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6 Download: 0

중년기 여성의 우울 구조모형

Title
중년기 여성의 우울 구조모형
Other Titles
A structural model for depression in middle-aged women
Authors
박금자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경혜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e and test the structural model for depression in middle-aged women. A hypothetical model was constructed on the basis of previous studies and a review of literatures. The conceptual framework was built around eight constructs. Exogenous variables included in this model were volunteer activity, health status & economic status. Endogenous variables were meaning of life, self-esteem, perceived life stress & depression. Empirical data for testing the hypothetical model was collected using a self -report questionnare from 216 middle-aged women in Pusan City. The Data was collected from May to June, 1999. Reliability of the seven instruments tested with Cronbach s alpha was ranged from .86-.94. For the data analysis, SPSS 7.5 WIN Program and LISREL 8.12 WIN Program were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variance structural analysis. The results of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were as follows: 1. The hypothetical model showed a good fit with the empirical data. [ χ2/df =2.87(p=.72), GFI=1.00, AGFI=.98, RMSR=.025, NFI=.99, standardized residuals(-1.44∼1.44) ]. 2. To heighten for the parsimony and fitness of the model, a modified model was constructed by deleting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statistical significance and meaning. 3. The modified model also showed a good fit with the data. [χ2 =5.26(01=7,p=.63), GFI=.99, AGFl=.97, RMSR=.025, NFI=.99, standardized reslduals(-1.50∼1.45) ] Results of the testing of the hypothesis were as follows : 1. Self-esteem(β42=-.48, t=-5.64) had a negative and perceived life stress(β43=.20, t=3.21)had a positive direct effect on depression. Meaning of life had a negative direct(β41=-.17, t=-2.19) and a negative indirect effect through self-esteem on depression. Volunteer activity had a negative indirect effect through meaning of life, meaning of life and self-esteem on depression. Health status had a negative direct and a negative indirect effect through meaning of life, meaning of life and self-esteem on depression. Economic status had a negative indirect effect through perceived life stress on depression. Self-esteem was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 2. Volunteer activity(γ11=.43, t=6.78) and health status(γ12=.35, t=4.88) had positive direct effect on meaning of life. 3. Meaning of life(β21=.50, t=6.53) had a positive direct effect on self-esteem. Volunteer activity had a positive indirect effect through meaning of life on self-esteem. Health status had a positive direct(γ22=.18, t=2.23) and a indirect effect through meaning of life on self-esteem. Meaning of life was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 4. Economic status(γ33=-.44, t값=-6.01) had a positive direct effect on perceived life str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self-esteem had the most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depression. Meaning of life and health status had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his self-esteem. Volunteer activity and health status had direct effect on meaning of lif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re is a need to develope intervention to promote degree of self-esteem and allevate degree of depression in middle-aged women. Key Words: Middle-aged women, Depression, Meaning of life, self-esteem, perceived life stress. ; 중년기는 발달주기상 전환점으로서 여성은 특히 신체적으로 폐경과 노화를 경험하며, 심리적으로는 자아를 재평가하게 되고 가족역할에서는 자녀들의 독립에 따른 역할상실 등을 경험하게 된다. 