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9 Download: 0

글로벌 자본의 현지화와 지역여성의 정치

Title
글로벌 자본의 현지화와 지역여성의 정치
Other Titles
Localization of global capital and local women politics
Authors
이숙진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여성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조순경
Abstract
This thesis has its background on the author s interest in how globalism acts in the micro economic place and also what kind of relationship it has established with the women of the local community. To illustrate, this paper focuses on how local women view the identity of global capital entities through everyday interaction rather than through mere statistical figures, and if they have a special relationship with global capital, understand why such relationships have been established. The author has, through this paper, sought to answer these questions by analysis of antagonistic relations that have been formed between female members in the local community and the transnational corporate entities in the retail distribution industry that have advanced into the Korean economic society. As a case research of a single company in a single region, this thesis is based on the qualitative method, collecting data through intervie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lobal capital and the local women can been analyzed as a complicated form of conflict and resistance that was inherent in the localization process of the transnational entities, and as a process of dissemination of particular discourse, focusing on industrial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case example that was the subject of study for this thesis was configured of various interests, such as race, gender or class, among workers, purchaser and local residents that formed the multi-layered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corporate entity and the local women. This is why the local women society did not understand the relationship as a forthright association, with labor being subordinate under the rule of the global capital. Further more, the state s deregulation policy, through which it tried to disconnect itself from the complex relationship, has also become a factor that has compounded the hostility between the global capital and the local women. As mentioned above, the main pillar of state policy was deregulation, in order to induce foreign transnational companies to advance into the Korean economic arena. The foreign companies had also requested that the state enact deregulation policies so that their managerial activities may be freely conducted without any institutional interference from the local government. However, unlike the dissertation in the global era, calling for "a united world", the process of localization for the transnational distribution companies had turned into a that for confirming the institutional and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the local community and the transnational corporations. This clearly showed that the gap in language and economic rationality and the consequent antagonism still exist, unresolved. The relationship between capital and labor is not a unilateral one, nor are their conflict of interests limited to a single factor. There were in fact, various interest relations, also causing conflict and collision, among nation-state members, laborers, local residents and female members of the society. It was in such a complicated world of conflicting interests that the state had abandoned its responsibility to regulate the nation, increasing conflict and creating a motivation for resistance. The French transnational company and the Korean local women had experienc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rade union system and the female employment policy. Female workers were able to recognize their position as defined by the state through their experiences working in the transnational companies. Full-time employment in the French companies also provided the opportunity to enhance the status of married women as part-time workers in the domestic