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3 Download: 0

도구개발을 통한 한국노인의 삶의 질에 관한 조사연구

Title
도구개발을 통한 한국노인의 삶의 질에 관한 조사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the quality of life in old people
Authors
최수정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
Abstract
This research was designed to develop an instrument that can be used for measuring and analyzing the degree of the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in Korea, and to provide basic data to help them attain a better quality of lif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 total of 2,110 people, both male and female, residing in Seoul and Kyoungi-Do. Data were collected during the period from June 16 to July 14, 2000. In developing this instrument, the researcher first established a conceptual framework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 and open questionnaire. Resposnes were obtained from the respondents through a self-reporting method and each item had a possible score of 5.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WIN 8.0 program. For the component factors of the measuring instrument, a factor analysis method and item analysis was used. The reliability of the scale was tested by Cronbach's alpha. Examination of the difference in the quality of life as related to demographic variables was done using t-test,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scheffe test. For the examination of the major variable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Instrument development. 1)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32 items making up the instrument wer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4 factors: life satability, easy of resource utility, health and affection in family, establishment of support-base. 2) The reliability of the instrument for the quality of life was 0.952 (Cronbach's alpha). In the factor analysis Cronbach's alpha correlations for the 4 factors ranged from 0.736 to 0.949. 3) To obtain content validity,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 and the value system responses were submitted to a judgement group. The interrelated consensus of this group was 90%. 2. Demographic variables and quality of life. The findings related to the demographic variables regarding the quality of life are as follows: 1) The average score of quality of life was 88.36±31.94.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ex, spouse, education, disease, physical status, children, leaning children, house, residing type, neighbour relation, life activities(energy), life faithfulness, family and relative network. 3. By using a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extracting factors were physical status, children, residing type, neighbour relation, life activities, life faithfulness, the factors exerting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was life-faithfulness. ; 우리 나라에서는 1990년 이후부터 노인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면서 많은 연구결과를 보고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이들 대부분의 연구가 우리의 문화적 속성이나 노인의 삶의 특성은 고려하지 않은 채 연구자의 관점, 목적, 방법에 따라 서로 다른 개념적 접근을 하고 있어서 연구결과의 일반화를 어렵게 하고 있다. 