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4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
dc.contributor.author심정민-
dc.creator심정민-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49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49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96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72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96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19세기 프랑스 무용비평이 20세기초 미국 무용비평의 흐름에 미친 영향을 연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19세기 프랑스 무용비평의 형성과 비평적 관점들과 20세기초 미국 무용비평의 형성과 그 비평적 관점들을 논의하였으며, 이것을 바탕으로 19세기 프랑스 무용비평과 20세기초 미국 무용비평의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다. 19세기 프랑스 무용비평의 개화는 최초의 무용예술인 발레가 낭만발레로 독립적인 예술적 가치를 인정받고, 특히 검열이나 규제와 같은 언론 탄압의 결과로 신문에서 정치적인 기사보다 예술비평이 활성화되었기 때문에 가능하였다. 그리고 미국 무용비평의 초기 형성에는 유럽 특히 프랑스에서 유입된 무용 문화와 언론의 발전이 그 밑바탕이 되었다. 이미 근대적인 개화를 거친 프랑스 무용비평은 20세기 전환기까지 미국 무용비평에 절대적인 영향력을 행사하였는데, 그 가시적인 특징 중에 하나가 일간지의 음악 비평란에 실리는 무용비평의 전통이다. 실제적으로 발레가 그 초기에 오페라-발레의 형태와 같이 오페라의 막간이나 음악 콘서트가 끝난 후 여분의 공연으로 보여지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무용비평은 전통적으로 음악비평란에서 다루어져 왔다. 그리고 미국의 편집장들은 초기에 무용비평과 기사를 신문의 어디에 놓을 지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19세기 프랑스의 무용비평의 전통에서 그 단서를 얻었던 것이다. 같은 맥락에서 미국의 초기 무용비평을 다룬 비평가들은 프랑스 비평가들의 예술평가를 그대로 답습하는 경향이 있었다. 당시의 미국 신문들은 해외란에 프랑스의 무용 기사와 평을 정기적으로 번역하여 실었으며 이를 통해서 미국의 비평가들은 프랑스의 비평 스타일과 미학을 접할 수 있었다. 그리고 20세기초까지의 미국 비평가들은 프랑스 비평가의 평가를 하나의 가치 판단의 기준으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었다. 이와 같이 볼 때 미국 무용비평의 초기 역사에서 프랑스 논평의 영향력은 큰 것이었고 20세기초 무용비평을 다룬 미국의 음악비평가들의 평문을 통해서 확인되고 있다. 보다 본질적인 면에서, 19세기 프랑스 무용비평과 20세기초 미국 무용비평의 연관성을 논하기 위해 그 시대를 대표하는 비평가들의 비평적 관점들을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 그들의 평문에 나타나는 여러 가지 관점들 중에서 가장 특징적인 요소로 잘 드러나는 다섯 가지 관점들 즉 그들의 평문에 나타나는 시적인 표현, 설명 혹은 묘사, 움직임이나 기교에 대한 분석, 평가, 그리고 교육적인 측면이 유추되었고 이를 토대로 테오필 고띠에와 칼 반 베첸, 에드윈 덴비의 연관성 여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고띠에와 반 베첸은 모두 다양한 예술 분야에 대한 포괄적인 지식과 어문학적인 저술 양식으로 무용예술에 대한 경험을 매우 생생하게 그리고 심미적으로 기술(記述)하였지만, 직접적인 무용 경험이 없었기 때문에 무용 기교와 안무에 대한 분석력에 있어서는 부족하였다. 이러한 유사성은 무용비평의 전형이 존재하지 않았던 미국 무용비평의 초기 역사에서 프랑스 무용비평의 영향력을 가늠할 수 있는 근거가 되었다. 미국 최초의 전업 무용비평가가 등장한 1920년대를 거쳐, 1930년대 후반부터 활동을 시작한 덴비는 무용비평을 다룬 초기의 미국 비평가들과는 다르게, 고띠에의 영향력에서 상당히 벗어나 있었다. 무엇보다도 덴비와 고띠에의 비평적 관점을 확연히 구분하는 차이는 움직임 분석과 평가, 그리고 교육적인 측면에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덴비의 비평적 관점들은 20세기 중반이후 전문적인 미국 무용비평의 발전을 이끄는 원동력이 되었다. 이를 토대로 19세기 프랑스 무용비평과 20세기초 미국 무용비평의 연관성을 따져 볼 때, 20세기초에는 직접적인 영향관계에 놓여있던 반면에 1930년대 후반 이래로는 차이점들이 두드러지게 되었다. 그리고 이것은 바로 비평가들의 직접적인 무용 교육과 실제적인 무용 경험의 차이에서 기인하는 것이다. 물론 19세기 프랑스 극장예술비평가나 20세기초 음악비평가들이 갖춘 다양한 분야에 대한 지식과 어문학적인 소양 역시 무용비평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더 나아가서 급변하는 현대의 무용예술을 다루는 무용비평가에게 있어서, 무용교육을 통한 전문적인 무용지식과 경험의 중요성은 계속적으로 부각되고 있다. ; This dissertation s aim lies in delving into the historical importance of pre-modern dance criticism, and in addressing the coherence between the 19th century and the 20th century dance criticism, by elaborating on the crucial impacts that French dance criticism in the 19th century gave on the American dance criticism in the early 20th century, which will limelight the cross-the-board dance criticism in the view of historical context. Two factors were involved in burgeoning of pre-modern dance criticism in France in the 19th century. First of all, ballet that was recognized as the first dance art began to gain a newly-acquired reputation as a real art that other fields of art had enjoyed. Additionally journalistic newspapers and magazines which were strongly tinted with literary and critic interests spurred theatrical arts criticism to bloom like a wildfire. This aggressive activities in criticism in French journalism were attributed to intentional avoidance of the French journalistic media that had been politically censored and suppressed. They had found a new domain of interest called culture and art criticism. This study shows that pre-modern dance criticism originated in French romantic ballet days in the 19th century had bearing on American dance criticism in the early 20th century. This research analyzes practical influences of French dance criticism represented in early American dance criticism. And it compares critical