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82 Download: 0

가사의 심미적 체험을 위한 교수 · 학습 방안 연구

Title
가사의 심미적 체험을 위한 교수 · 학습 방안 연구
Other Titles
The research for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an aesthetic experience of Gasa : Especially related to
Authors
박수진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성기옥
Abstract
고전문학은 현재 우리의 삶 속에서 함께 숨쉬고 있을 때에 진정한 가치가 있다. 따라서 고전문학 교육에서 우리가 가장 먼저 해야할 일은 우리의 삶 속에 고전문학을 어떻게 끌어들일 수 있는가에 대해 고민하는 일이다. 그동안의 고전문학 교육은 훈고 주석적 작품 해석으로 일관해 온 것이 사실이다. 작품에 대한 고답적 접근과 복잡한 해석의 방법은 학습자로 하여금 고전문학에 대해 거부감을 갖게 하였으며, 흥미를 느끼지 못하게 만들었다. 뿐만 아니라 인지적 영역의 학습 활동에만 치우친 나머지 작품의 감상 과정에서 느낄 수 있는 미적 체험에 대해서는 소홀히 해왔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 의식에서 출발하여 고전문학 교육을 정상화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모색해 보고자 한다. 작품의 바람직한 이해와 감상을 위해서는 그 작품의 주변적 사실을 인식하면서도 여기에 얽매이지 않고 작품을 심미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보다 유연한 방식이 요구된다. 이 유연한 작품 감상의 방식은 특히 고전문학에 있어 더욱 의미를 갖는다. 고전문학은 현대문학과는 다른 시각으로 접근해야 한다. 당대인의 삶이 오늘날 우리의 삶과는 현저하게 차이가 있기 때문에 당대인의 삶 속에 들어가 작품을 바라보는 태도가 필요하다. 이러한 태도는 텍스트 상황의 이해에서 비롯된다. 텍스트 상황이란 작품 창작을 둘러싼 모든 상황을 말하는데, 현대의 삶의 양식과는 다른 삶을 살아온 선조들의 문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텍스트 상황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는 인지적 영역만을 중시해온 기존의 문학 교육 방법과도 차이가 있는데, 당대인의 삶 속으로 들어간다는 것은 정의적 영역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는 교육 방법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의에서는 텍스트 상황의 이해를 바탕으로 한 인지적 · 정의적 영역의 통합 교육을 위해서 우선 조선전기 사대부 의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조선전기 사대부의 문학에는 정치적 · 사회적 역학 관계 속에서 그들이 갖게된 출처의식과 자연관이 형상화되어 나타난다. 사대부에게 있어 나아가 경국제민의 이상을 실현하고, 물러나 자연 속에서 수신궁리의 도를 즐기는 것은 그들의 가치의식을 대변하는 생활의 양면이다. 그러므로 조선전기 사대부 의식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당대의 정치적 · 사회적 현실과 사대부의 출처의식 그리고 자연관에 대해 알아볼 필요가 있다. <관동별곡>의 텍스트를 이해하는 과정에서는 앞에서 살펴본 사대부의 의식 세계와 출처관 및 자연관이 어떻게 형상화되어 나타나고 있는지를 중심으로 고찰해 보았다. 이상 세계의 실현을 지향하는 이념적 정서와 자연 속에서 느끼는 풍류적 흥취는 서로 상보적 관계를 맺으며 조화를 이루고 있다. 이 두 정서가 어떠한 관계를 맺으며, 어떠한 방식으로 결합하고 있는 지를 살펴보는 것은 <관동별곡>의 심미적 체험을 위한 교수 · 학습 방안을 구안하는 데 있어 미적 체험의 요소를 찾는 단서로 작용한다. <관동별곡>의 심미적 체험을 위한 교수 · 학습 방안은 미시적 측면과 거시적 측면에서 접근해 보았다. 언어적 표현의 아름다움과 자아와 자연과의 관계를 통해 알 수 있는 미적 체험은 텍스트 분석 차원의 미시적인 심미 체험이라면 작품 구조와 전개 양상을 통해 이념과 흥취의 갈등과 조화를 살펴보는 것은 거시적 측면의 심미 체험이다. 이렇게 추출된 미적 체험의 요소는 실제 교수 · 학습 활동에 적용시켜 볼 수 있다. <관동별곡> 교수 · 학습 활동은 ‘진단단계→계획단계→지도단계→평가단계→내면화단계’를 통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본시 학습에서 핵심이 되는 지도단계는 문답식 학습지를 이용해 학습 목표를 달성하고 있다. 문답식 학습지는 교사와 학생 간의 대화를 전제로 하여학습지를 구성해 보았다. 심미적 체험을 위한 <관동별곡> 교수 · 학습 과정은 단지 개별 텍스트의 이해와 감상의 방법에만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가사 문학은 물론 고전문학 전반으로 확장될 수 있는 교수 · 학습 방안이다. 학습자는 작품의 심미적 체험을 위한 교수 · 학습 방안을 통해 미적 체험을 할 수 있게 되고, 나아가 스스로 고전문학 속에서 삶의 가치를 찾고, 감동을 얻으며, 즐거움을 느낄 수 있게 될 것이다. 따라서 심미적 체험을 위한 교수 · 학습 활동은 학습자들이 작품을 바르게 이해 · 감상하고 미적 감수성과 문학적 상상력을 기를 수 있는 작품 읽기를 할 수 있다는 학습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교수 · 학습 방안이다.;Classical literature is truly valuable only when it forms a part of our daily life. Therefore, in respect of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the first thing that we have to think about is how to integrate our daily existence with classical literature. It is true that commentary and annotation in the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have adhered to traditional analyses. A highbrow approach and complicated analysis of literature, however, have caused readers to feel very uncomfortable with and indifferent to classical literature. Furthermore, given the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s emphasis on cognitive development, it has marginalized the aesthetic experience, which is a part of our appreciation of works. This paper analyzes the normalization of the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from the foregoing critical perspective. To properly understand and appreciate any work of art, a more flexible methodology is required, one which enables a reader to appreciate its aesthetics; acknowledging the background of works while at the same time not being bound by it. This flexible methodology is particularly more valuable in respect of classical