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95 Download: 0

1930년대 세태소설 연구

Title
1930년대 세태소설 연구
Authors
박영순
Issue Date
1992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
Abstract
본고는 문학사에서 1930년대 후반기의 대표적인 일련의 소설을 분류 지칭하는 개념으로 정착된, 세태소설을 가족사소설, 농민소설, 지식인 소설 등과 같은 소설의 하위쟝르개념으로 보고, 그 개념적 특성을 밝히고 문학사적 의의를 평가했다. 연구의 출발점으로, 문학사에서 쓰이고 있는 세태소설에 대한 개념이 서구의 문학 이론에 근거한 하위쟝르 개념이라기 보다 1930년대 비평가들이 만들어 사용한 개념을 수용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해, 1930년대 비평가들이 사용한 세태소설에 대한 개념적 인식을 중심으로 세태소설의 개념을 정리했다. 1930년대 비평가들의 개념을 수용해 세태소설을 양식적 개념으로 정리했다. 세태소설은 다양한 현실을 동시에 조망함으로써 한 시대를 그리는 새로운 양식의 장편소설이다. 세태소설에는 동등한 중요성과 대표성을 지닌 다수의 인물들이 등장하며, 이들은 다양한 그룹의 대표자로서 제각기 한 시대 삶의 양식을 대변하며 한편으로는 현실을 표현한다. 그러므로 직선적 플롯 중심의 전통적 소설의 구조와는 다른 새로운 소설의 구조를 보인다. 세태소설의 새로운 소설의 구조는 서술과 대립되는 묘사의 원리에 입각해 이야기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동시적 시간구조를 중심으로 한 소설의 구조, 즉 이야기의 線條性과 관련된 통합적(syntagmatic) 질서보다 계열적(paradigmatic) 질서가 우선하는 소설의 구조를 나타낸다. 시간에 따라 전개되는 사건의 극적인 요소를 지향하지 않고 동시적 진행을 통한 공간의 확대를 지향함으로써, 통합적 질서보다 계열적 변별성을 강화시킴으로써 다양한 인물들의 삶의 양식의 변별성을 표현하며, 한편으로는 그 속에 내재하는 삶의 동질성을 함축해 드러냄으로써 단편양식이 표현할 수 없는 현실의 총체적 표현을 이루는 새로운 장편양식이다. 세태소설에 대한 개념을 이와 같이 연역적으로 설명한 후, 세태소설의 새로운 장편양식의 구조를 만들어 주는 구성, 인물, 언술의 특성을 설명했다. 구성의 특성은 사건 중심의 선조적 구성을 거부하는 ‘通時性의 共時性化’라는 시공성의 구성을 지적했다. ‘통시성의 공시성화’라는 시공성의 구성은 모든 것이 단일한 시간 안에, 단일한 순간의 공시성 안에 존재하는 것으로 표현해 계열적 질서가 중시되는 소설의 구조를 만든다. 이러한 새로운 소설의 구조는 구체적으로 이야기 단위로서의 分章, 동시적 전개, 불연속적 이야기 구성, 선적 시간의 파괴, 시작과 끝의 패러다임 구성, 교차식 구성 등을 통해 만들어진다. 인물의 특성은 직선적 플롯 중심의 소설이 보여주는 행위기능보다 ‘유지성 개인’으로서의 존재기능이 부각되는 사실을 지적했다. 인물은 소설이 진행되어감에 따라 잠재된 특성이 새롭게 드러난다거나 사건을 통해 성격이 변화하거나 하는 일 없이 처음에 인물에게 부여된 유형성에 충실한 행위양식과 사고를 나타내는 전형적인 평면적인물이며, 양식화된 습속을 통해 표현되는 일상적 인물이며, 현실의 세속적 질서에 순응하는 무이상의 인물이다. 언술의 특성은 전지적이며 遍在的이 특권적 서술자가 존재하며, 서술자의 목소리가 드러나는 서술방식을 지적했다. 세태소설의 언술적 기능의 행위의 기능성보다 존재의 기능성이 우선하는 소설유형에서 작가가 자신의 사상을 표현하는 새로운 방법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배경묘사, 주석, 내적 분석, 표현적 언술 등 다양한 언술적 기교가 구사되는 가운데 인물들의 일상적 삶의 양식의 특성을 표현한다. 끝으로 세태소설의 문학사적 가치를 설명했다. 세태소설의 문학사적 의의로 먼저 근대적 장편소설의 일반적 소설의 문법을 벗어난 새로운 장편양식의 출현을 지적함으로써 가족사소설과 역사소설과 함께 소설의 장편화에 기여하며, ‘유지성 개인’으로서의 인물을 표현해 운명적 인물이나 이상적 인물이 아닌 현실을 살아가는 실제 인간의 초상을 표현하며, 다양한 언술적 기교를 통해 인물의 특성을 표현하는 표현적 언술에 성공해 ‘묘사기술의 완성’을 이루었다는 의의를 설명했다. 둘째는 영화기법의 소설화라는 의의를 평가했다. 세태소설은 표현의 도구로서의 서술의 중개성, 이야기 단위로서의 분장과 이야기의 교차적 미학의 구성의 방법은 영화의 표현기법, 즉 영화의 표현도구로서의 화면의 심도와 움직임, 영화의 표현단위로서의 샷(shot)과 몽타주기법을 비롯한 샷과 샷의 연결을 통한 예술적 표현에 대응된다. 셋째는 세태소설이 전통적 소설의 구조를 변화시켰다는 점에서 메타픽션의 가능성이라는 의의를 평가했다. 동시적 시간구조를 중심으로 한 이야기의 존재기능의 강화, 언술기능의 강화 등은 사건 중심의 직선적 플롯을 추구하는 전통적인 문학적 관습을 부정한 새로운 소설형식(fictional writing)이므로, 문학적 관습을 부정한 소설형식의 탐구라는 점에서, 전통적 형식에 저항하면서 형식적 탐험을 중시하는 메타픽션의 가능성을 지적했다. ; The novel of manners have been established as the concept of classifying and designating a series of novels which were prevalent the 1930’s. This dissertation attempts to regard the novel of manners as one of the concept of subgenre such as the novel of family history, peasant novel, and the novel of intellectual. And the aim of this thesis to investigate the conceptual characteristics of the novel of manners and to evaluate it’s significance in literary history. The starting point of the argument is to notice that the concept of the novel of manners we have used is not so much that of subgenre based upon the Western literary theory as the concept which was made and used by the literary critics in the 1930’s. And then this thesis makes an attempt to define the concept of the novel of manners by concentrating on and accepting the conceptual re-cognition of it made by the critics in the 1930’s. The novel of manners is revealed to be the new kind of novel, which represents the whole reality of a certain age through the delineation of manifold lives. In other words, it shapes the whole reality of an age by simultaneously describing the various ways of life consisting of reality and the homogeneity of reality, which is immanent in the diverse ways of living. Thus it comes to capture vividly the totality of reality which is difficult to be acquired in short stories, and present the new structure of the novel which is quite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one which develops according to the linear plot. The new structure shown in the novel of manners is to organize a story, based upon the principle of description which is opposite to narration. That is to say, it means the structure which concentrates on the simultaneous time structure, namely, the structure in