viewpoints of Th ophile Gautier who spearheaded French arts critics at that time with those of both Carl Van Vechten and Edwin Denby who led the pack of American dance critics in the 20th century. We find out that the tradition at newspapers in placing dance criticism, the critics viewpoints for dance, and the critics judgement on artistic dancing values, adopted by the 20th century s budding American criticism, were inherited from the French pre-modern criticism. Firstly, American editors followed suit with the French tradition at newspapers in placing dance critic reviews, carrying dance criticisms in the section of music review in the newspapers. The practice evinces American counterparts followed the steps of French journalistic editors. Ballet s performances that were played either between intermissions of main music performance or after the show resulted in their place in the music review section of newspapers. Secondly, America s dance criticism in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were not reluctant to accept the points of view employed by French critics. French critics (who tended to be equipped with the favored literary writing styles) were adroit with aesthetically and lively describing dance performances. But their inexperience in staging dances caused their reviews to lack proper analysis on dance skills and choreographic prowess. Thirdly, as we can see in the cases of Fanny Elssler, Lo e Fuller, and Isadora Duncan, first they didn t receive much praise from dance reviewers in their performances in American stages. But once their performances gained huge reputation fueled by French dance critics in French, American critics began to recognize their artistic values and ti be engaged in appreciating the dancers work. We see French dance critics judgement on artistic dancing values were modeled in the reviews of American fellows. In conclusion, the French pre-modern dance criticism lays ground for the American dance criticism in the early 20th century. Fragile foundation of the early American dance culture necessitated the import of French dance culture. Similarly, French dance criticism set the precedent for American criticism and became an inevitable model to the American one. And the convention continued until the latter part of the 1930s when more specializes and independent dance critics took the change of American dance criticism, with eyes on more detailed and sharp reviews on choreographic skills and movement techniqu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표 목 차 ------------------------------------------------------------ ⅴ 논 문 개 요 --------------------------------------------------------- ⅵ I. 서 론 --------------------------------------------------------- 1 A. 연구의 목적과 의의 ---------------------------------------------- 1 B. 연구 방법 및 제한점 --------------------------------------------- 5 II. 시대적 배경 ----------------------------------------------------- 9 A. 19세기 유럽의 정치, 경제, 사회적 상황 --------------------------- 9 B. 19세기 예술계의 흐름 -------------------------------------------- 16 C. 20세기초 예술계의 변모 ------------------------------------------ 26 III. 19세기 프랑스 무용비평의 형성과정 ------------------------------ 34 A. 근대 예술비평의 형성 조건 --------------------------------------- 34 B. 근대 예술비평의 발달 양상 --------------------------------------- 50 C. 무용비평의 성립과 흐름 ------------------------------------------ 71 1. 초기 무용비평의 성립과정 --------------------------------------- 71 2. 19세기 근대 무용비평의 개화와 테오필 고띠에의 두각 ------------- 97 IV. 19세기 프랑스 무용비평이 20세기초 미국 무용비평에 미친 영향 -----120 A. 19세기 프랑스 무용비평의 비평적 관점 ----------------------------120 B. 20세기초 미국 무용비평의 성격 -----------------------------------142 C. 19세기 프랑스 무용비평과 20세기초 무용비평간의 연관성 -----------170 V. 결론 및 제언 -----------------------------------------------------196 참 고 문 헌 ---------------------------------------------------------202 ABSTRACT ------------------------------------------------------------21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7731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19세기 프랑스 무용비평이 20세기초 미국 무용비평에 미친 영향-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Effects of French dance criticismin the 19th century on American dance criticism in the early 20th century-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체육학과-
dc.date.awarded200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