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구본관-
dc.contributor.author한미진-
dc.creator한미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47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47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216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70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2161-
dc.description.abstractThis thesis is concerned about the evaluation of lexicon competence.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many evaluation tools for selection and administration have been developed, but there are few test tools that analyze and diagnose the basic Korean language ability.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evelop the evaluation questions of lexicon competence for highschool freshmen students. Chapter Ⅰ suggested the necessity and the purpose of this thesis, and introduced the course and the critical point. Chapter Ⅱ found an answer to a question, why I estimate lexicon competenc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section A examined the definition of vocabulary and lexicon competence. Section B analyzed the part which refers to vocabulary in the 7th curriculum. Section C made detailed contents of lexicon competence for examination questions. Section D investigated vocabulary of existing argument and selected the vocabulary which became the object of the test. Chapter Ⅲ searched appropriate methods and developed test tools. Section A discussed what is the suitable item types of written test for evaluation of lexicon competence. Section B showed the process of making questions for an examination. Section C gives 68 highschool freshmen students, both boys and girls a test with the chosen questions. Section D analyzed the result of the examination. The essential element of analysis is how successful the test was in measuring lexicon competence of that students in the respect of item difficulty, item discrimination, validity, and reliability. It is an important subject to find out what abilities students lack and the problem of the questionnaire. Section E proposed how the result of the examination may be applied to actual classes. This thesis confirmed the evaluation of lexicon competence help extend synthetic thinking as well as the ability to use Korean. In 7th curriculum the factor of vocabulary education has many problems in the respect of range and depth. The vocabulary of Korean text book of highschool disagreed with intellectual levels of students. This is the reason why the study of vocabulary have to continue by many investigators. The most deficient field of students' lexicon competence is the application of vocabulary. Students who speak mother tongue can make mistakes that they know vocabulary well, so the test should continue to confirm whether the use of word is really recognized or not. They get poor marks in the direct meaning of vocabulary although good marks in grasping the meaning of a word from the context and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words. The morphology of vocabulary should remain in the field of lexicon competence in spite of the argument to exclude it. The best mean of indicating word is given in an examination with the context. In order to cultivate both the ability of comprehension and expression in lexicon, it is required to harmonize with objective and subjective questions. We need to make efforts to improve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level of test items. These efforts will accomplish extending lexicon competence as an evaluating tool for fundamental Korean language ability of students.;본고는 기초 능력으로서의 어휘를 중심으로 가장 연구가 부족한 평가 영역에 관심을 가진다. 현재 국어과 평가에서 주로 개발된 도구는 선발과 관리를 위한 평가만 있을 뿐 국어능력의 기반인 어휘력을 진단하고 분석할 기초 검사 도구가 없다. 본 연구는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어휘력을 측정하기 위한 어휘력 평가도구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선행 연구를 검토하며, 연구 방향 을 소개하였다. Ⅱ장에서 어휘력을 왜 평가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찾으려고 하였다. A절에서는 어휘력의 개념 및 중요성을 살펴 어휘력 평가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도모하였다. B절에서는 그리고 7차 교육과정에서 어휘와 관련하여 다루고 있는 부분을 찾고 분석하였다. C절에서는 고등학교 1학년 과정을 바탕으로 어휘력의 내용을 구성하여 평가 내용을 명세화 하였다. D절에서는 기존의 논의에서 나온 평가 대상 어휘를 알아보고 해당 과정에 적합한 어휘를 선정하였다. Ⅲ장에서는 Ⅱ장에서 정리한 내용에 근거하여 어휘력 평가에 적절한 평가 방법을 모색하여 문항을 개발하였다. A절에서는 평가의 실제 방법을 문항 유형과 문항의 양호도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B절에서는 평가지를 제작하는 과정을 예시하였다. C절에서는 제작된 평가지로 남여 공학 고등학생 1학년 2개 학급을 대상으로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D절에서는 평가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은 내용별, 문항 유형별 문항의 난이도 · 변별도 등의 문항 양호도를 중심으로 하면서 결과에 대한 세부 내용을 분석하여 학생들에게 부족한 점을 살피고 평가지의 문제점을 파악하는 것이었다. 또한 E절에서는 평가 결과를 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어휘력 평가는 국어 사용 능력뿐이 아니라 종합적 사고력을 신장하는데 도움이 됨을 알고 평가 문항의 지속적인 개발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현행 교육과정에서 어휘교육 요소는 폭과 깊이 면에서 모두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평가 어휘 중 등급별 어휘에 비하여 교과서의 어휘를 이용한 문항의 점수가 더 낮게 나왔다.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어휘들은 학생들의 학습 수준에 맞지 않았기에 교육과정이 개정될 때마다 교과서의 어휘가 적당한지를 검토하는 연구가 개정과 함께 지속되어야 한다. 적정한 평가 대상 어휘가 체계적으로 목록화되어 교과서 개발에 활용되어야 한다. 학생들에게 가장 부족한 어휘력 영역은 화용 · 의미 · 형태순이었다. 특히 화용 부분은 모국어 화자인 학생들에게 어휘는 자칫 알고 있다고 생각하고 넘어가기에 실수하기 쉬우므로 계속 확인하는 선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어휘의 문맥적 의미나 의미관계에 비하여 사전적 의미를 파악하는 능력이 부족했다. 어휘의 형태 영역은 어휘력 평가에서 제한하자는 논의에도 불구하고 학교 교육을 통하여 평가 대상으로 남아야 한다. 문항 유형별 분석 결과는 어휘력에서 이해와 표현 능력을 함께 신장시키기 위하여 선택형과 서답형 문항을 적절히 활용하는 것이 좋고, 어휘 제시 방법으로는 문맥제시형 문항이 어휘력 평가에 가장 좋았다. 학생들의 출발점 수준을 진단하고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도록 기초 능력 검사 도구로서 어휘력 평가 방법이 좀더 질적 · 양적으로 확대된다면 어휘력 신장에 도움이 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iv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선행연구 = 2 C. 연구의 방향 = 5 Ⅱ. 어휘력 평가의 내용 = 6 A. 어휘력에 대한 이해 = 6 B. 교육과정 검토 = 11 C. 어휘력 평가 내용 명세화 = 22 D. 평가 대상 어휘의 선정 = 33 Ⅲ. 어휘력 평가의 실제 = 36 A. 문항에 대한 검토 = 36 B. 평가 문항의 제작 = 49 C. 평가 실시 = 63 D. 평가 결과 = 66 E. 평가 결과의 활용 및 제언 = 80 Ⅳ. 결론 = 84 참고문헌 = 87 부록 = 91 초록 = 10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9640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dc.title국어과 어휘력 평가 문항 개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10학년 지필 검사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questions of Lexicon Competence-
dc.format.pagev, 10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