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
dc.contributor.author김영미-
dc.creator김영미-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45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45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93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68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932-
dc.description.abstract이 논문은 안서 김억의 시를 대상으로 시어와 운율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통하여 안서시의 가치를 재평가하고, 안서의 문학사적 위치를 자리매김하고자 하는 것이다. 안서는 근대시의 초기 활동한 시인으로, 시가 언어로 쓰여진다는 점을 선구적으로 인식하고, 언어의 문제에 깊이 천착한 시인이다. 시텍스트의 면밀한 검토를 통하여, 그가 결코 단순하고 미숙한 시를 쓴 시인이 아니라, 의도되어지고 계산된 언어 실험을 보여주는, 지적 태도를 갖고 있었음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안서시는 전통지향의 구심력과, 외부 지향의 원심력이 만드는 긴장 위에서 존재한다. 이는 안서가 시에서 끊임없이 보여주는 실험성의 내적 동인으로 작용한다. 구심력은 안서시에서 정한으로 대표되는 전통적 정서와 민요형식의 리듬 등이 이루는 축이다. 원심력은 번역활동으로 외국시와의 접촉에서 형성된 축이다. 안서의 번역시는 프랑스 상징주의시 중심의 서구시와 동양의 한시로 크게 양분된다. 이들은 본질면에서 음악성을 추구하는 멜로포에이아란 상동성을 갖고 있다. 원심력은 안서에게 음악성을 시의 아이덴티티로 인식하도록 하고, 이를 추구하도록 나가도록 만든다. 「역시불가론」을 내세운 안서의 독특한 시번역은 A → A 로의 언어적 의장을 바꾸는 형태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것은 A란 시를, 우리말로 완전히 탈바꿈하여, 다시 동일한 A를 만드는 A → A의 과정을 의미한다. 따라서 안서에게서 번역은 언어적 복사를 의미하는 것이며, 번역의 과정은 하나의 시를 완벽하게 복사할 수 있도록 언어를 배치하는 것이다. 안서의 번역에서 중요한 것은 의미 전달을 위한 충실한 언어 전환이 아니라, 다른 언어로 전환하였을 경우 잃을 수밖에 없는 그 시 자체를 다른 언어로 재현해내는 것이다. 즉 시어의 의미를 그대로 다른 언어로 바꾸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시어가 그 시에서 담당하고 있는 의미 이상의 것까지 담당해낼 수 있는 다른 언어를 선택하고 효과적으로 배치하는 것이다. 안서시의 시적 진술에 나타난 시어 배열의 양상을 살펴보면, 음운의 층위에서 안서는 일정한 음가를 시에 조직하고 배열하여 시적 소리결poetic sound을 만들고 있다. 어휘의 층위에서 안서시에서 사용된 고유어의 유연성은 안서에게 언어 개입의 가능성을 열어놓는 것이다. 또한 안서시에서 조사는 의미의 중층성을 만들어내고, 텍스트에서 의미의 구조망을 형성하는 형성하는 중요 기제이며, 음악적 효과를 갖는 중요 어휘로서 존재한다. 안서시에 보이는 독특하고 다양한 종결어미들은 안서가 어미의 시적 가능성를 중시하고 궁구한 결과로 보아진다. 통사적 층위에서 안서는 새로운 통사 규칙을 만들어, 이것이 텍스트를 생성해내는 법칙이자, 통사적 결속 기제로서 작용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안서시 텍스트가 보여주는 통사적 배분의 규칙성은 통사의 공간화를 만들어낸다. 이것은 텍스트가 시간의 계기성에 의해 진행되는 나가는 것이 아니라, 공간의 계시성에 의해 진행되어 나가도록 만든다. 안서는 개화기 이후 시가 지속적으로 산문화되어지는 운율의 소실 현상에 대응하여, 산문과 구별되는 시의 정체성으로 운율을 규정하고, 우리시에서 그것을 만들어내는 방법을 모색한다. 또한 우리시에서의 운율의 생성방식을 패턴화하여 제시하고자 했는데, 이를 끝까지 몰고 나간 것이 격조시라는 규칙적인 운율을 가진 시이다. 안서시의 운율은 의도적인 행과 연의 배치를 기저로 하여 형성된다. 유사한 음의 모티브가 행에서 규칙적인 반복성으로 살아남으로써, 음질의 측면에서 균제의 운율을 만들어낸다. 또한 안서시에의 비례구조는 음량의 측면에서 시메트리의 운율을 만들어 내는데, 이것은 균형과 안정감의 리듬이다. 안서는 시텍스트에서 언어에 대한 다각적인 실험과 섬세한 기법을 보여주고 있다. 연속적인 개고 과정에 있는 안서시 텍스트의 유동성은 이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그는 의도적인 시어 배치를 통하여 텍스트에서 만들어지는 언어의 소리가 의미와 상관성을 갖도록 하고자 하였다. 또한 우리말이 가진 시적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멜로포에이아를 지향하는 안서시에서 시어의 선택과 배치는 신중하고도 정치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의미는 약화되고 있다. 안서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근대시사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이 높이 평가되어져야 할 것이다. 첫째 동·서양의 모색을 통해 시를 전체적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 우리말에 대한 시어로서의 자각과 가능성을 모색했다는 점이다. 셋째, 전통성이 내재된 현대성을 추구하고 있다는 점이다. 넷째, 패턴화된 법칙에의 주조와 반동이 가능성을 열어놓고 있다는 점이다. 다섯째, 여성편향성과 탈현실의 시적 전통을 수립한 것이다. 안서가 보여준 언어의 다양한 언어 실험과 모색은 이후 근대시의 모습이 정립되어 나가는 데 하나의 준거가 되고 있다. ; This paper intends to study the properties of poetic diction and rhythmi cal in An-seo Kim-uk s poetic text,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resent poems and them, to revalue An-seo s poems, and to give him his due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An-seo is a poet and poetic theorist in the beginnig of Korean modern poems. But evaluated negatively and not studied enough, he can be said to be excluded in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poems. An-seo s poems have value and significance in the way of intrinsic methodology, not in the way of historical approach. Because he recognized that the poems are written in words and focused on the words. Through studying his poetic text, it will be proven that An-seo is not a clumsy poet writing simple and poor poems, but a one experimenting the use of words according to his thorough plans, in this paper. In addition, this paper will make it clear that