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79 Download: 0

여성복의 연령별 체형별 패턴 그레이딩 편차 설정에 관한 연구

Title
여성복의 연령별 체형별 패턴 그레이딩 편차 설정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Development of a grading increments chart for women's wear focusing on dimensional variations among groups of different ages, heights and drop values
Authors
최정욱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직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조진숙
Abstract
본 연구는 실효성 있고 적응력 있는 의류생산을 가능하게 하고 소비자의 의류제품 치수에 대한 만족도와 신뢰성을 높히기 위해, 실제적으로 의류 업계에서 사용하는 타겟연령을 고려한 연령집단별 치수조합을 제시하고, 연령 및 체형을 감안한 참고부위의 그레이딩 편차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그레이딩 문제점 분석을 위한 업체 현황조사 와 체형을 감안한 연령별 참고부위 편차 제시를 위한 국민체위조사 데이터 분석 이 두가지 연구를 병행하였다. 먼저 업체현황조사는 소비자 치수적합도를 파악하기 위해 샵마스터를 대상으로 한 조사와 그레이딩 업무실태 파악을 위해 그레이더를 대상으로 한 조사를 통해 현행 여성복 의류업계의 그레이딩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체형을 감안한 연령별 참고부위 편차를 설정하기 위한 국민체위조사 데이터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국민체위조사 데이터를 연령을 기준으로 세 집단으로 나누고, 상·하의 각각을 대표하는 기본부위를 선정하여 기본부위별 편차에 따라 간격을 나눈 후 빈도분포 표를 구하였으며, 이를 통해 연령대별로 커버율이 높은 생산호수 및 치수 범위를 설정하였다. 다음으로 상의는 가슴둘레와 엉덩이둘레 치수차(Drop Ⅰ), 하의는 엉덩이둘레와 허리둘레의 치수차(Drop Ⅱ)를 기준으로 체형을 분류하여 각 치수 구간의 참고부위 편차를 제시하였다. 또한 연령집단별로 분포비율이 가장 높은 체형집단을 기준체형으로 선정하고, 이 중 기준 치수를 결정하여 이를 중심으로 참고부위 편차를 전개하였다. 또한 기준체형 내에 키가 작거나 큰 사람을 위한 부가적인 편차 표를 가이드로 제시하였으며, 기준 체형 외에 다른 체형 집단에 대한 참고부위 편차도 함께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한 연령별 치수 조합 및 참고부위 편차에 대한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고자 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먼저 의류업체의 타겟 연령을 조사하였는데, 각 업체의 타겟 연령에 따라 서로 다른 연령구분 기준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기준 호수 , 호수별 치수 범위 , 치수 편차 등이 업체마다 다르게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부분의 의류업체에서는 키나 체형에 대한 고려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각 업체별로 타겟 집단의 표준이 되는 기준 키 치수를 결정하고 키가 작거나 큰 집단에 대한 배려는 하지 않고 있었다. 체형도 마찬가지로 표준 체형집단을 기준으로 그레이딩을 하고 있었으며, 특이체형이나 연령 집단에 따른 체형 특성은 고려되지 않고 있었다. 둘째, 업체에서 사용하는 연령구분에 준하여 구분한 연령 집단별로 치수 조합을 제시하고, 연령 집단별 기준체형의 참고부위 치수와 그레이딩 편차를 제안하였다. 그 결과 연령 집단별로 선정된 기준 치수가 달랐으며 전개되는 호수 또한 다르게 나타났다. 이렇게 설정된 기준 치수를 중심으로 각 참고부위 항목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치수간 편차를 산정하였다. 셋째, 키 집단별 참고부위 치수와 그레이딩 편차를 제안하였다. 기준체형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그레이딩 편차는 같은 키 집단 내에서의 편차이므로 키가 크거나 작은 체형에 적용하기 적합하지 않다. 즉 호수가 커짐에 따라 둘레항목이 일률적으로 커지기 때문에 키 치수가 기준 키보다 작거나 큰 체형은 둘레항목과 길이항목의 비율이 적합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령 집단별로 키가 작거나 큰 집단에 대한 참고부위항목의 대표값을 비교하여 키 집단이 달라짐에 따라 변화하는 참고부위 항목과 그 편차를 정리하였다. 넷째, 체형 집단별 참고부위 치수와 그레이딩 편차를 제안하였다. 빈도는 기준 체형 집단보다 적으나 각 연령별로 다르게 나타나는 또 다른 체형 집단을 커버하기 위해 체형 집단에 따라 변화하는 참고부위항목과 편차를 제시하였다. 다섯째, 이상의 연구 결과를 가지고 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여 실효성 있는 데이터인지를 검증 받았다. 그 결과, 실제 의류업체에서 사용하는 연령구분을 근거로 한 타겟 연령으로 집단을 구분한 점과 다양한 키 집단에 대해 고려한 부분에 대해서 긍정적이고 호의적인 평가가 있었다. ; Grading is to alter sample size patterns into different sizes. The know-how of grading i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dimensional variations of different sizes. In order to grade properly for various groups of customers, the grader should understand the dimensional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age groups, hight groups as well as figure types. Without correct grading, customers find many discomforts and have to amend some parts such as sleeve length, jacket length, etc to fit their individual sizes. Unsatisfying grading degrades the quality of the product as a who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grading increments chart for women s wear focusing on dimensional variations among groups of different ages, heights and drop values. We approached the research purpose in two ways, i.e. statistical analysis and specialists interviews. Statistical analysis was focused on dimensional variations among groups of different ages, heights and drop values. Specialists interviews were carried out with shop masters, graders and pattern engineers about following questions. What are problems resulting from incorrect grading? Actually how does industry grade for women s wear? Can this grading increments chart be used industry in practical terms? Specialists interviews verified the feasibility of this grading increments chart. As a result the grading increments chart was developed as follows. 1. Size codes and control dimensions of the chart is matched with KS size code. 2. Covering range and reference dimensions are analysed in separate age groups. 3. Basic increments were analysed in the medium height groups. For short or tall group, necessary dimensional increments were suggested. 4. Also for different figure types, which were presented as drop values, necessary dimensional increments were suggested. Drop value I is the value of hip girth minus bust girth, and Drop value II is the value of hip girth minus waist girth.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