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9 Download: 0

栗谷 李珥의 詩文學 硏究

Title
栗谷 李珥의 詩文學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Yul-gok Yi I's poetry
Authors
홍학희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
Abstract
문학을 통해 道를 구현할 것을 주장하는 사림파 문학은 조선조 사림의 제 1 세대인 성종조 신진 사림과 제 2 세대인 중종조 사림을 거치면서 상대적으로 詞章을 중시하는 훈구파 관각 문인들과 크고 작은 갈등 관계 속에 대립적 위치를 점유하였다. 그러나 16세기 중반에 이르러 사림의 정치적 입지가 확고해지게 되면서 문학에 있어서의 詞章과 道學의 대립 역시 자취를 감추었으며 이제 더 이상 도를 위주로 하는 문학을 해야 한다는 것에 이의를 제기하는 세력은 아무도 없게 된다. 대신 성리학의 발전을 중심으로 학파 간에 다양한 사상적, 문학적 지향을 노정하게 되었으니 조선 중기의 문학 연구는 사림파 문학 내에서의 다양한 분화의 양상을 살피는 작업이 되어야 할 것이다. 본고는 바로 이 시기에 退溪 李滉과 더불어 당시 조선의 사상과 문화를 주도하였던 栗谷 李珥의 문학에 대하여 살펴보려는 것이다. 조선의 주류 문화인 성리학의 양대 산맥 가운데 하나인 이이의 문학을 짚고 넘어간다면 전후 사림파 문학의 흐름은 물론, 기타 비주류 문학을 이해하는데도 상당한 도움이 될 것이다. 특히 이이의 主氣論的 학문과 사상은 여러 면에서 조선 후기의 실학 사상과 일정한 맥을 대고 있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는 만큼, 문학에 있어서 역시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지 짚고 넘어갈 필요가 있다. 이이는 가장 바람직한 文은 道가 발현된 것이라고 보는데, 道와 文의 결합 형태를 규정하는 데 있어서 道本文末 貫道之器 載道之文 文以形道 등 여러 용어를 뒤섞어 가며 사용하고 있다. 이는 모두 크게 보아 載道論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나 다만 이제까지 쓰이지 않던 文以形道 라는 술어를 구사함으로써 文은 道의 본질을 구체적으로 보여줄 것을 적시하였으니, 이는 구체적 사물 현상을 중시하는 그의 주기론적 사상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는 가장 바람직한 도와 문의 관계는 실제적인 데 근거한 도가 내면에 온축되어 있다가 자연스럽게 흘러 나오는 것이라고 보았는데, 이러한 이상적인 문장을 이루기 위해서는 文에 있어서의 氣之大 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보고 그것의 궁극적인 경지인 浩然之氣를 이루기 위해서 끊임없이 심성을 연마할 것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전반적인 문학론 아래 그는 살아있는 말의 정수는 文辭이며 그 가운데 가장 빼어난 것이 詩라 하여 시의 중요성을 인정하면서, 시가 나아가야 할 방향으로 人事와 天道를 모두 아우르는 깊이와 넓이를 확보할 것과 優柔忠厚하여 性情之正 에 귀일될 것을 요구하였다. 우유충후는 내용적 측면에서의 변함없이 한결같은 진중한 마음, 상대방을 향하는 너그러운 마음에서 오는 수사법적 측면에서의 완곡하게 에둘러 말하기등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이며, 여기에 더하여 나름대로 도학을 통하여 얻어진 성정의 경지에서 사물을 진솔하게 바라보고 자연스럽게 표현하는 것이 性情之正 에 귀일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이이의 시론은 「精言 選」에 제시된 풍격과 선집된 시를 통하여 보다 구체화되어 나타나고 있는데, 무욕의 담담한 정서 상태에서 질박하고 자연스러운 언어로 대상을 노래하되 무한한 정취와 온축된 의미를 담고 있는 沖澹蕭散을 제 1격으로 하여, 욕심을 버리고 스스로 만족할 줄 알면서 심신을 온화하고 편안하게 유지하는 가운데 흥에 깃들어서 나온 시로 속세를 벗어난듯한 느낌을 주는 閒美淸適, 세속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둔 淸新灑落, 시의 의경을 치밀하게 구상하는 用意精深, 인간의 감정을 읊되 절도에 맞을 것을 요구하는 情深意遠, 필력이 굳세고 의경이 응원하여 정신을 흥기시키는 格詞淸健, 인위적인 기교와 감각적이고 화려한 문채를 구사하여 정감을 흥기시키는 精工妙麗, 도를 밝히는 시인 明道韻語를 차례로 실어놓았다. 이 가운데 1) 외물에 대한 욕심과 집착을 버림으로써 삶에 달관하여 온화하고 담담한 시경을 꾸밈없이 자연스럽게 담아내는 沖澹蕭散· 閒美淸適· 淸新灑落 등의 풍격을 가장 이상적인 시의 전범으로 내세우고 있으며, 2) 그 다음으로 用意精深· 情深意遠· 格詞淸健· 精工妙麗 등은 시의 참된 모습을 잃어가고 있는 것으로 보았다. 이들 시는 작법의 수련을 통하여 인위적으로 시의 창작에 힘을 기울인 것이라는 데 위의 세 풍격과 가장 큰 차이가 있다. 3) 여기서 이이는 시의 말폐를 구제한다는 의미에서 明道韻語로 끝을 맺어 근본으로 돌이키고자 한다고 하였다. 실제 이이가 창작한 시세계를 살펴보면 1) 明道韻語類는 다른 사림파 시인들에 비해 비교적 소략한 편인 것으로 보이며, 2) 심성 수양에 바탕한 청정한 기상을 감상이나 수식의 개입 없이 담담하게 표출해내는 沖澹蕭散類의 시세계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들 시는 겉으로 보면 단순한 경물시 같지만 실제로는 이이의 정신적 경지를 담고 있는 시로서, 형이상학적 理의 세계를 직접 읊기보다는 주로 성정을 음영하는 양상을 띠고 있다. 이는 天道와 人性이 완연히 혼융일체되고 문예적인 면과 說理的인 면이 통합됨으로써 가능한 시경으로 物累가 전혀 없는 이이의 높은 기상을 조작 없이 자연스럽게 표출하고 있다. 3) 반면에 인위적인 작법에 근거한 用意精深類의 시는 거의 보이지 않고, 대신 문학론이나 『정언묘선』에 언급되어 있지는 않지만 현실에 근거한 실제적이고 외부지향적인 성향의 시세계를 볼 수 있다. 