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혜순-
dc.contributor.author고연희-
dc.creator고연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43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43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61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66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610-
dc.description.abstract17세기 말 18세기 전반, 農淵형제(金昌協·金昌翕)와 그 門下의 문예그룹을 중심으로 山水紀行文學이 활발하게 지어졌고, 이들과 어울렸던 화가 鄭敾은 많은 紀遊圖를 제작하였다. 본 연구는 이들 山水紀行藝術(문학과 회화)을 하나의 文化現狀으로 보고, 이들 두 예술장르에 나타난 공통된 양상을 기반으로, 첫째 당시 산수기행예술이 활발하게 제작된 배경과 동기, 둘째 그 활발한 제작활동 속에서 지향되었던 예술적 지향의 내용을 고찰하였다. 배경과 동기를 고찰하고자 우선 장르적 배경을 보았다. 조선 전기와 중기에도 문단이나 화단을 풍미할 만한 성격은 아니었지만 지속적으로 산수기행문학이나 기유도가 그려져 왔다. 이는 농연그룹에서 산수기행문학과 기유도를 왕성하게 제작하는데 분명한 기반이자 전통이었다. 농연형제가 활동하던 당시 조선초기와 중기의 산수기행문학을 집대성한 편집물이 나왔으며 농연형제는 그 중에서도 16세기의 海東江西詩派(朴閭·盧守愼 등)의 산수기행시들을 새롭게 높이 평가하고 반영하면서 진솔하게 산수대상을 읊는 그들 나름의 입지를 밝혔다. 또한 농연집안에 明末淸初에 간행된 山水遊記集과 山水版畵集 등도 유입되어 장르적 배경이 되었다. 농연은 이러한 청나라로부터 유입된 문물들을 애독하였으며 작품에 반영하였다. 또한 화가 鄭敾은 중국산수판화집에 나타나는 독특한 산수표현을 완전하게 체득하여 우리 산수를 그려내는 기발한 표현을 創出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작품제작의 기반이 되었을 思想的 배경을 보면, 농연형제는 정통 노론의 학맥을 잇고 있지만 보다 경험적인 인성이해, 개방적인 학문관 및 현실적인 대청론을 보여주는 변화된 세계인식의 관점을 가지고 있었다. 명말청초의 학술과 문예를 폭넓게 흡수하고자 한 노력은 이러한 세계관과 상호인과적 관계에 있었던 것이다. 명말청초의 산수기행예술에 담긴 陽明學的 세계관이나 世俗化된 山水觀 등도 이들의 사유세계에 영향을 주었다. 농연그룹의 山水觀을 보면 奇勝絶景에 관심을 가졌고 그 절경됨을 꼼꼼히 品評하였으며 승경의 흥겨움을 體驗하고자 곳곳을 누볐다. 산수기행예술은 이러한 산수관과 산수유람을 통하여 제작될 수 있었다. 나아가 농연그룹의 문인들이 논의한 문예이론과 그들 작품에 드러난 표현의 특성을 통하여 농연그룹에서 이루어진 산수기행예술의 예술적 지향성과 특질을 살펴보면, 그들은 산수유람을 문학이나 회화로 기록하는 과정에서 산수(眞)와 예술(幻)의 변별에 대하여 논의하였고 이를 조합하고자 진지하게 탐색하였다. 幻으로서의 예술의 가치를 인정하였고 奇 한 심미적 형상화를 추구함으로써 興象으로 구현하고자 하였다. 이로써 산수에 逼眞한 산수기행예술을 창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문예론은 그들의 作品에 여실히 드러났다. 산수기행문학과 기유도를 나란히 놓고 그 공통된 표현양상을 살피면, 名山ㅇ로의 기행에서는 그 산봉이나 암석의 기이한 특성들을 부각하는 등 산수의 절경을 포착하고 표현하는데 주력하였고 동시에 절경에서의 감격을 직설적으로 말하고 山行의 수고로움과 등람욕구와 성취감 등을 묘사하여 유람의 흥겨움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江湖의 뱃놀이는 주로 그 풍요롭고 안락한 분위기로 강호의 특정이미지를 설정하였고, 수평적 수면의 맑고 평화로움에 유람자의 마음을 동화시키면서 물 위에서의 안락한 즐거움을 표현하였다. 그 가운데 유람자의 位置와 視點은 서술의 중심에 두었으며 기유도 화면에도 중요한 위치에 인물을 점철함으로써 산수기행문학으로서의 장르적 고유성을 확보하였다. 18세기 전반에 풍미하였던 농연그룹의 산수기행문학과 당시 최고의 인기를 누린 정선의 기유도는 조선중기에 이르는 도학적 무게에서 벗어나 쉽고 경쾌하게 우리의 멋진 산수를 전달하였다는 점에서 당시 크게 인기를 누릴 수 있었으며 산수유람의 극성스런 문화를 성행시킬 수 있었다. 말하자면 농연의 산수기행문학은 그들의 참신한 문예론의 구체적인 표현이자 성과였으며 당대 걸출한 기유도를 이끌어낸 역량 있는 문학활동이었다. 바로 이런 점에서 그 문학사적 의미와 문화사적 역할은 높이 평가받아야 할 것이다. 이후 18세기 후반을 거쳐 19세기로 넘어오면서 즐거운 산수유람의 예술화는 문단과 화단의 중심위치에서 물러나는 경향이 나타나지만, 농연그룹이 남겨준 문예이론과 예술적 성과는 다음 세대 문화의 변화 속으로 흡수되어 간 것을 볼 수 있다. 그런 한편으로 농연그룹이 제시한 산수기승과 유람흥취의 표현은 한 세기 후 민화나 국문가사 등으로 옮겨지면서 지속되는 면면한 생명력을 보여주었다. ; This thesis is to research literature and paintings that describe trips to beautiful natural scenery in the late period of Choson Dynasty. Then the literature of nature travel description and the painting of the same subject were produced abundantly, in which Nong-youn group and Jong-Son played important party. Nong-youn(農淵) means Nong-am (農巖 金昌協 1651-1708) and Sam-youn(三淵 金昌翕 1653-1722). Nong-youn group is composed of Nongam, Samyoun, and their students. Jong-Son, a contemporary eminent painter, was in the friendly relationship with the members of Nong-youn group. Here, two problems could be issued. One is the background or motivation of the plentiful production of nature travel description in the late Choson period, and the other is their artistic intention or orientation. To solve the two problems, this study takes four steps. (1) Nong-youn group s attitude toward traditional works and introduced Chiness works, (2) the group s thought and view of world and nature, (3) theory on the description of trip to nature, (4) particular representation and expression for description of the scenery