더욱이 10년이 지난 지금에 와서도 노인의 삶의 질을 포괄적이면서 객관적으로 사정하고 활용할 수 있는 평가도구가 없으며, 이 분야에 대한 연구 역시 미진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자는 노인의 삶의 질을 포괄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개발된 도구를 통해 노인들의 삶의 질을 조사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경기도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60세 이상의 노인으로 본 연구에 참여할 것에 동의한 자로서, 정신이 명료하고 의사소통이 자유로이 가능한 자로 총 2,110명이 선정되었다. 자료수집기간은 2000년 6월 16일에서 7월 14일까지였으며,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본 연구자에 의해 개발된 노인의 삶의 질 측정도구였다. 이 도구는 노인의 삶의 질에 관한 선행연구와 60세 이상의 노인에게 직접 반구조적 질문지 조사 및 면담을 실시하여 노인이 경험하는 삶의 여러 영역에 대해 탐색한 결과를 기초로 개념 틀을 설정한 후, 이에 근거하여 개발된 [생활안정], [자원활용의 편이성], [건강 및 가족내 영향력], [지지기반의 확립] 등 네 개 영역으로 구성된 총 32문항의 자기평가 보고식 5점 평정척도이다. 자료수집은 연구자로부터 사전교육을 받은 연구보조원 15명이 노인들에게 직접 설문지 내용을 묻고 이에 대한 대상자의 응답을 바로 설문지에 기술하게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직접 설문지 작성을 원하는 대상자에 한해서는 설문지를 직접 작성하게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8.0 프로그램에 따라 전산처리 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노인의 '삶의 질' 도구개발 본 연구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측정도구의 형태는 노인들이 경험하는 삶의 여러 영역에 걸쳐 관련 있는 주관적인 삶의 질의 질적 개념의 속성을 정량적인 점수로 전환하는 것과 각 항목들에 대해 통일된 기준하의 점수로 나타내주어야 하는 필요성 때문에 5점 총화평점척도(Likert Scale)로서,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은 도구이다. 개발된 노인의 삶의 질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 alpha 값으로 내적 일관성 신뢰도를 검증하였고, 타당도는 주요인분석방법(Common Factor Analysis Method)과 직각회전방법(Varimax Rotation Method)에 의한 요인적재량(Factor Loadings)으로 구성타당도를 검증하였다. 1) 노인의 삶의 질은 개인이 경험하는 삶의 여러 영역에 대한 개인의 주관적인 만족감으로서, 도구의 개념 틀은 문헌고찰, 면담, 반구조적 질문지 조사에 근거하여 [가치], [건강], [가족], [사회], [환경] 등의 다섯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2) 도구의 예비문항은 개념 틀에 근거하여 47개 문항이 작성되었다. 3) 7명의 자문평가단과 도구를 적용할 모집단의 한 표본으로 노인 5명을 선정하여 도구의 내용타당도를 검정하였으며, 그 결과 내용타당도 지수(C.V.I.)가 90% 미만인 15개 문항은 삭제되어 32개의 문항이 최종 문항으로 선정되었다. 4) 도구의 구성타당도 검정은 문항분석과 요인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내적 일관성 신뢰도와 구성타당도 검정에서 신뢰도 계수, 피어슨 적률상관계수, 요인적재량의 기준에 의해 전체 32개 문항 중에서 삭제된 문항은 없었다. 요인분석 결과 [생활안정], [자원활용의 편이성], [건강 및 가족내 영향력], [지지기반의 확립] 등 네 개의 요인이 추출되었고, 추출된 요인은 연구자가 설정한 도구의 개념 틀과 차이를 보였다. 5) 도구의 전체신뢰도는 Cronbach alpha .952로 높게 나타났다. 네 개 요인에 대한 각각의 신뢰도를 산출한 결과 요인별 Cronbach alpha는 .736에서 .949의 범위를 나타냈다. 6) 개발된 도구를 서울 및 경기도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노인 2,110명에게 적용하여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재검정한 결과 도구의 전체신뢰도는 Cronbach alpha .975로 개발당시보다 더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구성타당도 검정을 위해 문항분석과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네 개 요인에 대한 신뢰도는 Cronbach alpha .891에서 .964의 범위를 나타냈으며, 도구의 문항간 상관관계를 보기 위해 피어슨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한 결과, 32문항 모두 .50이상으로 높은 내적 일관성을 보였다. 2. 노인의 '삶의 질' 정도 본 연구자에 의해 개발된 도구를 60세 이상의 노인에게 적용하여 그들의 삶의 질 정도를 알아보았다. 