창화시를 즐겨 씀으로써 시의 상호 교유의 기능을 중시했다든지, 적극적인 유람의 체험으로 산수 기행시를 많이 지은 점, 시적 제재와 표현에 있어 紀實의 정신을 중시하고 장시화 및 산문화 경향을 보인 점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는 현실을 중시하는 그의 주기론적 사상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 것으로 2)와 3)의 시세계야말로 이이 시세계의 양대 특징을 이루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이이 시문학의 특징을 당시의 대표적인 도학자들의 시와 비교해보면, 홀로 잠심하여 수양에 임하는 가운데 우주 생명과의 초월적 교감과 우주적 유열을 즐겨 읊은 李彦迪의 시나, 순수 관념의 시공간 안에서 사물의 이면에 내재되어 있는 인간학적 의미의 理를 궁구하는 李滉의 시, 그리고 실천적 도덕으로 무장한 유자의 준엄한 기상과 그에 바탕한 淑世 및 救世의 정신을 직설적으로 토로한 曺植의 시와도 다른 것이다. 이이의 시는 우유충후와 충담소산등 사림파 문인들이 보편적으로 추구하던 미의식을 공유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 氣를 중시하는 사상으로 인해 현실을 중시하고 허구를 배제하는 紀實的 시세계를 견지하고 있는데, 이는 확실히 조선조 후기의 실제적이고 질박한 경향을 추구하는 문학의 흐름과 상당히 밀접한 관련을 갖는 것으로 東岳 李安訥과 三淵 金昌翕등의 시에서 그러한 시정신이 계승된 흔적을 엿볼 수 있다. ; Over the first generation Neo-Confucian Literati(士林)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g-jong(成宗) and the second generation Neo-Confucian Literati during the time of King Jung-jong(中宗), the literature of the Neo-Confucian Literati(士林) who stressed the embodiment of Tao(道) through literature came to stand in confrontation against that of the meritorious elite(勳舊派) who emphasized the rhetoric(詞章). However, by the mid-16th century when the political stance of the Neo-Confucian Literati was consolidated,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rhetoric(詞章) and Tao(道學) disappeared. There was no more voice objecting to the idea that literature has to be concentrated in revealing Tao. Instead, each of the academic schools began to show diverse philosophical and literary inclinations based on the development of confucianism. Thus, the study of Mid-Choson period literature should be focused on seeking the various different aspects of each of the branches of literature of the Neo-Confucian Literati. This thesis is an inquiry into the literature of Yul-gok(栗谷) Yi I(李珥) who led the thoughts and culture of Choson along with T oegye(退溪) Yi Hwang(李滉). Studying the literature of Yi I, which was one of the two major flows of confucianism, will help understand both the major and minor literary flows of the Neo-Confucian Literati around his time. Since Yi I s thoughts which attach greater importance to ki, the concretizing and energizing element as opposed to i, the formative element, is understood as having close relations with the Practical Learning(實學) of late-Choson period in many respects, it is a meaningful task to study what roles he played in literature. Yi I uses various terms to expound the form of combination between Tao and literature( 道本文末 貫道之器 載道之文 文以形道 ). And they all emphasize the greater importance of Tao(道). He uses the term shaping Tao(道) through literature (文以形道) for the first time, suggesting that the literature should embody the substance of Tao. This is related to his philosophy in which he values ki, the concretizing, more material element. He conceives that the most idealistic combination of