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068 Download: 0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행동 척도 개발 연구

Title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행동 척도 개발 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for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parenting behavior inventory' perceived by adolescent
Authors
허묘연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태련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parenting behavior inventory perceived by adolescent and verify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Even though many parenting behavior inventories were developed and used, they didn t include pathological aspects of parenting behaviors or reflect Korean specific parenting, and have many problems related to verification process. So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a parenting behavior inventory which is appropriate for Korean adolescent. In order to develop such a inventory, preliminary factors for parenting behavior and their appropriate items were constructed based on literatures. And the final parenting behavior inventory was constructed through scale development, cross-validation and predict validity.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1461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846 subjects were participated in for scale development study, and 615 subjects were participated in for cross-validation and predict validity. The 80 items of parenting behavior inventory were generated through literatures, and the content validity of this initial inventory was verified by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ists. Preliminary 10 factors were affection, rejection, monitoring, physical abuse, discipline through reasoning, neglect, overprotection, inconsistency, over-expectation and control. Total items were 80 and each factors includes 5-10 items. In the scale development stage, item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internal consistency were used to assess the initial inventory. As a result, significant factors were 8 factors and 43 items were selected. And then,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o cross-validate the factor structure, this factor structure was fitted well. Consequently, the final parenting behavior inventory consisted of 4 items for monitoring, 5 items for reasoning, 4 items for inconsistency, 6 items for over-expectation, 7 items for intrusiveness, 6 items for physical abuse, 5 items for neglect and 6 items for affection. I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actor order was different between father and mother. So, as a matter of convenience, listed factor order is based on factor analysis of paternal parenting behavior. To confirm predict validity of the final inventory,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discriminant analysis performed.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tal score of final paternal parenting behavior inventory predicted adolescent s total problem behavior well, and in the order of intrusiveness, neglect, affection, monitoring, and inconsistency of the paternal parenting behavior predicted adolescent s total problem behavior significantly well. Total score of final maternal parenting behavior inventory predicted adolescent s total problem behavior well, and in the order of intrusiveness, neglect, inconsistency, and affection of the maternal parenting behavior predicted adolescent s total problem behavior significantly well. As the result of discriminant analysis, both parents total parenting behavior score discriminated well between problem behavior group and non-problem behavior group. Among the paternal parenting behavior factors, neglect, intrusiveness and affection discriminated two groups, and in the maternal parenting behavior factors, neglect, intrusiveness and affection discriminated two groups significantly well. Therefore the final inventory s predict validity was confirmed. The parenting behavior inventory which is developed and validated in this study is a reliable and valid instrument for assessing parenting behavior, positively or negatively influencing adolescent s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Especially, this inventory is expected to be useful for assessing parents of adolescent who visit clinical setting, and ultimately helpful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adolescent behavior problems. ; 본 연구는 부모 양육행동을 평가하기 위해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행동 척도를 개발하고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국내외에서 사용되고 있는 부모 양육행동 척도들의 문제를 보완할 뿐 아니라 임상장면에서 유용하고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는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문헌고찰과 사전연구들을 바탕으로 부모의 양육행동이 어떤 요인들로 구성되어 있는지 알아보고 요인과 문항을 소아청소년 정신과 전문의가 평가함으로써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이를 통해서 구성된 예비 부모 양육행동 척도에 대해 요인분석과 교차타당화를 위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이 척도의 준거관련 (예측) 타당화 연구를 하여, 부모의 양육행동이 실제 청소년의 문제행동을 어느정도 유의미하게 설명해주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지역 일반 인문계 중·고등학생 남녀로서 총 1461명이었다. 척도개발은 846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확인적 요인분석 및 준거관련 타당화에서는 6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문헌고찰과 사전연구 및 전문가의 검토를 바탕으로 10개의 잠정적인 구성요인을 설정하였는데, 이는 애정, 거부, 감독, 학대, 합리적 설명, 방치, 과잉보호, 비일관성, 과잉기대, 과잉통제의 10개 요인이었으며, 총 80개의 문항이 제작되었고 각 요인별로 5-10개의 문항이 포함되었다. 예비로 제작된 부모 양육행동 척도에 대해 문항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의 결과를 고려하여 8개의 요인을 부모양육행동의 의미있는 구성요인수로 결정하였고, 이에 포함된 문항은 총 43문항이었다. 각 요인별 신뢰도는 내적일치도가 .68에서 .86으로 비교적 만족스러운 수준이었다. 또한 교차타당화에서 8요인 43문항이 잘 부합됨을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구성된 부모 양육행동 척도를 요인별로 살펴보면, 아버지 양육행동 척도의 요인 1은 감독(4문항), 요인 2는 합리적 설명 (5문항), 요인 3은 비일관성(4문항), 요인 4는 과잉기대(6문항), 요인 5는 과잉간섭(7문항), 요인 6은 학대 (6문항), 요인 7은 방치(5문항), 요인 8은 애정(6문항)으로 명명하였다. 어머니의 양육행동도 같은 요인으로 구성되었고, 각 요인에 같은 문항이 포함되었으나, 묶인 요인의 순서가 아버지 양육행동 척도와 달랐다. 즉 요인 1은 과잉간섭, 요인 2는 과잉기대, 요인 3은 학대, 요인 4는 애정, 요인 5는 합리적 설명, 요인 6은 감독, 요인 7은 방치, 요인 8은 비일관성으로 명명할 수 있었다. 최종 부모양육행동 척도의 준거관련(예측)타당화 연구를 위해 회귀분석과 판별분석을 하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최종 아버지 및 어머니 양육행동 척도의 총점은 실제 청소년의 정신병리를 반영하는 총문제행동 점수를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 또한 아버지 양육행동 척도의 요인 중 과잉간섭, 방치, 애정, 감독, 비일관성의 순서로 청소년의 총문제행동 점수를 유의미하게 예측하였고, 어머니 양육행동 척도의 총점은 청소년 총문제행동 점수를 유의미하게 예측하였고, 또한 과잉간섭, 방치, 비일관성, 애정의 순서로 총문제행동 점수를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 판별분석 결과, 최종 부모 양육행동 척도의 총점은 문제행동집단과 비문제행동집단 (문제행동을 나타내지 않는 집단)을 유의미하게 변별해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아버지의 양육행동 척도의 요인 중에서는 방치, 과잉간섭, 애정요인이, 어머니의 양육행동 척도에서는 과잉간섭, 방치, 애정, 비일관성 요인이 두 집단을 유의미하게 판별하였다. 따라서 최종 부모 양육행동 척도가 준거관련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되고 타당화된 부모 양육행동 척도는, 청소년의 정서적, 행동적 문제에 영향을 주는 부모의 양육행동을 평가할 수 있는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로 볼 수 있다. 특히 실제 문제행동이나 정신병리를 나타내어 임상장면을 방문하는 청소년의 부모 뿐 아니라 일반 청소년의 부모의 양육행동을 평가, 검토할 수 있도록 하며, 궁극적으로는 청소년의 문제에 적절한 개입이나 부모교육을 제공하는 등, 치료 및 예방적 측면에서도 유용한 가치를 지닐 것으로 판단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