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5 Download: 0

미국병원에서의 한인간호사 임상실무경험

Title
미국병원에서의 한인간호사 임상실무경험
Other Titles
Clinical Work Experiences of Korean Nurses in U. S. hospitals
Authors
서금숙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미영
Abstract
간호사의 해외이주는 세계적인 현상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재미한인간호사의 임상실무경험을 바탕으로 향후 해외로 취업 이주하는 간호사에 대한 효율적인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미국병원에서의 한인간호사 임상실무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심층적으로 탐색하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van Manen(1990)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미국으로 이주하여 뉴욕 주와 뉴저지 주 소재 병원에 소속되어 현재 근무 중인 미국 경력 1년 이상 한인간호사 15명을 목적적 표본추출과 눈덩이 표본추출을 통해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기간은 2012년 3월부터 7월까지였으며, 면대면 면담, 전화 면담 및 이메일을 이용하여 자료가 포화될 때까지 수집하였다. 면담 자료는 참여자의 동의하에 녹음하고 필사하였으며, 반성적 사고 과정을 거쳐 세분법에 따라 본질적 주제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 자료를 분석한 결과 ‘기존 구성원의 텃세로 마음 고생함’, ‘언어장벽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두려움으로 가득함’, ‘한국적 정서와는 다르지만 합리적이라 여김’, ‘소송이 일상화된 환경에서 긴장감을 늦추지 못함’, ‘환자 권리와 간호사 복지를 존중하는 사회제도에 안정감을 느낌’, ‘숙련된 기술과 임상경험으로 자신감을 유지함’, ‘다양한 문화적 특성에 근거한 환자중심의 간호를 실천함’, ‘더 나은 간호사로서의 자리매김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함’ 등으로 총 8개 본질적 주제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재미한인간호사들은 미국의 임상현장에서 기대와는 다른 상반된 현실상황에서 언어문제와 문화적 차이로 인한 갈등을 극복해가며 새로운 삶에 대한 전환을 맞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재미한인간호사들은 임상현장에서 소송에 대한 불안으로 긴장감을 늦출 수 없었지만 숙련된 기술과 성실성을 인정받으며 한국간호사로서의 자긍심을 가지고, 환자중심 간호를 실천함으로써 전문직으로서의 간호사 직업에 대한 정체성을 확립하며 미국 병원에 적응하기 위한 자기계발을 지속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현재 미국병원에 근무 중인 간호사나 향후 취업 이주할 간호사에게 미국병원의 임상실무세계에 대한 공감과 이해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는 이주간호사들을 지원하기 위한 사회적 네트워크 형성과 정책 방안 및 지원 프로그램 등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Nurse immigration has continued to increase globally. In order to develop effective support for Korean nurses who plan to immigrate to and work in the U. S., it is critical to study the experiences of Korean immigrant nurses working in the U. S. hospit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rd and examine in depth the meaning and essence of the experiences of Korean immigrant nurses working in the U. S. hospitals. This study applied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y approach. Study participants were 15 Korean nurses who had more than one year of clinical experience in U. S. hospitals and were employed as a registered nurse at a hospital in the State of New York or the State of New Jersey at the time of interview. They were selected by purposeful and snowballing sampling.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2012 to July 2012 through face-to-face interviews, phone interviews, and e-mails to the fullest extent.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with permission of the study participants. A total of eight essential themes were extracted through reflective thinking process and subdivision method. The essential themes include: ‘Experiencing exclusion from co-workers and disadvantages as newcomers’, ‘Being under stress and fear caused by language barrier’, ‘Accepting rational thinking and values of the U. S. culture’, ‘Continuously feeling tensed in a culture where lawsuits are common’, ‘Feeling stability from the U. S. welfare system that respects the patient rights and wellbeing of the nurse’, ‘Maintaining confidence as an experienced nurse with mastered skills’, ‘Practicing patient-centered and culturally sensitive nursing’, ‘Constantly thriving to become a better nurse’.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while facing a reality different from initial expectations, Korean immigrant nurses in the U. S. made a turning point in their career by overcoming frustration from language barriers and cultural differences. Although the study subjects experienced constant anxiety regarding potential medical lawsuits, they gradually became recognized for their nursing skills and diligence, and developed pride as a Korean nurse. Through practicing patient-centered care, the study participants established their identity as the professional nurse and continued self- development to settle down in the U. S. clinical sett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because they not only provide Korean nurses who currently work in the U. S. an opportunity to empathize experiences of other Korean nurses in the U. S., but also help Korean nurses who plan to work in the U. S. to understand the clinical work environment in the U. S. hospitals. Finally, the study results demonstrate the need to develop social network, policy measures and support programs that will help Korean nurses who currently work in the U. S. or plan to immigrate and work in the U. S. in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