Tao(道) and literature(文) is the state in which Tao(道) based on practical element is accumulated deep inside and flows out naturally. To attain such an ideal state, he indicated that the great ki(氣之大) should be accomplished first in literature. He stressed the need to cultivate oneself infinitely to attain the vast-flowing spirit(浩然之氣), which is the ultimate goal. In such a theory of literature, he admitted the importance of poetry by saying that rhetoric is the essence of living words, and that poetry is the most outstanding among them. He suggested that the poetry should be directed toward securing depth and width that combine both the matters of men(人事) and the heavenly Tao(天道). He also demanded one should attain the generous state of mind and euphemism(優柔忠厚) to ultimately reach the upright cultivated disposition(性情之正). By the term, generous state of mind and euphemism(優柔忠厚), he seems to have meant that one should sustain a constant, reserved, and generous attitude toward others in contents, and euphemism in rhetoric. In addition to this, he understood, one should observe things frankly and express naturally from the sphere of a cultivated disposition(性情) attained through self-cultivation. Yi I s poetics is revealed more clearly in his elucidation of the poetic styles and a selection of his poems as presented in the book, 精言 選. He placed in the first rank the poetic style called Chung-dam-so-san(沖澹蕭散) that sings of the subject in a simple and natural language out of a serene and disinterested state of mind but which contains the infinite sentiment and hidden meanings. It is followed by Han-mi-cheong-jeok (閒美淸適) which refers to the style that s free from greed, satisfied with oneself, and that maintains mild and comfortable state of body and mind, but written out of excitement, Cheong-shin-sweo-rak(淸新灑落) which maintains a certain distance from the worldly affairs, Yong-eui-jeong-shim(用意精深) which thoroughly envisions the sphere of poetry, Jeong-shim-eui-won(情深意遠) which sings of men s sentiments but demands it to be moderate, Gyok-sa-jeong-geon(格詞淸健) which shows a firm style with broad sphere and arouses the spirit, Jeong-gong-myo-ryo(精工妙麗) which uses artificial techniques and sensual and brilliant style, thus arousing the emotion, and Myong-do-un-o(明道韻語) which reveals what Tao is. Among these poetic styles, 1) he says such styles as Chung-dam-so-san(沖澹蕭散) , Han-mi-cheong-jeok(閒美淸適) , and Cheong-shin-swe-rak(淸新灑落) which abandon the greed and attachment, thereby taking a broad outlook of life, and describe the mild and plain poetic world in an artless and natural manner were presented as the most ideal model for poetry. 