노인들의 삶의 질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평균, 표준편차 등의 값을 산출하여 확인하였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 정도의 차이를 검정하기 위해서는 t-검정, 분산분석, 사후검정(scheffe)을 실시하였으며, 삶의 질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인을 밝히기 위해서는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1) 대상자의 삶의 질은 평균 88.36±31.94점이었고, 요인별 노인의 삶의 질 평균은 [생활안정] 43.99±16.27점, [자원활용의 편이성] 21.64±8.52점, [건강 및 가족내 영향력] 15.96±6.48점, [지지기반의 확립] 12.66±6.04점이었다. 2) 대상자의 삶의 질을 일반적 특성에 따라 비교 검정한 결과, 성별(t=5.21, p= .000), 배우자(t=3.206, p=.003), 교육수준(F=7.427, p=.000), 직업(t=-1.552, p=.121), 자녀(t=-5.321, p=.000), 믿고 의지하는 자녀(t=2.372, p=.018), 집 소유(t=3.254, p=.001), 용돈(t=-.350, p=.727), 동거형태(t=-4.282, p=.000), 질병(t=4.673, p=.000), 몸의 상태(t=4.934, p=.000), 이웃과의 관계(t=4.910, p=.000), 생활의 활기(t=9.552, p=.000), 생활의 충실(t=7.861, p=.000), 가족·일가와의 관계(t=5.317, p=.000), 생의 목적(t=4.486, p=.000)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3) 네 개 요인에 대한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의 차이검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활안정]에서는 성별(t=4.782, p=.000), 배우자(t=2.404, p=.016), 교육수준(F=8.523, p=.000), 자녀(t=-4.548, p=.000), 집(t=3.078, p=.002), 동거형태(t=-2.789, p=.008), 질병(t=4.582, p=.000), 몸의 상태(t=3.485, p=.001), 이웃과의 관계(t=4.874, p=.000), 생활의 활기(t=11.385, p=.000), 생활의 충실성(t=9.403, p=.000), 가족 및 일가와의 관계(t=6.366, p=.000), 생의 목적(t=6.417, p=.000)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2) [자원활용의 편이성]에서는 연령별(F=5.464, p=.004), 성별(t=2.309, p=.021), 배우자(t=-2.002, p=.045), 교육수준(F=8.244, p=.000), 몸의 상태(t=5.307, p=.000), 생활의 활기(t=2.668, p=.008), 생활의 충실성(t=1.598, p=.110), 생의 목적(t=-2.624, p=.009)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3) [건강 및 가족내 영향력]에서는 연령(F=7.248, p=.001), 성별(t=6.464, p=.000), 배우자(t=7.721, p=.000), 교육수준(F=8.366, p=.000), 자녀(t=-11.780, p=.000), 믿고 의지하는 자녀(t=8.366, p=.000), 집(t=9.454, p=.000), 동거형태(t=-7.609, p=.000), 질병(t=5.374, p=.000), 몸의 상태(t=4.239, p=.000), 이웃과의 관계(t=7.683, p=.000), 생활의 활기(t=9.709, p=.000), 생활의 충실성(t=6.656, p=.000), 가족 및 일가와의 관계(t=10.363, p=.000), 생의 목적(t=6.288, p=.000)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4) [지지기반의 확립]에서는 연령(F=6.437, p=.002), 성별(t=6.464, p=.000), 배우자(t=5.104, p=.000), 교육수준(F=11.563, p=.000), 직업(t=-5.789, p= .000), 자녀(t=-5.160, p=.000), 믿고 의지하는 자녀(t=1.973, p=.049), 집(t=3.435, p=.001), 동거형태(t=-5.826, p=.000), 질병(t=7.126, p=.000), 몸의 상태(t=6.100, p=.000), 이웃과의 관계(t=5.601, p=.000), 생활의 활기(t=10.396, p=.000), 생활의 충실성(t=8.557, p=.000), 가족 및 일가와의 관계(t=4.659, p=.000), 생의 목적(t=6.041, p=.000)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4)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 요인을 추출하기 위해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생활의 충실성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β=0.3030, φ=3.052), 생활의 활기(β=0.2018, φ=2.080), 몸의 상태(β=0.1960, φ= 2.052), 자녀유무(β=0.0942, φ=2.122), 동거형태(β=0.0731, φ=1.501), 이웃과의 관계(β=-0.0615, φ=0.719)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자가 개발한 노인의 삶의 질 측정도구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은 5점 총화평점척도로 평가되고, 개발된 도구를 통해 나타난 연구결과들은 우리 사회의 노인의 삶의 질에 관한 기존 지식체의 검증과 새로운 지식체 개발을 위한 기틀을 마련해주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가 간호교육, 간호실무, 간호연구에 기여한 바가 크다고 생각된다. 앞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도구를 이용하여 노인의 삶의 질을 측정함으로써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간호전략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