which the paradigmatic order is much more emphasized than the syntagmatic order related to the linear development of a story. This structure can be made by means of searching for the expansion of space through the simultaneous progress instead of using the dramatic elements of incidents, which develop chronologically. The paradigmatic structure through the simultaneous progress enables it to express the distinctive qualities of characters’ various lives by putting an emphasis on the paradigmatic distinction. On the other hand, by revealing the same quality of life found in its variety, the novel of manners depict the totality of reality, which short stories are not able to accomplish. The next attempt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structure, character, and discourse, which make up the novel of manners. The structure of the novel of manners is characterized by that of space-time, namely, “the synchronization of the diachronic” which refuses to utilize the incident-centered linear structure. In this kind of structure, everything is expressed to exist in a single time, the space-time in a single moment, which consequently helps it create the structure in which paradigmatic order is more important than the syntagmatic. “The synchronization of the diachronic” is able to be made by putting use of sentence as a story unit, simultaneous progress, discontinuous construction of story, and the destruction of linear time. And the structure of beginning and end paradigm and the structure of crossing enable the simultaneous and discontinuous story to constitute a novel. Characters do not reveal the potential qualities with the development of novel and their experiences of incidents do not change their personality. In brief, they are the typical flat characters who react only with the modes of action and thoughts faithful to the type given to them at first. And they are extremely ordinary people whose behaviors are influenced by conventionalized social practices, and they have a tendency to conform to the secular order of reality without any attempt to quest for ideal. The research on the aspect of discourse in the novel of manners reveals that in this novel it is possible to notice clearly the voice of narrator who is omniscient and omnipresent. The function of discourse in the novel of manners consists in playing an important part as a new way of expressing the author’s idea in the type of novel in which the function of existence is considered to be more important than the function of action. The peculiarities of characters’ daily lives are represented through the various discourse techniques such as background description, commentary, inner analysis, and expressive discourse. Finally, an attempt is made to explain the novel of manners’ significance in literary history. For one thing, it results in the appearance of the new mode of novel which breaks away from the general grammar of the modern novel, which makes an contribution to render the novel much longer, along with the novel of family history and the historical novel. One of the significance of the novel of manners lies in that it succeeds in representing the features of characters by the diverse discourse techniques and making the description technique complete. Secondly, the novel of manners is significant in that it successfully applies the cinema techniques to it. In this novel are used the mediation of narration as an expression tool, sentence as a story unit, and structural method founded upon crossing aesthetics of story, which correspond to the several cinema techniques such as the depth and movement of the scene as an expression tool of cinema, shot as an expression unit, and the artistic expression through the connection between shots as well as montage technique. Thirdly, the novel of manners suggests the possibility of meta-fiction in that it transforms the structure of traditional novel. The emphasis on the story’s function of existence and the function of discourse lead to the new form of fictional writing which denies the traditional literary conventions in search of the event-centered linear plot. Therefore the novel of manners is revealed to suggest a possibility of meta-fiction which makes much of the formal experiments with the resistance to the traditional forms to an extent that it explores a new novelistic form trying to rejecting old literary convention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