers, it will be very helpful to healthy mental health promotion of the unmarried mothers who have a personal development change and stress by pregnancy at the same time. Third, considering increase of junior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dropouts among unmarried mothers, we can find communicative methods of stress management and concerned parts by offering stress management and specialized training and mending instruction. Fourth, the precise practice can be planned by operating the program reflected the cognitive, emotional character of each age among unmarried mothers. Afterward further study will be necessary. First, all unmarried mothers doesn t cope with the stress by the same ways. So separated studies will be needed for pregnant or delivered unmarried mothers. Second, multilateral service and political access should be made to reduce emotional, economical, and educational burden of unmarried mothers by carrying out the change of view, from personal moral step to social responsibility step for them. Third, this study has only focused on the stress of unmarried mothers. Therefore more various and intensive intervention for other aspects of unmarried mothers will be needed afterwar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