literature. We have to approach classical literature differently than with modern literature. Because our contemporary lives are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ose represented in classical literature, classical literature must be seen from the perspective of people who lived them. This approach starts with understanding "the textual circumstances", which consist of totality of circumstances surrounding the creation of works. to understand the textual circumstances, we have to understand the life during the old times. In this regard, it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literary education which focused on cognitive domain, so entering the old people's life can be an educational way to promote the activation of the emotional area. To integrate cognitive development with and affective domain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text circumstance, this study examines Sardaeboo(who was the novel of Chosun Dynasty) spirit of the former Chosun Dynasty. The Sardaeboo's literature of the former Chosun Dynasty represents the contemplation of entering into or leaving from public service and a view of nature, which they took in their political and social relationships. The life of Sardaeboo had both sides. One is the realization of ideal that join the mundane world and administrate the state to relieve the people's suffering. The other is the enjoyment of the doctrine that cultivate their morals and seek after the truth in nature. Therefore, we need to investigate the political and social reality, the contemplation of entering into or leaving public service and the view of nature at that time in order to understand of the Sardaeboo spirit of the former Chosun Dynasty. This study focuses on how represents the above world of Sardaeboo spirit, the contemplation of entering into or leaving from public service and the view of nature in the course of understanding of "Kwandongbyulkok" text. The ideal emotion aiming at realization of utopia and the idyllic emotion which anyone can feel in nature harmonized with each other having complementary relationships. Seeking the relationship of the above two emotion and the way of harmonization with each other can be a clue which can make find an aesthetic experience factor to plan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aesthetic experience of "Kwandongbyulkok". This study uses both microscopic and macroscopic viewpoints to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aesthetic experience of "Kwandongbyulkok". As aesthetic experience that people can recognize through the beauty of linguistic expression, ego and nature is the microscopic experience, as investigation of conflict and harmony between ideology and enjoyment through works' structure and development aspect is an aesthetic experience from the macroscopic viewpoint. This aesthetic experience factor can be applied to the real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Th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can be completed in the course of 'diagnosis → plan → direction → appreciation → internalization'. The process of directions can complete the educational purpose using the interrogatory paper. The interrogatory paper was consisted of the dialogue between a teacher and a student.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for an aesthetic experience of "Kwandongbyulkok" is the method for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of separate text, and the process can be applied to the general classical literature including 'Gasa' literature. The reader can undergo an aesthetic experience through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the purpose of an aesthetic experience of works. Furthermore, the reader can feel the value of life, impression and pleasure. Therefor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involving aesthetic experience is very effective method for educational purpose that can make learners properly understand and appreciate works, and can make learners read through works for cultivation of aesthetic sensibility and literary imagin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