working environment, where women were treated low and had to risk unstable employment. The unilateral pay rates that were applied to the limited type of work open to women also divided roles according to gender and thus caused antagonism in the Korean society, where men(fathers) were perceived as being the only bread-earners in the family. Unlike men who were relatively more accustomed to the promotion conditions for pay increase, married women were less free in moving residence and had limited opportunity to be hired for full-time jobs and thus, were excluded from the promotion system. However, while men were more bound to bolt from trade unions in order to be promoted, women tended to remain in the unions. But as the companies employment policy was aiming for lower employment standards and at the same time extended working hours, the company came to confront resistance from married women employees. In a society where women had to be solely responsible for domestic labor and as far as such practices remain unchanged in the society, women were trying to sell only their limited labor hours, and had to conflict with the transnational entities whose aim was to extend working hours. This had become the ground for organizational resistance through trade unions. As the corporate entities tried to increase profits through competition by lowering pay rates, female workers responded with negligence to profit loss and irresponsible attitudes to their duties in the workshop, leading to collective struggle against re-establishment of labor unions. Despite the localization policy of the transnational corporations, the negligent attitude of the government was represented from not only state deregulation policies but also from the indifference to the cause of conflict between the two parties. There were no legal regulations on working hours, no definition of holidays, no settled employee treatment rules for full and part time workers, no adherence of rules set for application of equal work equal pay, and gender-based role definitions. Such limits clearly showed the female members the gap between transnational enterprises and state institutions and also created a motivation for antagonism and opposition against such practic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tribution industry in which the purchaser has the power to select,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entities and female workers became extended to other yet unaffected areas. Female members were now able to directly affect the performances of the transnational corporations as buyers and consumers in the distribution industry. In other words, it was these buyers and consumers that led the consumer boycott against the transnational distribution companies in commercial circles around their residential areas. Such campaigns brought into the surface the ethnic -based antagonism against the method of profit accumulation on the part of the transnational corporations. The local women are less than the actors leading the everyday politics in a state s legal and institutional environment. It was none other than these actors that were confronted with collisional and opposed relationship with their counterpart. Another problem existed in the fact that, as the global capital weakened the economic sovereignty of the state while requesting deregulation in local trade practices, the state was required not to interfere nor adjust interests or relations between the corporate entities and the local female society. However, the non-conditional deregulation policy had, contrary from expectations, rather become the cause of conflicting interests, necessitating the role of the state as a mediator for narrowing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nflicting parties. Reducing working hours, closing shops once every week, applying a equal work equal pay, providing appropriate treatment for part-time workers, and establishing government policies contributing to local community cannot be perceived as being only loss-making factors to the global capital entities. The