2) he judges styles like Yong-eui-jeong-shim(用意精深) , Jeong-shim-eui-won(情深意遠) , Gyok-sa-cheong-gon(格詞淸健) and Jeong-gong-myo-ryeo (精工妙麗) lost the true aspect of poetry. He says they concentrate on the composition of poetry artificially through training, and thus are very different from the former one. 3) Here, Yi I says he rounds up his theory with Myong-do-un-o(明道韻語) and tries to restore the originality in an effort to remedy the corrupt poetry. Looking into Yi I s world of poetry that he composed himself, we find that 1) in the case of Myong-do-un-o(明道韻語) style, his poems are relatively simpler than those of the poets belonging to the Neo-Confucian Literati School, 2) his poetry mostly pursues the chung-dam-so-san(沖澹蕭散) style in which he plainly expresses his pure spirit based on cultivation of himself devoid of sentimentalism or rhetorical flourish. These poems seem like simple poems that describe things, but in fact contains Yi I s spiritual sphere. Rather than singing the world of metaphysical world of i directly, he mainly sings of the cultivated disposition(性情) of men. This is the poetical sphere which can be attained only when the heavenly Tao(天道) and men s disposition(人性) have become perfectly mixed and united and when the rhetoric and philosophical aspects are integrated. They reveal the high spirit of Yi I artlessly and naturally. 3) On the other hand, we cannot find any Yong-eui-jeong-shim(用意精深) style poetry based on an artificial composition method. Instead, although it s not mentioned in his theory of literature or in his writing, Jeong-eon-myo-seon(精言 選) , we can see his poetry is based on real life and is directed toward the outer world. That is attested by the fact that he wrote many chang-hwa-shi(창화시) poems valuing the role of poetry in associating with other people, that he wrote many poems of travelogue after actively travelling around the nation, and the fact that he laid importance to the spirit of recording facts(紀實) in selecting the poetic materials or in expressing, and showed his tendency of writing long poems and prose-style poems. This is closely related to his philosophy of giving primary emphasis to ki, which makes him value the reality. We can say that numbers 2) and 3) represent the two major characteristics of Yi I s world of poetry. If we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Yi I s poetry with that of his contemporary scholars, we can see that it is different from the poetry of Yi Eon-jeok(李彦迪) who stayed in solitude while engaging himself in moral self-cultivation and who enjoyed singing of his sympathy with the universe and universal pleasure, that of Yi Hwang(李滉) who sought the role of i, which is immanent on the other side of things in the time and space of pure ideology, and that of Cho shik(曺植) who frankly disclosed the spirit of confucian scholars armed with stern morality and the spirit to save the world based on it. Yi I s poetry holds in common with the aesthetic consciousness the literary figures of Neo-Confucian Literati school generally pursued while he sustained the spirit of recording the fact (紀實) in his world of poetry due to his philosophy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ki, It s closely related to the literary flow of pursuing the practical and plain tendency of late Choson period. We can see that such poetic spirit was inherited by Dong-ak(東岳) Yi An-nul(李安訥) and Sam-yon(三淵) Kim Chang-heup(金昌翕).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