his poetic diction has had exclusive influence on the following Korean modern poems. An-seo s poems stand on the tension of between the centripetal force i.e. the tradition and the centrifugal force i.e. the reformation. This tension plays a role as an intrinsic motive of the spirit of experiment which is seen constantly. His experiment of words means the confrontation with the world, which is integrated into the acquirement of speciality and universality. The identity of poems, which stand between the centripetal force and the centrifugal force, is obtained by the transformation and rhythm of words. For this poetic indentity he makes the poetic sound, which is called euphony, by organizing and arranging regular phonetic values in phonological level. He uses his own strategies like the vowel direction through weakening of consonants, the arrangement of vowels and the regularity of it for the musicality. An-seo uses many characteristic ones in the lexical level. The flexibility of the characteristic(Koyu) words lets him to involve the words. He transforms the characteristic words into the individual ones, which means the enlargement of words including not only the transformation of sounds and forms but also that of meanings. He also replaces the case particles with the special ones. The former is an important mechanism to produce the multiplicity of meanings and to form the network of structures and they are important words with musical effect. The peculiar and various terminating endings of words, unlike the general forms of them, in his poems are resulted from An-seo s attitude to value and seek the poetic possibility of endings of words. The search and enlargement of the words used in his poetic text has significance as an experiment about the poetic possibility of our characteristic Korean words. In the syntactic level he makes new syntactic rules and lets them operate as new rules to generate texts and as a syntactic binding mechanism. The transformation of syntactic combination in his poems is not a simple inversion of word order but a calculated structure making the elaborate combination and change possible in the whole syntax composed of a single stanza. This elaborateness increases the force of syntactic combination in the text. And the regularity of syntactic distribution in An-seo s poetic text makes the space-ization(Kong-gan hwa) of syntax. The space-ization of syntax helps the text progress not by the opportunity of time but by the one of space. The multiplicity of An-seo s poems is described by this opportunity of space. An-seo identifies the rhythm as poetic identity distinguished from the prose and seeks the way of introducing the rhythm into our poems to cope with the situation in which the poems are consistently changed into the prose after the period of enlightenment. This shows his agony about the way to form the rhythm of our poems and his self-awakening of the phonetic properties of our language, Korean. An-seo wanted to patternize the way to generate the rhythm in our poems and in the end produced Kyuk-cho poems with regular rhythm. The rhythm of An-seo s poems is formed on the basis of intentional arrangement of stanzas and lines. The lines in his poems are the basic units of which the motive of tone is composed and play a role as the frame of the amount of tone. When the motive of similar tones revives through the regular repetition in the lines, the total amount of tones in a line is organized to make up the symmetrical segment. This shows that the lines of An-seo s poems have a proportional structure. This structure makes the rhythm of symmetry. An-seo shows the multidimensional experiment and fine skills of words in his poetic text. This means the confrontation with the world as words. The flexibility of An-seo s text in the process of continuous change shows the confrontation between An-seo s words and the world. The text, which exists as a process not a result, means the search of descriptive way about poems as word expressions. Therefore for him the words exist as a feeler of experiment. He was