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2 Download: 0

어휘력 신장을 위한 사전 찾기 사례 연구

Title
어휘력 신장을 위한 사전 찾기 사례 연구
Other Titles
A Case Study on Looking up in a Dictionary to Improve Vocabulary Ability
Authors
성시정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구본관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ut forward an improvement plan of looking up a meaning of a word in the dictionary, which is being utilized most widely on the educational field as one of plans to strengthen vocabulary ability, and to present a method of internalizing the habit to look up a word in a dictionary that learners do not know. In the 7th curriculum, the third instance for the first semester of 4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is contained the educational activity to look up a meaning of a word in the dictionary. However, as a result of examining on the actually educational site, even though many learners look up a new vocabulary in Korean dictionary, they were experiencing difficulty in finding out with which word interpretation it was used among variously meaning interpretations that are presented in the dictionary. Accordingly, this study was verified its effect by reorganizing curriculum and training so that learners can correctly select a meaning in Korean dictionary, which was used in writing. As Chapter II was presented as to the kinds of vocabulary and the importance of vocabulary ability, it clarified that the education of vocabulary needs to be attained targeting the learning vocabulary. Also, it emphasized that vocabulary ability has close relationship with the ability of creatively using Korean language as the capability of comprehensively using language in understanding and freely using, which connects the external structure and the internal structure in writing. And, it examined how this important vocabulary ability is being now guided in the Korean-language curriculum and textbook for elementary school and presented many problems of vocabulary education based on contents. Aiming to solve these problems in this vocabulary education, it reorganized to set out an instructional method of looking up in a dictionary, which is being much used on the educational field. First of all, it is to be divided into a word that a learner needs to understand a meaning, the word that needs to be practically utilized through a sentence, and a word that needs to be additionally expanded a meaning in the context that a learner is already knowing. On the basis of this classification, it allowed a learner to search for only a meaning in Korean dictionary, to utilize a word directly in a sentence, and to be active in looking up a proper meaning among vocabularies that had several meanings. Chapter III was verified its effect by teaching actual learners in an instructional method of looking up in a dictionary, which was reorganized in the above. It applied the differently instructional course, respectively, to two groups that were identified to be co-essential group through the pre-test. The control group guided literally as being shown in a textbook, and the experimental group allowed a learner oneself to find out a meaning of the word, by including an item that needs to be selected the meaning of various vocabularies, which were found out in a dictionary after reading the writing. It arranged the guidance contents by instructional scope in the experimental teaching that was progressed with totally four instructional scopes, and compared pretest and posttest. In consequence of comparison, the experimental group could be confirmed the significant result of better looking up a meaning of vocabulary than the control group. Chapter IV was stressed a point that a learner needs to train in searching for a meaning in the writing that was used a word, in the instructional plan for looking up in a dictionary in terms of current curriculum, while being arranged the above discussion. Given trying to find out a significance of this study, it clarified a point that a learner is experiencing difficulty unexpectedly in choosing a meaning of a word in the process of looking for in a dictionary, and reorganized curriculum so that the difficulty in selecting its meaning can be decreased through training. And, a learner is expected to utilize a method of searching for in a dictionary as the strategy that can beef up vocabulary ability, by continuing to perform in Korean-language teaching even though being not the unit to look up in a dictionary.;이 연구는 어휘력을 신장시키는 방안 중의 하나로 교육 현장에서 가장 널리 활용되고 있는, 사전에서 낱말의 뜻 찾기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 학습자들이 모르는 낱말을 사전에서 찾는 습관을 내면화시키는 방법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제7차 교육과정에는 초등학교 4학년 1학기 셋째 마당에 사전에서 낱말의 뜻을 찾는 교육 활동이 실려 있다. 그러나 실제 교육 현장에서 살펴본 결과, 많은 학습자들이 새로운 어휘를 국어 사전에서 찾더라도 사전에서 제시되어 있는 여러 가지 뜻풀이 가운데 어떤 낱말 풀이로 사용되었는지를 찾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이 국어 사전에서 글에서 사용된 낱말의 뜻을 바르게 고를 수 있도록 교육 과정을 재구성하여 훈련을 시켜 그 효과를 검증했다. Ⅱ장에서는 어휘의 종류와 어휘력의 중요성에 대해서 제시하였으며, 어휘 교육에서는 학습 어휘를 대상으로 한다는 것을 밝혔다. 또, 어휘력은 글의 표면 구조와 내면구조를 연결시키는, 이해하고 구사하는 포괄적인 언어 사용 능력으로 창의적인 국어 사용 능력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이렇게 중요한 어휘력이 현재 초등학교 국어 교육 과정과 교과서에 어떻게 지도되고 있는지를 살펴본 후, 그 내용을 토대로 어휘 교육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어휘 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교육 현장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사전 찾기 지도 방법을 재구성하여 제시하였다. 일단 학습자가 의미를 파악해야 할 낱말, 그리고 문장을 통해서 실제로 활용해야 할 낱말, 그리고 학습자가 이미 알고 있는 의미에서 추가적으로 의미를 확장해야 할 낱말로 구분하는 것이다. 이러한 분류를 바탕으로 학습자는 국어 사전에서 뜻을 찾기도 하고, 사전에 나와 있는 예시문을 참고로 문장을 만들기도 하였으며, 사전에 등재되어 있는 여러 가지 의미 중에서 글 속에서 쓰인 뜻을 찾기도 하였다. Ⅲ장에서는 앞에서 재구성한 사전 찾기 지도 방법을 실제 학습자를 대상으로 지도하여 그 효과를 검증했다. 사전 검사를 통해 동질 집단임이 확인된 두 집단에 각각 다른 지도 과정을 적용하였다. 통제 집단은 교과서에 나와 있는 그대로 지도했으며 실험 집단은 글을 읽고 사전에서 찾아낸 여러 가지 낱말의 의미를 선택해야 하는 항목을 넣어 학습자 스스로 낱말의 의미를 찾아내도록 하였다. 총 4차시로 진행된 실험 수업의 차시별 지도 내용을 정리하고 사전 사후 검사를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 실험 집단은 통제 집단보다 낱말의 뜻을 잘 찾는, 유의미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Ⅳ장에서는 앞의 논의를 정리하면서 현재 교육 과정의 사전 찾기 지도 방안에 학습자가 낱말이 사용된 글 속에서 의미를 찾는 훈련을 추가해야 하는 점을 강조했다. 이 논문의 의의는 사전 찾기 과정에서 학습자가 예상 외로 낱말의 의미 선택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점을 밝혔다는 것과 그 의미 선택의 어려움을 훈련을 통해 감소하도록 교육 과정을 재구성했다는 점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