and journey. In the early and the middle Choson Dynasty, before the Nong-youn group appeared, literature and paintings as record of trip to famous scenery had been produced. The works of Nong-youn group and Jong-Son were based on the precedent works, but not so thoroughly, because Nong-youn group wanted to present the scenery and their journey more vividly than the precedent works. Then, Chinese works of the late Ming early Ch ing period 明末淸初 were introduced to Choson. In the Ming明 Dynasty, artistic travel records were produced without interruption, and in the late Ming period, several edited volumes were issued, in which selected literary records and printed paintings were composed; Mingshanchi 名山記, Haineichikuan 海內奇觀, Mingshantao 名山圖, Taipingshanshuitao 太平山水圖, etc. Above all, the literary works of Kong-an pai 公安派, the published prints, and some paintings by amateur painters of late Ming period are influenced on Nong-youn group. Nong-youn group received the Chinese works and applied to their works. Today s some scholars emphasized national originality of the representation of Korean landscape by Nong-youn group and Jong-Son. But Nong-youn were very susceptible to the contemporary Chinese works, recognizing the real political situation that Qing淸 was reigning over China. Besides, they received the flexible thought of Chang-zu, Buddism and of Wang Yang-ming 王陽明, in opposition to the stubborn way of Chonfucian thinking. It s some remarkable that the group received Yang-ming s thought that was one of important factors in the Chinese modernization. Their receive capacity made themselves to absorb Chinese works. Although some scholars in nationalism above regarded the group s trip to famous mountains as an expression of affection for national land, Nong-Youn group s trip was just for seeing beautiful scenery. Their view points of nature came to be more experiential. They wanted to feel flavor and delight of nature trip. According to their records, trip to wonderful scenery was a kind of amusement such as appreciating painting, drinking delicious liquor, chatting with friends to one s taste, or what is more, seeing woman after one s heart. And they criticized and commented on the beauty of hills and waters; what mountain looks the best, what character makes the mountain so attractive, or what factor the place lacks, etc. Through travelling a lot of famous places in perso, they realized the real beauty of Korean nature. Nong-youn group looked for their own way to describe journey, and accomplished their own theory. They wanted to express the essence of nature and sensuous beauty of mountains and rivers. And through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of the real scenery which is real (眞 zhen) and represented scenery which could be fantastic expression(幻 huan), they sought to find and express eccentric beauty(奇 qi) of scenery, to complete fantastic expression. and then they appreciated their works each other, enjoying traveling in lying 臥遊 , relishing both of literature and paintings in comparative. Following their theory, to complete the fantastic expression, Nong-youn group found eccentric features of mountains and rocks and emphasized them in their works, and added particular imaginary to some impressive places. And they wanted to express their delight of journey. So they selected beautiful palces through their experiences of trip, and pointed out the prospect of the selected places pecially in their artistic records. On some places, as a rule, they used to express admiration at the beauty of nature, which became their own effective method to express the delight of journey. And their delightful works became in favour at the literati society of the late period of Choson Dynasty. There appeared a change in