worried about how the poems could be embodied to be universal ones. An-seo is never a poet passing through the beginning of our modern poems easily. In the following points he deserves to be valued in the history of modern poems. First, he recognized the poetic universality and speciality through the search of oriental and western civilization. Second, he himself realized and studied the possibility of our words as poetic words. Third, he sought the modernity including tradition. Fourth, he used the casting and reaction of patternized rules. Fifth, he established the poetic tradition of women-inclination and off-reality. His study of our poetic pattern and his various experiments which he shows in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modern poems are now playing a role as a criterion to establish the modern poem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 개요 ----------------------------------------------------------- ⅲ Ⅰ. 서 론 ----------------------------------------------------------- 1 A. 문제의 제기 ----------------------------------------------------- 1 B. 연구사 검토 ----------------------------------------------------- 5 C. 연구의 범위와 방법 ---------------------------------------------- 17 Ⅱ. 안서시의 원심력과 구심력 ---------------------------------------- 24 A. 안서시의 두 방향성 ---------------------------------------------- 24 B. 원심력과 멜로포에이아 ------------------------------------------- 27 C. 구심력과 전통성 ------------------------------------------------- 36 Ⅲ. 시적 진술에 나타난 시어 배열의 양상 ----------------------------- 43 A. 시적 소리결의 조직과 배열 --------------------------------------- 43 1) 자음의 약화와 모음지향성 --------------------------------------- 44 2) 조음된 모음과 배열의 축조성 ------------------------------------ 52 3) 유포니와 정서의 언어적 환치 ------------------------------------ 59 B. 어휘의 선택과 탐색 ---------------------------------------------- 70 1) 고유어 채용과 언어에의 개입 ------------------------------------ 70 2) 조사와 어미 처리의 확장 ---------------------------------------- 77 3) 어휘에 대한 시적 가능성의 모색 --------------------------------- 87 C. 통사 구조의 조성과 결속 장치 ----------------------------------- 94 1) 통사의 변형과 구문의 생성 -------------------------------------- 94 2) 구문의 반복과 통사의 공간화 ------------------------------------105 3) 의도화된 결속의 통사 구조 --------------------------------------114 Ⅳ. 운율적 특성과 형태적 구조 ---------------------------------------119 A. 운율 형성의 실험과 모색 -----------------------------------------119 1) 시형과 음보의 조절 ---------------------------------------------120 2) 운의 배치와 의미 -----------------------------------------------125 B. 균제와 시메트리의 운율 ------------------------------------------128 1) 음질 조성과 균제의 운율 ----------------------------------------128 2) 비례 구조와 시메트리의 운율 ------------------------------------134 C. 운율의 패턴화와 고착성 ------------------------------------------139 1) 시의 정체성과 운율의 고정 --------------------------------------139 2) 운율의 패턴화와 격조시 -----------------------------------------145 Ⅴ. 안서시의 언어 의식 ----------------------------------------------150 A. 의미와 음조의 조화 ----------------------------------------------150 B. 언어 실험과 가능성의 모색 ---------------------------------------157 C. 멜로포에이아와 의미의 약화 --------------------------------------162 Ⅵ. 안서의 근대시사적 위상 ------------------------------------------168 A. 동·서양의 모색을 통한 시 인식의 전체성 --------------------------168 B. 우리말에 대한 시어로서의 자각과 가능성 모색 ---------------------173 C. 전통성의 내재와 현대성의 추구 -----------------------------------181 D. 패턴화된 법칙의 주조화와 반동 -----------------------------------188 E. 시의 여성편향성과 탈현실 ----------------------------------------196 Ⅶ. 결론 ------------------------------------------------------------202 참고 문헌 -----------------------------------------------------------207 ABSTRACT ------------------------------------------------------------21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6556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김안서 시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subtitle시어와 운율적 특성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study on Kim AN-seo's poems : base on thepoetic diction and rhythmical propertie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200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