case examples demonstrated in this thesis has shown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pital owners in this global era and the female labor community is not one-dimensional or unilateral, and also how sentimisms of resistance and antagonism has been created among the female society during the localization of the transnational corporations. Through these examples, the author has tried to present the necessity of the role provided by government policies as long as the global era does not result in a state of anarchy or disorder, and also argue for the need for change in the government role to become the mediator between transnational corporations and the local women. ; 본 논문은 글로벌리즘이 미시적인 경제공간에서 어떻게 작동하고 있으며, 지역여성들과 어떠한 관계를 구성하고 있는 지에 대한 관심에서 시작되었다. 통계적 수치나 지표가 아니라 일상적인 경험속에서 여성들은 글로벌 자본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으며, 만약 글로벌 자본과 여성들이 특정한 경험을 갖고 있다면 이러한 경험은 왜 발생하는 것인가. 이러한 의문을 본 논문은 한국에 진출한 초국적 유통기업의 현지화 과정과 지역여성들간에 발생하는 갈등의 경험을 분석하고, 이를 국가의 탈규제 정책과 관련하여 설명하고자 했다. 단일 지역의 단일 기업에 대한 사례연구인 본 논문은 면접법을 통한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글로벌 자본과 지역여성의 관계는 산업적, 지역적 특성을 중심으로 초국적 기업의 현지화 정책에 내재한 복합적인 갈등과 저항, 그리고 특정한 담론의 유통과정으로 분석했다. 본 연구의 사례에서 초국적 유통기업과 지역여성들은 노동자, 구매자, 그리고 지역주민의 다층적 관계로 민족, 성, 계급 등의 다양한 이해관계를 구성하고 있었다. 따라서 지역여성들은 글로벌 자본에 의한 로컬 노동의 지배라는 단순한 도식적 관계만을 구성하지 않는다. 그리고 이러한 복합적인 이해관계에 개입하지 않으려는 국가의 탈규제 정책은 글로벌 자본과 지역여성간의 갈등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될 수도 있었다. 국가 정책(state policy)은 초국적 유통기업의 진출을 위하여 탈규제를 주된 정책내용으로 삼았다. 또한 초국적 기업은 현지 국가(state)의 제도적인 간섭없이 자유로운 경영활동을 위해 탈규제 정책을 요구했다. 그러나 하나된 세계 를 주장하는 글로벌 시대의 담론과는 달리 초국적 유통기업의 기업중심적인 현지화 과정은 초국적 기업과 지역여성들이 그들 나라의 제도적, 문화적 차이를 확인하는 과정이 되었다. 언어와 경제적 합리성 등에 관한 차이와 그로인한 갈등은 글로벌 경제하에서 여전히 존재했다. 초국적 개별 기업내의 자본과 노동의 관계는 일방적인 것이 아니며 또한 이해관계의 갈등 역시 단일한 요소에 의한 것만은 아니다. 민족국가 구성원으로서, 노동자로서, 지역주민으로서, 그리고 여성으로서의 다양한 이해관계가 발생하고 충돌했다. 이러한 복합적인 갈등이 발생하는 가운데 국가의 탈규제 정책은 조정의 역할을 포기함으로써 갈등을 증가시키고 이는 저항의 동기가 될 수 있음을 본 사례는 보여주었다. 초국적 성격을 지닌 프랑스 유통기업과 한국 지역여성들은 그들 국가의 제도에 따른 노동조합제도와 여성고용정책 상의 차이를 경험했다. 지역여성노동자들은 초국적 기업에서의 고용경험을 통해 그들 자신의 국가가 규정한 여성노동에 대한 지위를 인식할 수 있었다. 프랑스 기업의 실질적인 시간제 노동에 대한 정규직 고용은 임시직으로서의 고용불안과 보다 낮은 대우를 감수해야 하는 국내에서의 시간제 기혼여성노동자의 지위를 제고하도록 했다. 동일 노동에 대한 동일 임금의 적용 역시 성별화된 직종에서 남성 가장에 의한 생계부양과 가족임금 이데올로기가 지배적인 한국사회의 성별분업구조와 갈등을 일으켰다. 임금상승을 위해 승진기제에 더욱 잘 통제되는 남성노동자들과는 달리 거주지 이동이 자유롭지 않고 주로 시간제로 고용된 기혼여성노동자들은 승진에서 배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배제는 남성노동자들이 승진을 위해 노동조합을 탈퇴하는 반면 여성노동자들로 하여금 노동조합에 잔류하도록 했다. 또한 더 낮은 노동기준을 향한 초국적 기업의 고용정책은 노동시간의 연장에 대한 기혼여성노동자들의 저항에 직면했다. 가족 내 노동의 여성전담이 구조적으로 변화되지 않는 한국 사회에서 기혼여성들은 제한된 노동시간만을 판매하고자 했으며, 이를 일방적으로 연장하려는 초국적 기업과 갈등을 일으켰다. 이는 노동조합을 통한 조직적 저항의 발단이 되었다. 더 낮은 노동비용으로 노동자들간의 경쟁을 통해 이윤을 증가시키려는 초국적 기업의 노동통제에 대하여 여성노동자들은 손실 발생에 대한 방관, 시간 때우기 식의 근무로부터 시작되어 노조 재결성에 의한 집단적 저항을 가져오게 되었다. 초국적 기업의 현지화 정책에도 불구하고 국가정책의 무간섭은 기존의 규제를 폐지함과 더불어 갈등이 유발되는 요소에 대해 개입하지 않는 것을 통해 나타나기도 했다. 영업시간에 대한 법적 규제가 없고, 휴무일에 대한 지정이 없으며, 시간제 노동자의 정규직에 비례한 대우가 정착되지 않고, 성별화된 직종과 동일노동 동일임금의 원칙이 지켜지지 않는 한국사회에서의 유통업 환경은 초국적 기업과 지역여성들로 하여금 국가의 제도적 차이를 인식시킴과 동시에 갈등과 저항의 동기를 마련한 것이다. 구매자로서의 권력이 작동되는 유통업의 특성은 초국적 기업과 지역여성들의 이해관계가 구성되는 영역을 보다 확대시켰다. 지역여성들은 구매자로서 소비와 유통을 담당하는 역할을 통해 초국적 유통기업의 이윤실현에 직접적으로 개입할 수 있다. 주거지역을 중심으로 상권이 형성된 초국적 유통기업에 대하여 불매의 담론을 유통시킨 것은 지역주민이자 구매자인 여성들이었다. 이들은 초국적 기업의 이윤축적방식에 대하여 민족 국가 구성원으로서의 갈등을 드러냈으며 이는 불매로 가시화되었다. 지역여성들은 국가의 법과 제도가 개입된 일상의 정치학을 작동시키고 있는 행위자이다. 이들은 국가 제도의 차이를 드러내는 초국적 기업과 갈등하고 충돌했다. 글로벌 자본이 국가의 경제적 주권을 약화시키면서 정책적인 탈규제를 주장하고 있는 맥락에서, 국가정책은 초국적 기업과 지역여성들간의 이러한 갈등에 개입하지도 조정하지도 않아야 한다는 역할을 요구받은 것이다. 그러나 무조건적인 탈규제화가 노동기준의 국가적 차이에 의한 글로벌 여성노동 갈등의 요인이 될 수도 있다는 점에서 이러한 차이를 조정하기 위한 국가의 역할은 오히려 강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영업시간을 제한하고, 1주에 한 번씩 휴점하고, 동노동임을 적용하며, 시간제에 대한 비례대우를 지키고, 그리고 지역사회에 기여하도록 하는 국가정책이 글로벌 자본에게 반드시 불리한 것만은 아니다. 본 연구의 사례는 글로벌 시대의 자본과 여성노동이 단일하거나 일방적인 관계를 구성하지 않으며, 초국적 기업의 현지화 과정에 개입하는 지역여성들의 갈등과 저항이 구성되는 경험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사례를 통해 글로벌 시대가 무정부, 무국가의 혼돈을 결과하지 않는 한 국가정책의 역할이 남아있으며, 따라서 글로벌 자본과 여성관계에 국가 역할의 변화가 필요함을 제기하고자 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