the next generation after Nong-youn group and Jong-Son. The writers and painters of new generation wanted more realistic and more elegant presentation, being tired of Nong-youn s affluent production and repeated expression. But, in fact, their change was based on the Nong-youn group s activity. Besides, among the change, the works of Nong-youn group and Jong-Son commanded contiunos popular favor. For example, many works of Nong-youn s were carried in Wayulog 臥遊錄, the late eighteenth century compilation of travel-records. And Nong-youn s works were put in a Chinese book compilated in the nineteenth century. Jong-Son s paintings were copied on the huge floding screens many times in nineteenth century. In summery, the works by Nong-Yong and Jong-Son gained popularity as an enjoyable works. And the works played significant roles in the culture of late Choson Dynasty, for their combination of tradition and newly introduced current, flexible thought and empirical thinking, epistemological discussion for understanding the virtue of travel description, and devices of effective express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目次 ---------------------------------------------------------------- ⅲ 國文抄錄 ------------------------------------------------------------ ⅴ Ⅰ. 序論 A. 문제제기 ------------------------------------------------------- 1 B. 연구의 방법과 범위 --------------------------------------------- 4 〈表1〉農淵그룹의 산수기행문학(遊記·遊詩)과 관련글 〈表2〉鄭敾의 紀遊圖와 관련글 Ⅱ. 산수기행예술의 전통과 중국신조류의 수용 A. 國內 전통의 기반 ----------------------------------------------- 17 1. 산수기행문학의 기반 ------------------------------------------- 17 2. 기유도의 기반과 영향 가능성 ----------------------------------- 32 B. 明末淸初 신조류의 수용 ----------------------------------------- 44 1. 산수기행문학에 대한 적극적 관심 ------------------------------- 46 2. 산수판화 및 회화의 창의적 활용 -------------------------------- 53 Ⅲ. 世界와 山水에 대한 인식의 전환 A. 세계 인식의 태도 ----------------------------------------------- 63 1. 經驗과 知覺의 중시 -------------------------------------------- 63 2. 現實的·開放的 자세 -------------------------------------------- 70 B. 山水觀과 산수유람 ---------------------------------------------- 86 1. 天機·趣·興의 추구 --------------------------------------------- 87 2. 山水品評과 山水體驗 ------------------------------------------- 94 Ⅳ. 산수기행 예술화에 대한 이론적 탐구 A. 창작론 : 天機·興象·逼眞의 틀 -----------------------------------112 B. 심미인식론 : 眞·幻 논의와 奇 의 추구 --------------------------131 C. 감상론 : 臥遊之資·詩畵相看 -------------------------------------140 Ⅴ. 산수기행작품에 나타나는 표현의 특성 A. 操縱殺活 을 통한 山水 형상화 ----------------------------------151 1. 奇異한 形狀의 강조 --------------------------------------------151 2. 特定한 心象의 부여 --------------------------------------------164 B. 視點과 遊興의 표출 ---------------------------------------------172 1. 望 의 위치와 시점의 선정 -------------------------------------172 2. 興感의 직설적 표출과 전형화 -----------------------------------181 Ⅵ. 문예사적 의미 A. 當代 문예상황에서의 위상 ---------------------------------------191 B. 後代에 끼친 영향 -----------------------------------------------199 Ⅶ. 결론 ------------------------------------------------------------213 參考文獻 ------------------------------------------------------------218 圖版目錄 ------------------------------------------------------------227 圖版 ----------------------------------------------------------------230 Abstract ------------------------------------------------------------25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85210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조선후기 산수기행문학과 기행도의 비교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subtitle농연그룹과 정선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comparative studyon the literature and paintings of record of trip to mountains and waters in the late choson period-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200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