중년기 여성들은 이런 변화들을 경험하면서 자신을 더욱 수용하고 보다 폭 넓은 관점을 발달시켜 성숙을 이룩하기도 하지만 지금까지의 역할에 가치를 부여하지 못하고 정서적 성숙을 갖추지 못한 여성들은 불안과 내적 긴장이 심화되어 기분저조, 불안정, 신경과민, 건강염려증, 불안, 우울 등과 같은 정서장애를 경험하기도 한다. 우리나라 여성들의 23.0%에서 우울증이 일생 중에 발생하며, 여성의 단극성 우울증은 40-50대가 가장 많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김수지 1989).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기 여성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인과 매개변인을 통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의 구체적인 경로와 그 영향력을 규명하여 중년기 여성의 우울을 통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틀을 제공함으로써 대상자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실제적인 간호중재의 지침을 마련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은 선행연구와 문헌고찰을 토대로 중년기 여성의 우울을 설명, 예측하기 위한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여 모형의 적합도와 가설을 검정하는 공분산 구조분석연구이다. 연구의 모형은 중년기 여성의 우울에 관한 선행연구와 문헌고찰을 통하여 찾아낸 신체적, 환경적 그리고 사회심리적 변인으로 구성되었으며, 신체적 변인과 환경적 변인은 외생변인으로 사회심리적 변인을 매개변인으로 가설모형이 설정되었다. 신체적 변인에는 건강상태, 환경적 변인에는 경제상태와 자원봉사 활동이 변인으로 포함되었다. 사회심리적 변인에는 삶의 의미와 자아존중감, 지각된 생활스트레스가 포함되었다. 그리고 이들 변인들이 결과변인인 우울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과 인과적 구조를 밝히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P광역시에 거주하는 연령이 만 49-59세이며, 막내자녀가 중학교 재학이상인 중년기 여성 216명이었다. 자료수집은 1999년 5월 25일부터 6월 20일까지 자가보고식으로 이루어졌으며, 총 216부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가설적 모형검증과 수정모형의 검증은 LISREL 8.12 WIN Program을 이용하여 이루어졌으며, 이 과정에서 모형의 부합도를 좋게 하면서 이론적 구조간의 의미있는 해석을 유도할 수 있는 간명한 모델로 구성하였다. 모형검정의 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중년기 여성의 우울정도에 대한 이론적 개념틀은 실제자료와 잘 부합됨이 증명되었다. 즉 모든 부합지수가 이상적인 수치(χ2=3.51, p-vlue=0.89, GFI=1.00, AGFI는 0.98, RMSR=0.024, NFI=0.99)로 나타나 실제자료와 잘 맞는 모형으로 나타났다. 연구를 통하여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우울에 대해서는 자아존중감이 직접적으로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은 건강상태로 직접 또는 삶의 의미와 삶의 의미 및 자아존중감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은 삶의 의미로 직접 또는 자아존중감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고, 지각된 생활사건스트레스는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상태는 지각된 생활스트레스를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자원봉사 활동은 삶의 의미와 삶의 의미 및 자아존중감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변인들은 우울을 59%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에 대해서는 삶의 의미가 직접적으로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강상태가 직접 또는 삶의 의미를 통해 간접적으로, 그리고 자원봉사 활동이 삶의 의미를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들 변인들은 자아존중감을 38%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삶의 의미에 대해서는 자원봉사 활동이 가장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강상태 역시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들 변인들은 삶의 의미를 31%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생활스트레스에 대해서는 경제상태가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제상태는 지각된 생활스트레스를 20%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 확인된 이론변인들은 모두 우울을 적절하게 설명할 뿐 아니라, 우울에 미치는 경로를 확인시켜 주었다. 또한 이들 각각의 이론변인들 간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자원봉사 활동, 건강상태, 경제상태, 삶의 의미, 자아존중감, 지각된 생활사건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경로나 상대적인 중요도를 확인하고 이들 이론변인들에 영향을 미치는 자원봉사 활동, 건강상태, 경제상태의 설명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의 결과는 중년기 여성의 우울을 감소시키거나 예방하기 위한 간호중재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자원봉사 활동과 건강상태 및 삶의 의미는 간호사들이 중재할 수 있는 변인들로, 자원봉사 활동과 건강의 유지 증진에 대한 교육, 상담, 프로그램의 제공 및 경험나누기 등을 통한 간호중재는 중년기 여성의 우울감소에 효과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간호이론 측면에서는 선행연구와 광범위한 문헌고찰을 통하여 중년기 여성의 우울에 영향력이 큰 변인들을 중심으로 포괄적인 예측모형을 구축하였으므로 기존의 연구에서 한층 발전하였다는 데에 이론적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으며, 간호연구 측면에서는 이론적으로 구축된 모형을 종합적으로 검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 간호실무 측면에서는 대상자의 신체적 특성과 환경적 특성 및 사회심리적 특성과 관련된 변인들을 중심으로 중년기 여성의 적응수준을 도와 주고, 예방적 수준에서의 간호중재수립을 계획하는 데 실제적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