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5 Download: 0

중년여성을 위한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 의류제품의 생산모델 개발

Title
중년여성을 위한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 의류제품의 생산모델 개발
Other Titles
Production model development of mass customized clothing for middle-aged women
Authors
김소라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직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조진숙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대량생산의 장점인 낮은 가격대 창출과 주문생산의 장점인 고객지향을 추구하는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Mass Customization) 방식에 따른 의류제품의 생산모델을 개발하였다. 특히 체형이 매우 다양한 시기에 있어 이러한 고객지향적 의복이 더욱 필요한 중년여성들을 대상으로 하여 기성복에서 얻을 수 없는 인체적합도가 높은 의복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모델은 소비자 체형파악과 체형별 패턴제작의 어려움을 해결해주기 때문에 의류제조업체의 패턴제작과정을 용이하게 해주고, 모든 생산이 주문에 따라 이루어지므로 재고부담을 감소시켜준다. 이러한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 의류제품의 생산모델을 개발하기 위하여 먼저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기성복업체의 맞춤생산 실태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그리고 만 40세∼59세 중년여성 279명에 대한 인체계측을 실시하여 체형분류를 하고 체형판별의 기준을 마련하였다. 또한 생산모델의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재킷, 블라우스, 스커트, 슬랙스 품목에 대한 체형별 패턴을 개발하고 이것을 그레이딩하여 체형별·사이즈별 패턴을 데이터베이스화하였으며, 이를 활용한 개인별 패턴수정과 착의실험을 하였다. 마지막으로는 온라인 거래에서의 주문을 웹사이트 구현을 통하여 제시하고 오프라인 거래에서의 주문서 양식을 제작하였다.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 의류제품을 효과적으로 생산하기 위해서는 대상집단의 체형을 분류하고, 이들 체형을 간편한 방법으로 판별할 수 있어야 하며, 체형별 패턴이 개발되어야 한다. 상반신 체형분류는 인체측면 자세와 유방크기를 분류의 기준으로 하여 바른-유방중소 체형, 바른-유방대 체형, 젖힌-유방중소 체형, 숙인/휜-유방중소 체형, 숙인/휜-유방대 체형의 5가지로 분류하였다. 하반신 체형분류는 배와 엉덩이의 돌출정도에 따라 분류하여 배정상-엉덩이정상 체형, 배정상-엉덩이돌출 체형, 배돌출-엉덩이정상 체형, 배돌출-엉덩이돌출 체형의 4가지로 분류하였다. 분류된 체형은 다음의 판별변수에 따라 체형이 판별된다. 상반신 체형의 판별변수는 앞품/뒤품, 가슴둘레/밑가슴둘레, 앞길이/뒤길이, 앞허리선→어깨선 길이/어깨선→뒤허리선 길이의 4가지 항목이고, 하반신 판별변수는 엉덩이상부각도, 배하부각도, 배상부각도, 엉덩이둘레/엉덩이최대둘레, 뒤엉덩이둘레의 5가지 항목이다. 하반신 판별변수 중 각도항목은 간편하게 계측할 수 있는 항목이 아니므로 하반신 체형그림을 선택하도록 하고 그림별로 각도 대표값을 부여하여 각도항목 계측을 대치하도록 하였다. 상반신 체형과 하반신 체형 판별함수 모두 70% 이상의 높은 적중률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체형판별을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 의류제품 생산모델에 적용시키기 위하여 재킷, 블라우스, 스커트, 슬랙스 의복품목에 대한 디자인을 하고 체형별 패턴을 개발하였으며 그레이딩을 하였다. 이것은 앞에서의 체형분류에 따른 체형별 피험자들의 인체계측 통계자료를 토대로 하였다. 상반신 체형의 인체측면 자세의 분류에 따라서는 인체 앞과 뒤의 길이와 너비에 초점을 맞추고, 유방크기에 따라서는 유방부위의 길이와 너비를 중심으로 체형별 패턴을 개발하였다. 하반신에 있어서는 배와 엉덩이의 돌출에 따른 앞·뒤판 폭의 비율과 앞허리둘레선과 뒤허리둘레선에서의 길이방향 여유분을 중심으로 체형별 패턴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7가지 사이즈로 그레이딩하여 체형별·사이즈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개발한 생산모델의 적합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피험자를 선정하여 체형판별을 하고, 해당 피험자의 체형에 맞는 패턴 중 적합한 사이즈를 찾아내어 개별 패턴수정을 하였다. 그리고 완성된 패턴으로 실제 의복을 제작하여 착의실험을 하였다. 그 결과 상의와 하의 모두 체형별 패턴의 적합성이 입증되었고, 사이즈 선택면에 있어서는 상의의 경우 가슴둘레를 기준으로 해당 피험자의 사이즈에 가장 근접하는 사이즈를 기준으로 하고, 하의에서는 엉덩이둘레를 기준으로 가장 근접하는 사이즈를 선택하되 피험자의 신체치수가 그 사이즈를 1.5cm 이상 초과하는 경우에는 한 단계 위에 있는 큰 사이즈를 기준 사이즈로 선택하는 것이 중년여성 하의의 맞음새를 높일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온라인 거래를 위한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 의류제품 판매웹사이트에서는 의복품목 선정, 디자인 선정, 색상 및 소재 선정, 신체치수 계측 및 입력, 주문서 작성의 순서로 주문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소비자는 다양한 선택을 해보면서 최종적으로 구입 결정을 할 수 있고, 자신의 신체치수와 체형에 맞는 의복을 온라인상으로 간편하게 구입할 수 있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oduction model for mass customized clothing for middle-aged women. Most middle-aged women have difficulty finding well-fitting clothing. They have diverse somatotypes but ready-to-wear manufacturers produce just a few sizes, regardless of those somatotypes. This new model enables the customers to have higher satisfaction and the manufacturers lower stock levels.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the following procedures: 1.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urvey on the made-to-wear production of 18 ready-to-wear manufacturers, the production ratio of made-to-wear is increasing and most manufacturers have problems making fitted clothes for each customer. 2. By their body measurements, 279 female subjects in their 40s and 50s were categorized into several somatotypes. The five somatotypes for upper body were straight posture-medium/small bust, straight posture-large bust, lean back posture-medium/small bust, bend forward/swayback posture-medium/small bust, and bend forward/swayback posture-large bust. The four somatotypes for lower body were normal abdomen-normal hip, normal abdomen-prominent hip, prominent abdomen-normal hip, and prominent abdomen-prominent hip. Also, discriminants for each category were extracted. The hit ratios of these discriminants for upper body and lower body were all over 70%. 3. Two different designs for items of jacket, blouse, skirt, and slacks were developed. Patterns for each type of these designs were created. These patterns were graded into 7 sizes, resulting in the creation of a pattern database. 4. For the verification of the production model for mass customization clothing, 9 subjects of different somatotypes were selected. Then, the nearest possible patterns for their somatotypes and sizes were found, and alteration was made if necessary. By a wearing test of the resulting clothes, the feasibility of the production system was verified. 5. A website for selling mass customized clothes based on those results was constructed. This website enables customers to select what they want from among the clothing items, designs, fabrics, and colors suggested on the site. Finally, customers make their decision to buy clothes and fill in the order for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